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jective health status

검색결과 1,128건 처리시간 0.028초

The Relationship among Subjective Health Status, Wisdom, and Self-care Agency in Korean Older Adults

  • Yu, Mijin;Kim, Hee Jung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55-363
    • /
    • 2015
  • Purpose: This study identified the relationships among subjective health status, wisdom, and self-care agency of Korean older adult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74 older adults from Daegu, aged over 65 years. Data were collected by visiting two social welfare centers, two senior welfare centers, and nine senior centers in Daegu from January 18 to February 5, 2013. Data were analyzed through one-way ANOVA, independent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 using the IBM SPSS/WIN 19.0 statistical program. Result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among older adults' subjective health status, wisdom, and self-care agency. Self-care agency was affected by wisdom (47%, ${\beta}=.55$), the physical component summary (18%, ${\beta}=.31$) and mental component summary (1%, ${\beta}=.12$) of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the absence of disease (2%, ${\beta}=.13$).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nursing interventions to promote self-care agency in older adults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wisdom.

주관적 전신건강상태와 건강행위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 of Subjective Systemic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on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 허성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135-142
    • /
    • 2018
  • 본 연구는 주관적 전신건강상태와 건강행위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융합연구를 통해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에 의해 수집된 자료를 SPSS 21.0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비 흡연 그룹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이 흡연 그룹보다 높게 나타났고, 주관적 전신건강상태와 건강행위에 대한 고 그룹이 저 그룹에 비해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다. 주관적 전신건강상태와 건강행위 모두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주관적 전신건강상태가 더 큰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전신건강을 통한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됨에 따라 전신과 구강의 융합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은 전신건강과 구강건강의 연관된 중요성을 교육할 수 있는 중요한 매체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The Mediating Effects of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Eating Habits and Mental Health in Gangwon-do Youth

  • Ji-Woo Ha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2권3호
    • /
    • pp.192-199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ating habits, physical activity, and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which can affect the mental health status of adolescents, and to examine whether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has a mediating effect in these relationships. In this study, raw data from the "17th 2021 Youth Health Behavior Online Survey" were used, and a total of 1,998 people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Gangwon-do adolescents, except for data with missing values. For analysis, SPSS 25.0 and AMOS 25.0 programs were used to analyz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s(SEM). Physical activit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mental health status, and subjective health cognition showed the effect of physical activity mediating mental health status.

장애인의 지역사회 신뢰와 장애정체감이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사회경제적 지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Study on the Effect of Social Trust and Disability Identity on Subjective Health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economic Status)

  • 유동철;김동기;김경미;신유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337-347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의 지역사회 신뢰와 장애정체감이 장애인의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사회경제적 지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 척도개발에 사용된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지역사회 신뢰와 장애정체감이 주관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지역사회 신뢰와 장애정체감이 높아질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경제적 지위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사회경제적 지위는 장애정체감과 주관적 건강상태의 관계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장애정체감이 높아질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아지는 정도가 비수급자에 비해 수급자가 상대적으로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역사회 신뢰와 주관적 건강상태의 관계는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장애인의 주관적 건강상태를 증진시킬 수 있는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중·장년, 노년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요인: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8) 활용 (Influence Factors on Subjective Health Status of middle-aged and Elderly: Utilized of the 7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2018))

  • 박해령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2호
    • /
    • pp.213-217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대상의 국민건강영양조사(2018년) 자료 중 30세 이상의 인구를 대상으로 나이, 신체활동 (걷기, 근력운동), 주관적 체형 인식, 체중의 변화가 주관적 건강 상태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과 연구방법은 제7기 3차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2018년)를 이용한 이차분석연구이다. 나이, 1주일간 걷기 일수, 1주일간 근력운동 일수, 주관적 건강 상태, 주관적 체형 인식, 그리고 1년 동안 체중 변화 유무를 변수로 이용하여 주관적 건강 상태와의 상관성 분석을 SPSS를 활용하여 통계적 유의성 있는 결과를 활용하였다(p<.01). 7일(매일) 걷기를 한다는 응답율은 30-45세는 21.9%, 50-64세는 27.2% 그리고 65세 이상은 26.6%이며, 5일 근력운동을 한다는 응답율은 30-45세는 3.6%, 50-64세는 8.4% 그리고 65세 이상은 7.9%이다(p<.001). 주관적 건강 상태는 나이 (.091), 1주일간 걷기일수(.739), 1주일간 근력운동 일수 (.530), 주관적 체형인지(.256), 1년간 체중 변화(.303)에 대해서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p<.01).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건강 상태는 '나쁨'이라고 응답한 연령대는 65세 이상이 21.4%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50-64세는 15.7%, 30-45세는 11.0%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걷기, 근력운동을 함으로써 주관적 건강 상태가 좋아질 것으로 기대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연령에 따른 개인의 주관적 건강 상태 향상을 위한 건강 관련 프로그램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Subjective Health Status, Job Stress and Andropause Symptoms among Middle-aged Male who Work

