• 제목/요약/키워드: Subsolid nodule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다수의 양측성 반고형결절들로 발현한 원발성 폐 악성 흑색종: 증례 보고 (Primary Pulmonary Malignant Melanoma Presenting as Bilateral Multiple Subsolid Nodules: A Case Report)

  • 소은규;노지영;정수연;강세리;최금하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2호
    • /
    • pp.387-393
    • /
    • 2022
  • 원발성 폐 악성 흑색종은 흑색종 중에서 굉장히 드문 유형이다. 원발성 폐 악성 흑색종의 방사선학적 소견은 비특이적이나 거의 항상 경계가 좋은 둥근 혹은 소엽상의 결절 혹은 종괴로 나타난다. 이에 저자들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다수의 양측성 반고형결절로 보여 레피딕 성장을 하는 원발성 폐선암으로 오인되었던 원발성 폐 악성 흑색종 환자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폐의 아고형결절에서 침습적 병소를 검출하기 위한 반-정량 분석을 통한 최적의 CT 임계 값 결정 (Semi-Quantitative Analysis for Determining the Optimal Threshold Value on CT to Measure the Solid Portion of Pulmonary Subsolid Nodules)

  • 이선용;이다현;이재호;이성수;한경화;박철환;김태훈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3호
    • /
    • pp.670-681
    • /
    • 2021
  • 목적 병리학적 침습성 병소를 기준으로 폐 아고형결절의 고형 부분을 진단하기 위한 최적의 CT 임계값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병리적으로 최소 침습성 선암이 확진된 25명의 환자에 대해 비조영증강 흉부 CT 영상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CT 영상에서 고형 부분은 -600부터 -100 Hounsfield units (이하 HU) 단위 사이에서 50 HU 간격의 다양한 임계치보다 높은 감쇠를 나타내는 영역으로 정의되었다. 각 임계치에서 고형부분의 축상 영상 최대 직경과 다면재구성 영상 최대 직경을 각각 측정한 후, 선형 혼합 모델을 이용하여 병리적 침습성 병소 크기와 비교하였다. 결과 -400 HU 단위의 임계값에서 아고형결절의 고형 부분의 크기와 침습성 병소의 크기는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축상 영상: p = 0.2682, 다면재구성 영상: p = 0.963) 오차가 가장 적었다(축상 영상: 0.388, 다면재구성 영상: -0.0176). 결론 아고형결절의 침습성 병소를 진단하기 위해, -400 HU 단위가 고형 부분을 정의하는 최적의 정량 분석 임계값일 수 있다.

전산화단층촬영에서 폐 반고형결절의 크기와 용적에 호흡이 미치는 영향: 개인 내 전폐용량과 일호흡량 간 비교 (The Effect of Lung Volume on the Size and Volume of Pulmonary Subsolid Nodules on CT: Intraindividual Comparison between Total Lung Capacity and Tidal Volume)

  • 이현지;안찬식;유석종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6호
    • /
    • pp.1534-1544
    • /
    • 2021
  • 목적 전산화단층촬영에서 호흡에 의한 폐 용적의 변화가 폐 반고형결절의 크기와 용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총 31명의 환자에서 42개의 반고형결절이 연구에 포함되었다. 먼저 총 폐활량 상태에서 전산단층화촬영을 시행 받은 후, 결절이 포함된 부분만 일호흡용적 상태에서 추가로 촬영하였다. 각각의 반고형결절의 직경과 용적을 측정하였고, 전체 폐 용적은 결절의 중심이 있는 동측 폐의 단면적으로 추정하였다. 동일한 개인 내에서 총 폐활량과 일회 호흡량 간 측정값 변화의 유의성을 통계적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총 폐활량 상태와 비교하였을 때, 일회 호흡용적 상태에서 폐 단면적은 평균 12.7 cm2, 반고형결절의 직경 및 용적은 평균적으로 각각 0.5 mm와 46.4 mm3 감소하였다(p < 0.001). 총 폐활량 상태와 일호흡량 상태 간 폐 면적 변화는 반고형결절의 직경 변화(rho = 0.341; p = 0.027) 및 부피 변화(rho = 0.401; p = 0.014)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폐 용적의 변화를 고려하여 보정한 후에는 반고형결절의 평균 직경과 부피가 총 폐활량 상태와 일호흡량 상태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각각 p = 0.062, p = 0.124). 결론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측정한 반고형결절의 크기와 용적은 동일한 환자 내에서도 촬영 당시의 폐 용적에 유의한 영향을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