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scale

검색결과 519건 처리시간 0.026초

정보화 교육이 노인의 온라인 사회관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T Education on On-Line Social Relationship of Older Adults)

  • 윤현숙;이은경;범경아;김영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283-294
    • /
    • 2015
  • 본 연구는 노인 대상 정보화 교육이 노인이 온라인상에서 형성하는 사회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서울시 소재 노인복지관과 종합복지관에서 정보화 교육(컴퓨터반, 인터넷반, 스마트폰반)을 받는 60세 이상 노인 114명을 실험집단으로 하고, 정보화 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노인 30명을 통제집단으로 하여 프로그램 실시 전후를 비교분석하였다. 온라인 사회관계의 측정을 위해서는 사회자본척도(결속형과 가교형)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실험집단의 온라인 결속형 사회관계는 연대능력영역을 제외한 모든 하위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통제집단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실험집단의 온라인 가교형 사회관계는 모든 하위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통제집단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결과 노인 대상 정보화 교육은 노인의 온라인 사회관계(결속형, 가교형)를 확장시켰으며, 노인의 사회관계 형성과 확장 및 사회참여를 촉진하기 위해 정보화 교육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비만에 이환된 아동청소년에서 보이는 정신건강문제 (Mental Health Problems in Child and Adolescent Obesity)

  • 강나리;이지선;강기수;곽영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7권2호
    • /
    • pp.119-129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ental health problems in obese child and adolescent patients. We assess the frequency of mental health problems and their differences according to sex, school grade and severity of obesity. Methods: The sample consisted of 106 children and adolescents aged 8-16 years (61 boys with mean age $10.98{\pm}2.26$, 45 girls with mean age $9.74{\pm}1.96$, p=.004) who were diagnosed with obesity and recruited at the Department of Pediatrics of Jeju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e participants completed the Korean-Child Behavior Checklist (K-CBCL),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CDI), Korean version of the Eating Attitude Test-26 (KEAT-26), and somatotype drawings. Results: The percentage of participants having a T-score in clinical range on one or more CBCL subscale was 37.7%. The percentage of participants in the high risk group for depression (CDI score above 17) was 20.8% and that in the high risk group for eating disorder (EAT-26 score above 20) was 6%. The girls showed significantly lower CBCL T-scores in social competence ($48.39{\pm}15.66$ vs. $38.91{\pm}22.04$, p=.011), adjustment function ($49.51{\pm}17.35$ vs. $40.38{\pm}22.58$, p=.020) and school competence ($53.34{\pm}10.47$ vs. $48.22{\pm}15.11$, p=.042) than the boys, but the percentages of boys and girls in clinical rang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CBCL T-scores in somatic symptoms ($60.86{\pm}9.44$ vs. $55.74{\pm}6.76$, p=.005), aggressive behavior ($58.81{\pm}6.74$ vs. $54.68{\pm}6.22$, p=.009), total problems ($59.86{\pm}9.91$ vs. $54.88{\pm}9.76$, p=.039) and externalizing problems ($57.90{\pm}10.57$ vs. $52.44{\pm}9.38$, p=.022) tha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evere obesity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CBCL T-scores in attention problems ($59.18{\pm}9.45$ vs. $54.15{\pm}5.34$, p=.001), social problems ($59.25{\pm}8.59$ vs. $55.96{\pm}6.50$, p=.038), delinquent behavior ($58.07{\pm}6.97$ vs. $54.73{\pm}6.00$, p=.017) and total problems ($59.21{\pm}11.65$ vs. $54.67{\pm}9.03$, p=.037) than the mild to moderate obesity group. Conclusion: Significant proportions of obese children and adolescents suffer from mental health problems. Clinicians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mental health risk, especially in obese adolescents and severely obese children and adolescents.