  • Kwon, Mi-Hyoung;Oh, Ji-Hy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9호
    • /
    • pp.109-116
    • /
    • 2020
  • 본 연구는 직장을 다니는 중년 남성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직무스트레스 및 갱년기 증상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S시, C도의 3개 시의 40~59세 직장인 중년 남성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154명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갱년기 증상에 차이를 보인 일반적 특성은 결혼상태, 직업만족도였다. 대상자의 68.83%가 갱년기 증상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주관적 건강상태는 직무스트레스(r=-.204, p=.011) 및 갱년기 증상(r=-.248, p=.002)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직무스트레스와 갱년기 증상과(r=.341, p=<.001)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갱년기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무스트레스, 주관적 건강상태였으며, 이 변인에 의한 설명력은 13.8%였다. 따라서 직장을 다니는 중년 남성의 갱년기 증상을 관리하고 적절하게 대처하기 위해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주관적 건강상태를 향상시키는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인터넷을 이용하는 지역사회 노인의 e-헬스 리터러시 및 주관적 건강상태가 건강추구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Health Literacy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on Health-seeking Behaviors of Elderly Using the Internet in the Community)

  • 송지현;신수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호
    • /
    • pp.321-332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 세대의 e-헬스 리터러시 수준과 주관적인 건강상태 및 건강추구행동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로당과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 중 최근 1개월 이내 1회 이상 인터넷을 이용하는 102명을 편의표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일주일 평균 인터넷 이용 시간은 '3시간 미만'이 54.9%로 가장 많았다. 지역사회 노인의 e-헬스 리터러시(r=.349, p<.001)와 주관적 건강상태(r=.466, p<.001)는 건강추구행동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대상자의 성별(β=.22, p=.012), 질병유형(β=.23, p=.013), 주관적 건강상태(β=.38, p<.001)가 건강추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인터넷을 사용하는 지역사회 노인의 e-헬스 리터러시 및 주관적 건강 수준을 높이고 건강추구행동 향상에 기여하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대학생의 구강관련 외모만족도와 주관적 구강건강 상태의 관련성 (Correlation between oral-related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of college students)

  • 배성숙;노희진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85-92
    • /
    • 2013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orrelation between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oral-related appearanc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100 college students at a college located in Gyeonggi-do participated in the survey, oral examinations, and self-rated oral hygiene management ability tests. The data was then analyzed accordingly. Methods: Frequency test and chi-square statistical analysis were conduct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SAS version 9.2 was used.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students' subjective perceptions about oral health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oral-related appearance(p <0.05). It is noteworthy that those who responded on 'satisfactory' oral health status indicated that 16% 'unsatisfactory', 28% 'average' and 68% 'satisfactory' on oral-related appearance. Students' self-rated oral hygiene management ability and irregular teeth conditions were also found relevant in causing discomfort in interpersonal activities, whereas students responded 'satisfactory', 0.00%; 'average', 31.82%; 'unsatisfactory' 68.18% (p <0.05).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oral-related appearance can have an impact on oral health status and that oral-related appearance can be a contributing factor to improve oral health status and therefore results in promotion of general health. In the future,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sidered about perception on oral-related appearance, oral health status and any resulting behavior changes.

  • PDF

대학생의 구강건강증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University Students)

  • 오세진;이주열;양정아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45-55
    • /
    • 2016
  •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the oral health promotion in university students. It is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activities for life style and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Methods: The subjects are 385 student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research Cheonan.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after they filled in by themselves. SPSS ver.20.0 was used for analysis to get the reliability of each analysis tool. The genral characteristics was analysis of frequency. For comparison oral health promotion and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related to the genral characteristics, it was used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was used correlation of each variable.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comprehend that affects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Results: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in factors affecting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departments of health. dietary lifestyle was low correlated among sub factors of lifestyle.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wasn't related to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dietary lifestyle had the most significant impact to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Conclusion: To progess through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of the university students, it is asked to configure the content that can handle regular lifestyle, rather than focusing on smoking habits and drinking habits.

성인 장애 여성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What factors affect life satisfaction among Women with Disabilities?)

  • 김예순;민진주;호승희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13
    • /
    • 2022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ife satisfaction of women with disabilities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ir life satisfaction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Methods: This study used secondary data, the 2020 Survey of the Disabled. The subjects were 2,725 women with disabilities aged 20 or older who responded to the survey. The SPSS Windows 26.0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Technology analysis, chi-test, and multi-logistic analysis were perform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women with disabilities. Results: Age,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type of medical insurance type, subjective economic status, disability severity, subjective health status, health screening, chronic disease, stress, depression, suicidal ideation, and variables that can go out alone. As a result of multi-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n factor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of women with disabilities, it was analyzed that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subjective economic status, subjective health status, health screening, chronic disease, stress cognitive status, depression, suicide ideation, and variables that can go out alon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Conclus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it is required to develop and operate health education and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physical and mental health management of women with disab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