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ject-specialized service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7초

전문도서관의 주제전문서비스 운영 현황과 사서의 인식 분석 (An Analysis on Current Status of and Perception of Subject Specialized Services in Korean Special Libraries)

  • 황재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137-158
    • /
    • 2011
  • 최근 몇 년 동안 국내 도서관 현장에서는 도서관이 처한 경영상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수시로 변하는 이용자들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대안으로 주제전문서비스가 거론된 바 있다. 전문도서관 역시 주제전문서비스 도입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효율적인 운영 방안이 요구된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에 대한 체계적 연구사례는 없는듯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전문도서관에서 주제전문서비스가 어떻게 운영되고 있으며, 주제전문사서들은 주제전문서비스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해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주제전문서비스를 시행하는 전문도서관을 대상으로 주제전문서비스 운영 일반, 주제전문사서 채용과 교육 훈련, 주제전문사서의 역할, 주제전문서비스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와 애로사항 등에 관해 설문조사를 하였다. 마지막으로 전문도서관의 주제전문서비스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주제별 특성화서비스 및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현장사서의 의견 조사 연구 (An Investigation on the Opinion of the Librarian concerning the Subject-Specialized Service and Librarianship)

  • 노영희;오의경;심효정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21-350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장의 사서들을 대상으로 도서관특성화 및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의견을 조사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도서관특성화 서비스를 담당해야 할 사서들의 업무 현황과 환경을 이해하는데 있다. 선행연구들을 기반으로 조사 도구를 개발하였으며, 전국의 공공도서관, 대학도서관, 전문도서관 사서들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392명의 사서가 설문에 응답하였다. 주요 결과로는 특성화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특성화서비스 수행 시 가장 어려운 점은 주제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다는 것이며, 특성화 서비스를 위한 도서관의 환경도 충분하지 않다고 보았다. 특성화서비스는 주제전문사서가 주도해야 하며,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자격기준은 필요하며 자격제도는 국가가 관리해야 한다고 하였다.

주제전문인력 확보 및 제도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quisition of Subject Specialized Manpower and Institutionalization)

  • 노영희;신영지;곽우정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5-3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사서자격 발급현황이나 국내외 주제전문사서 운영현황, 그리고 유사 문화시설의 전문인력 현황 및 채용방식 등에 대해서 조사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주제전문사서 양성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첫째, 주제전문사서 양성 방안으로는 정규교육과정과 재교육과정을 통한 방법을 제안하고 있으며, 학부부터 주제전문사서로 양성하는 방안과 기존사서를 주제전문사서로 양성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둘째, 주제전문사서의 기본적인 자격은 석사이상의 학력으로 3년 이상의 주제분야서비스 경력을 갖추어야 하며, 주제분야 배경을 갖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주제분야에서 학사학위나 석사학위를 갖추어야 한다고 제안하고 있다. 셋째, 이러한 주제전문사서의 처우 개선을 위해 행정직군 내의 주제사서직렬을 연구직 아래의 학예직군으로 하위 직렬에 연구사서(또는 문헌정보) 직렬 및 직류를 편성하는 것이다. 즉 현재의 사서직렬은 그대로 두고 주제전문사서의 직렬 및 직류를 편성함으로써 사서와 주제전문사서의 차별화를 도모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특화도서관 사서의 인식조사 기반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Activation Plan of the Perception Survey Foundation for Specialized Library Librarian)

  • 노영희;신영지;곽우정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91-111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특화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특화서비스 현황, 특화서비스의 전반적인 만족도 등을 조사하고, ISA 기법을 기반으로 특화 주제 자료, 특화서비스 장소, 특화프로그램, 특화 주제 분야 시설 및 환경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를 비교하여, 특화도서관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특화도서관 주제 선정은 해당 도서관 지역의 특징, 역사, 자원 등을 반영하여 주제를 선정해야 하며, 뿐 만 아니라 지역 주민 및 이용자의 수요조사를 통해 선정해야 한다. 둘째, 특화도서관은 특화 주제 분야에 적합한 프로그램 유형과 이용자의 수요조사를 기반으로 체험형, 강의형, 관람형 등의 유형을 개발하여야 한다. 셋째, 특화도서관 공간은 일체형, 일체 속 분리형, 분리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분리형으로 독립적인 특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 각 도서관의 상황 및 특화 주제의 특징을 고려하여 공간을 구성해야 한다. 넷째, 특화도서관은 해당 주제 분야의 전문가를 최소한 1명 정도는 특화 전담인력으로 배치해야 한다. 전담 인력은 특화공간에서 해당 주제와 관련된 수서, 정리, 열람과 관련된 업무, 특화관련 프로그램 운영, 특화 관련 대출 및 참고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며, 특화주제분야의 전문가이면서도 도서관의 일반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사서여야 한다.

주제전문서비스 운영실태 분석 연구 (An Analysis of Subject Specialized Services in Korea)

  • 노영희;노동조;안인자;김성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97-123
    • /
    • 2008
  • 주제전문서비스는 도서관 환경의 변화에 따른 전문화 특성화 개인화 등의 이용자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 도입되고 있는 서비스 개념이라 할 수 있으며, 국내의 경우 1960년대부터 논문을 통해 주제전문사서의 개념이 논의되기 시작했고, 현장의 많은 도서관들에서 실제로 주제전문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주제전문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는 도서관들을 대상으로 이들 도서관들의 주제전문사서체제 도입배경, 주제전문서비스 내용 및 효과, 운영상의 애로사항 및 운영방법, 주제전문사서 채용방법 및 교육훈련방법, 주제전문사서의 직무에 대한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주제전문화의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더불어 국내외 주제전문사서 구인구직 수요도 비교 분석하였다.