Cognitive and Emotional Empathy in Young Adolescents: an fMRI Study

  • Kim, Eun Jin;Son, Jung-Woo;Park, Seong Kyoung;Chung, Seungwon;Ghim, Hei-Rhee;Lee, Seungbok;Lee, Sang-Ick;Shin, Chul-Jin;Kim, Siekyeong;Ju, Gawon;Park, Hyemi;Lee, Jeonghwan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1권3호
    • /
    • pp.121-130
    • /
    • 2020
  • Objectives: We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cognitive and emotional empathic ability between adolescents and adults, and the differences of the brain activation during cognitive and emotional empathy tasks. Methods: Adolescents (aged 13-15 years, n=14) and adults (aged 19-29 years, n=17) completed a range of empathic ability questionnaires and were scanned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during both cognitive and emotional empathy task. Differences in empathic ability and brain activation between the groups were analyzed. Results: Both cognitive and emotional empathic ability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adolescent compared to the adult group. Comparing the adolescent to the adult group showed that brain activation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right transverse temporal gyrus (BA 41), right insula (BA 13), right superior parietal lobule (BA 7), right precentral gyrus (BA 4), and right thalamus whilst performing emotional empathy tasks. No brain regions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activation in the adolescent compared to the adult group while performing cognitive empathy task. In the adolescent group, scores of the Fantasy Subscale in the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which reflects cognitive empathic ability, negatively correlated with activity of right superior parietal lobule during emotional empathic situations (r=-0.739, p=0.006). Conclusion: These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adolescents possess lower cognitive and emotional empathic abilities than adults do and require compensatory hyperactivation of the brain regions associated with emotional empathy or embodiment in emotional empathic situation. Compensatory hyperactivation in the emotional empathy-related brain areas among adolescents are likely associated with their lower cognitive empathic ability.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구강안면 훈련 영상 프로그램이 마비말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의 구강 구조 및 기능과 조음교대운동속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Orofacial Training Video Program using Smart Device on Oral Cavity Structure and Function, Diadochokinetic Rate in Acute Stroke Patients with Dysarthria)

  • 문종훈;원영식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391-400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구강안면 훈련 영상 프로그램이 마비말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의 구강 구조 및 기능과 조음교대운동속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마비말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 1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에 참가한 모든 대상자들은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7명씩 무작위 할당되었다. 두 그룹의 대상자들은 4주 동안 모두 동일하게 보편적인 재활치료를 받았다. 실험군은 스마트 기기를을 활용한 구강안면 훈련 영상 프로그램을 보호자의 감독 하에 추가적으로 30분씩 더 수행하였다. 구강 구조와 기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조음기관 구조 및 기능선별검사의 하위항목인 구강 구조와 기능을 평가하였다. 조음교대운동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교대운동속도와 연속운동속도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그룹 내 비교에서 실험군과 대조군은 구강 구조 및 기능, 교대운동속도, 연속운동속도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두 그룹 간 변화량 비교에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구강기능과 교대운동속도의 /퍼/와 /터/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구강안면 훈련 영상 프로그램은 마비말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의 구강 기능과 조음기관 기능에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중재방법으로 사료된다.

영아의 건강증진을 위한 부모역할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생후 6개월의 결과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Parent Role Education Program I -Focusing on the six-months results-)

  • 한경자;권미경;방경숙;김정수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7권1호
    • /
    • pp.96-107
    • /
    • 2001
  • Recent research indicates that the new mothers want to learn about childrearing, and have burden in care of infants. Also it indicates that the new mothers say the lack of confidence and knowledge about infant care. This study was a prospective longitudinal reseach developing parent role education program and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for mother-infant interaction, childrearing environment and infant development. Longitudinal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used. The subjects were the healthy infants weighing over 2,500gm at birth, whose gestational age was more than 37weeks, and their mothers. The sample consisted of 19 mother-infant dyads for intervention group and 18 dyads for control group.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15th to December 14th in 1999. For the intervention group received programmed education that was consisted of discharge education, telephone counselling, and home visiting for maternal educat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hi-square test and t-test to test the equivalence of two groups, and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 program.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results of six months time poi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score of mother-infant interaction(NCAST) between two groups. Intervention group showed higher scores in the subscales of sensitivity to cues, cognitive growth fostering, and caregiver total.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score of child rearing environment (HOME) between two groups of six-month-infants. But when each subscale of HOME was examined, intervention group showed higher scores in the dimensions of opportunities for variety in daily stimulation, maternal involvement with child, and emotional, verbal response. 3. Six-month-infants of the intervention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GQ in the Griffiths mental development scale. In conclusion, the maternal educa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promoting the mother-infant interaction, organizing the childrearing environment, and fostering the infant development. These results were very meaningful that we found parent role education necessary for normal infants' mothers, and nurses can make a great contribution in promoting health of infants and mothers.

  • PDF

정신분열병의 결핍증후군과 비결핍증후군에서 QEEG와 sLORETA를 이용한 비교연구 (Comparing Quantitative EEG and Low Resolution Electromagnetic Tomography Imaging between Deficit Syndrome and Non-Deficit Syndrome of Schizophrenia)

  • 이상은;임선진;이미경;이재원;한규희;이종일;심민영;윤해주;신병학
    • 수면정신생리
    • /
    • 제17권2호
    • /
    • pp.91-99
    • /
    • 2010
  • 목 적: 본 연구는 정신분열병의 결핍증후군과 비결핍증후군이 다른 생물학적 동등성을 가진 독립된 질환일 수 있다는 가설 아래 quantitative EEG와 standardized LORETA (sLORETA)를 이용한 전기생리학적인 방법을 통하여 생물학적 병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방 법: 정신분열병 환자를 대상으로 42명의 뇌파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그 중 결핍증후군 환자군은 남자 10명과 여자 11명이었고 비결핍증후군 환자군은 남자 12명, 여자 9명이었다. 주파수 대역은 delta(1.5~4 Hz), theta(4~8 Hz), alpha(8~12 Hz), low beta(12~15 Hz), high beta(15~30 Hz)의 5가지로 분할하였고 EEG LAB을 이용한 파워스펙트럼 분석 및 standardized sLORETA software package를 이용하여 신호원을 국소화 하였다. 결 과: 파워 스펙트럼 분석에서 결핍증후군 집단은 비결핍증후군과 비교하였을 때 전두엽, 두정엽 및 측두엽 영역에서 delta파와 theta파의 유의한 활성도 증가를 보였으며 뇌파 스펙트럼은 간편 정신상태 평정 척도 중 철퇴/지연과 적대/의심 항목의 임상적인 특징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sLORETA분석 결과에서는 배측 전대상피질에서 결핍증후군에서 유의하게 delta파의 활성도가 증가되었다. 결 론: 결핍증후군은 비결핍증후군과는 연관된 뇌 영역이 다를 수 있으며 특히 전두엽 영역의 신경회로 이상이 일차적 음성증상에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학생들의 학교 밖 과학 경험과 과학의 본성에 대한 견해 사이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Out-of-school Science Experience and Their View on the Nature of Science)

  • 강석진
    • 대한화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378-385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학교 밖 과학 경험과 과학의 본성에 대한 견해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소재의 학교에서 표집한 6학년 267명, 8학년 281명, 10학년 307명이었다. 과학의 본성에 대한 학생들의 견해 조사에는 과학의 목적, 과학 이론의 정의, 과학적 모형의 성질, 과학 이론의 잠정성, 과학 이론의 기원에 관한 5 문항으로 이루어진 과학의 본성 검사지를 이용하였다. 학생들의 학교 밖 과학 경험은 7 문항으로 구성된 수정본 과학 경험 검사의 하위 범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6학년에서는 학생들의 학교 밖 과학 경험과 과학의 본성에 대한 견해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8학년의 경우, 학교 밖 과학 경험 상위 수준 학생들은 과학적 모형의 성질에 대한 문항에서 현대 인식론적인 견해를 지니고 있었으나, 과학 이론의 잠정성 문항에서는 반증주의적 견해를 지니고 있었다. 10학년 학생들의 경우, 과학의 목적, 과학 이론의 정의, 과학적 모형의 성질에 대한 문항에서 학교 밖 과학 경험 상위 수준 학생들이 하위 수준 학생들에 비해 인식론적으로 세련된 견해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분열병 환자의 S100B단백 혈청농도에 관한 연구 (Serum S100B Protein in Medication-Free Schizophrenic Patients)