  • PDF

도서관 특화에 대한 비특화도서관 사서와 이용자의 인식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Perception of Specializing Libraries of Non-Specialized Library Librarians and Users)

  • 노영희;신영지;곽우정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77-99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비특화도서관 사서와 이용자를 대상으로 도서관 특화에 대한 요구사항 비교분석, 특화 주제, 특화 대상, 특화 관련 공간 및 프로그램 등에 대한 수요조사, 향후 특화도서관 운영 시 영역별 중요도 인식 등의 조사를 기반으로 비특화도서관이 향후 특화도서관으로 전환 시 원활한 도입을 위한 발전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특화도서관 도입 시, 지역의 특성과 현 도서관의 현황을 파악하여 제공할 수 있는 특화 주제를 도출해야 하며, 이를 기반으로 지역주민의 수요조사를 통해 주제를 선정해야 한다. 둘째, 특화서비스 대상의 경우 지역 인구 분포와 도서관 이용자 분석을 기반으로 연령별 서비스 범위를 파악하여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셋째, 특화 프로그램은 특화 주제 분야의 특징을 고려하여 체험형, 강의형, 관람형 등의 유형으로 제안할 수 있으며, 세부 주제분야별로 혼합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특화 공간의 경우 주제의 특징과 프로그램 유형을 고려하여 구성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특화도서관 운영 시 체계적인 운영과 활성화를 위해 특화 전담 인력 배치, 타 기관과의 연계, 홍보 및 마케팅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대학도서관 온라인 주제가이드의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State of Online Subject Guides in Academic Libraries)

  • 김수정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165-189
    • /
    • 2012
  • 본 연구는 국내 대학도서관 웹사이트를 조사하여 온라인 주제가이드의 현황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제언하였다. 조사된 100개 대학 중 14개 대학만이 온라인 주제가이드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국내 온라인 주제가이드의 구축은 초기 단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주제가이드들은 내용 구성면에서 볼 때 접근성, 포맷의 일관성, 자원통합성 영역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주제 다양화, 이용자 교육, 검색 영역에서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온라인 주제가이드가 지향해야 할 방향은 신속한 정보자원으로의 접근, 주제 특화된 이용자 교육, 사서와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하는 원스탑(one-stop) 서비스가 되어야 할 것이다.

대학도서관의 주제전문사서제 운영방안 연구 - 3개 대학도서관의 서비스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Operational Plan of Subject Specialist Librarian at Academic Libraries : Focus on Case Analysis of Three Academic Libraries)

  • 정재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19-136
    • /
    • 2009
  • 대학이 학문적 주제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대학도서관의 서비스도 주제를 기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최근 몇몇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주제전문사서제가 도입되고 적용 사례가 소개되고 있지만, 제공서비스에 대한 충분한 장 단점 분석과 도입에 따른 방향성이 점검되고 있지는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제전문사서제를 도입한 3개 대학도서관에 대한 사례 분석을 통해 적용을 위한 선결과제와 효과적인 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주제전문사서제를 도입한 3개 대학도서관은 역할, 인사, 평가 등에서 도입초기에 따른 다양한 문제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이에 대한 보완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주제전문사서제의 도입을 위해서는 도서관내부의 합의과정과 교내 구성원에 대한 홍보가 필수적이며, 지속적인 주제전문사서 충원 및 평가, 보상체계의 마련과 함께, 장기적으로는 서비스의 지속성과 효과를 담보할 수 있는 주제전문사서 및 서비스 제공대학 간 협력체계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공공도서관의 특성화 방향에 대한 도서관 관장의 인식조사 연구 (A Study on the Library Director's Perception on Public Library Specialization Service)

  • 노영희;오의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51-178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장을 대상으로 공공도서관의 도서관 특성화 및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인식과 의견을 조사함으로써, 도서관 특성화에 대한 발전적인 방향성을 논의하는데 있다. 69명의 관장이 설문에 응하였으며, 주요 결과로는 특성화서비스 제공에 있어 인력과 예산 부족의 어려움이 있지만 도서관 특화서비스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으며 앞으로 유지 발전해 나갈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의 과반수 이상이 공공도서관의 특화서비스 제공과 주제전문사서 배치는 필수적이라고 하였다.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자격은 석사 이상의 학력과년 4-7년 이상의 해당 업무경력이 적절하며 국가자격제도로 관리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특성화서비스는 서비스를 담당할 주제전문사서 양성시스템 정비, 주제전문사서 자격제도의 확립과 운영, 특성화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한 주제관련 기관들과의 협력 등에 관한 깊은 논의가 향후 후속 연구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Integrated Health Information Service Model of Public Libraries

  • Noh, Younghee;Baek, Min-Kyung;Ro, Ji-Yoon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2권2호
    • /
    • pp.57-75
    • /
    • 2022
  • Currently, it is not easy for most domestic public libraries to collect and provide reliable health information services on their own. Health information is distributed or professional, making it inconvenient for users to use. Based on the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case study, the Library Health Information Integration Service Model was proposed as a specialized information service. The model consists of a composition shared by librarians, health and medical experts, and users, focusing on library websites that provide integrated health information integration services, and has the following features. First, it provides health and medical information on a specialized subject. Second, it provides integrated health and medical information services provided in various ways. Third, librarians and health and medical experts work together to provide information services. Fourth, users can freely use health information integration services online and offline. The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means that libraries can play a leading role in health information integration services to increase the utilization rate of public libraries and further contribute to librarians serving as experts in health information ser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