  • 진성남;박두병;김혜련;백형태
    • 생물정신의학
    • /
    • 제14권3호
    • /
    • pp.177-183
    • /
    • 2007
  • 목 적: 성상세포(astrocyte)에서 생산되어 신경세포의 증식과분화에 관여하는 S100B 단백이 정신분열병의 진행과 증상론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가 계속 진행되고 있다. 이에 정신분열병 환자와 정상대조군의 혈청 S100B 농도를 비교하고, 정신분열병 환자의 증상 양상과 S100B 농도와의 연관성을 연구하였다. 방 법: DSM-IV-TR 진단 기준에 따라 정신분열병으로 진단받은 환자 중 정신분열병 최초 발병 환자 혹은 최소 6개월 간 약물 치료를 하지 않은 정신분열병 환자 21명과 정상대조군 27명의 혈청 S100B 농도를 비교하였으며, 정신분열병 환자의 PANSS 전체점수와 양성증상점수, 음성 증상점수 등과 S100B의 혈청농도 간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결 과: 정신분열병 환자에서의 S100B 혈청농도($0.074{\pm}0.039$ ng/ml)와 정상대조군에서의 S100B 혈청 농도($0.072{\pm}0.030$ng/ml)에는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p=0.925). 또한, 음성증상점수와 S100B 혈청농도(${\rho}$=0.410, p=0.065 ; 표 3)의 상관관계 및 양성증상점수와 S100B 혈청농도 (${\rho}$=-0.390, p=0.080 ; 표 3)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 론: 이번 연구에서 S100B 혈청농도와 정신분열병과의 관련성을 뚜렷하게 발견하기 어려웠다. 이러한 S100B의 역할과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연구대상의 확대와 CSF에서의 농도 측정, 장기적 추적 검사, 다른 관련 물질과의 연관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PDF

조현병 환자에서 불안자극에 대한 선택적 주의 편향과 환청과의 연관성 : 예비 연구 (Relationships between Selective Attention Bias for Fear Stimuli and Hallucination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 A Preliminary Study)

  • 김한석;한진희;홍승절;정종현;임현국;김태원;엄유현;채정호;이경욱;서호준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7-12
    • /
    • 2016
  •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ective attention bias for fear stimuli and hallucination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Method : A total of 66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dmitted to psychiatry clinics were included in the study. Selective attention bias was measured by the dot-probe task. Patient symptoms were measured using the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 Scale, Psychotic Symptom Rating Scale (PSYRATS), Korean version of the Scale to Assess Unawareness of Mental Disorder, and Clinical Global Impression-Severity scale. Results : Selective attention bias was correlated with the hallucination subscale of PSYTATS (r=0.268, p=0.029).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selective attention bias and other clinical measur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ut a statistical trend was found (p=0.092) in hallucination severities between the biased and non-biased groups. Conclusion : The results suggest that selective attention bias for fear stimuli is associated with auditory hallucination. This preliminary study suggests the possibility of correlation between auditory hallucination in the psychotic domain and anxiety of the affective component.

  • PDF

청소년의 자살사고와 관련된 우울-불안 성향 (ANXIOUS-DEPRESSIVE ATTRIBUTES TO SUICIDAL IDEA OF ADOLESCENTS)

  • 진용탁;하은혜;송정은;박은영;최태규;송동호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4권1호
    • /
    • pp.95-102
    • /
    • 2003
  • 목 적: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살성향과 관련된 정서적 특성을 지역사회연구를 통하여 조사함과 아울러 우울불안 집단을 설정하여 그들의 충동성과 자살사고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경기도 고양시의 1909명의 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y for Depression(CES-D), Revised Children's Manifest Anxiety Scale(RCMAS), Youth Self Report(YSR)의 Anxious/Depressed subscale을 사용하여 우울불안집단을 선정하였고, 대조집단과 비교하여 PS-1 of Offer's Self Image Questionnaire(PS-1 of OSIQ), Suicide Ideation Questionnaire(SIQ) 척도점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자살사고와 관련된 정서적 요인들과의 상관성 및 자살사고 예측력을 분석하였다. 결 과:우울불안집단을 연구대상의 6.58%를 차지하였으며 남녀비는 약 1:1.5이었다. 또한 우울불안집단에서 대조집단에 비하여 충동성조절 점수는 유의하게 높았고 자살사고 척도 점수도 유의하게 높았다. 자살사고와 관련하여 우울척도, 불안척도, 우울-불안척도 및 자살사고 척도는 모두 유의한 상관성을 보인 요인들이었으며, 다중회귀분석 결과 우울과 불안이 자살사고를 예측하는 유의한 요인이었다. 결 론:지역사회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자살사고의 정서적 요인들 조사한 결과 우울 및 불안성향을 지닌 집단이 자살의 고위험군임을 시사하였으며, 이를 위한 예방적 개입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