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ject-based National Library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19초

국가적 학술정보공동활용의 활성화를 위한 대학도서관의 주제별 특성화 정책에 관한 연구 (A Policy Study on Subject-oriented Specialization of University Libraries to Facilitate Sharing of National Academic Information Resources)

  • 노영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111-139
    • /
    • 2006
  • 대학도서관 자료의 전문화, 세분화된 학술정보자료의 공동수집 및 공동이용은 대학 내 연구의 활성화와 대학간 다양화, 특성화, 지역화를 추진하게 할 것이다. 이것은 국가 및 대학 차원에서 대학도서관의 특성화, 차별화 정책을 기반으로 할 때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도서관의 주제별 특성화를 기반으로 한 국가적 학술정보공동활용체계를 제안했으며, 구체적으로 두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을 중심으로 형성된 협력망을 이용하는 방법과 둘째. 주제 또는 지역별로 형성된 각종 협의회를 중심으로 주제별 특성화를 유도하고 이를 활용하는 방법이다.

도서관 및 정보전문직 교육 방향에 관한 연구; 교과과정 분석을 통하여 (Trends in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Library and Information Professionnals-Based On Analysis of Curricular of Library Science)

  • 한복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11권
    • /
    • pp.43-75
    • /
    • 1984
  • Information science is the study how in formation is transferred and all the intermediate steps of collecting, organizing, interpreting, storing, retrieving, disseminating and trans foming information. Professional education means the transfer of knowledge,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abilities and the infusion of professional attitudes. Training may be defined as practice-based instruction in the development and use of professional skills. Each is affected by the confluence of social, economic and technological realities of the environment where the learning takes place. We have witnessed controversy about methods of curriculum revision and change. Should information science courses be added to the traditional library science curriculum or should the new approaches be integrated within the subject matter of each individual course? The article is based upon the assumption that education for librarianship is at a turning point. To provide this information, 25 curricula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were analysed to assist in the study. Also 32 information professionals were asked to assist in the study. In the experimental part of this study, curricula based on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library and information profession als were examined. The most frequently offered compulsory course 'Introduction to Information Science' exposes students to a new way of looking at library and information problems. Information retrieval, library automation, computer programming, data processing, indexing and abstraction, communication, system analysis has offered. These indicate a curriculum slowly shift from traditional librarianship to an emphasis on computerization and automation. Also from a questionnaire listing 58 events might influenc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 PDF

Looking Beyond the Numbers: Bibliometric Approach to Analysis of LIS Research in Korea

  • 양기덕;이종욱;최원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241-264
    • /
    • 2015
  • Bibliometric analysis for research performance evaluation can generate erroneous assessments for various reasons. Application of the same evaluation metric to different domains, for instance, can produce unfair evaluation results, while analysis based on incomplete data can lead to incorrect conclusions. This study examines bibliometric data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 research in Korea to investigate whether research performance should be evaluated in a uniform manner in multi-disciplinary fields such as LIS and how data incompleteness can affect the bibliometric assessment outcomes. The initial analysis of our study data, which consisted of 4,350 citations to 1,986 domestic papers published between 2001 and 2010 by 163 LIS faculty members in Korea, showed an anomalous citation pattern caused by data incompleteness, which was addressed via data projection based on past citation trends. The subsequent analysis of augmented study data revealed ample evidence of bibliometric pattern differences across subject areas. In addition to highlighting the need for a subject-specific assessment of research performance, the study demonstrated the importance of rigorous analysis and careful interpretation of bibliometric data by identifying and compensating for deficiencies in the data source, examining per capita as well as overall statistics, and considering various facets of research in order to interpret what the numbers reflect rather than merely taking them at face value as quantitative measures of research performance.

분야별 연구자들의 국내.외 문헌에 대한 의존도 비교 분석 (A Comparative Study on Researchers' Language Preference for Citing Documents in Different Subject Fields)

  • 조현양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11-221
    • /
    • 2010
  • 이 연구는 학문분야별 연구자들이 정보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참고하는 주요 정보원을 학문분야별로 비교, 분석하여 국내 문헌과 국외 문헌에 대한 학문 분야별 선호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조사 대상 학술지는 한국연구재단의 8개 학문분야 대분류에 따라 분류된 학회에서 발간되는 학술지 가운데 선정된 학술지 8종에 대해서 '논문 수', '논문당 인용건수', '논문당 국내 문헌 인용건수', '논문당 국외 문헌 인용건수', '국내-국외 참고문헌 비율'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분산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국내 연구자들의 연구활동에 있어서 인용하는 국내 외 문헌에 대한 선호도는 평균 인용문헌 수와 비율에 있어서 학문분야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문분야별로 4개의 군집으로 구분되었다.

세계 각국의 국가도서관에 있어 동해관련 목록레코드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Cataloging Records Related to East Sea in the National Libraries of the Various Countries)

  • 김정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57-76
    • /
    • 2019
  • 동해 지명의 변천과 표기의 다양성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54개 국가도서관 목록레코드를 조사하여 동해관련 자료의 표기 실태 및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동해관련 자료가 대부분 미국, 러시아, 일본 등 일부 특정 국가도서관에 집중되어 있는 반면, 한 건도 검색되지 않은 곳이 5개관에 달했다. 둘째, 각국의 국가도서관에서 동해관련 자료의 표제 키워드는 일본에서 동해를 지칭하는 용어인 '일본해'로 표기한 경우가 67.9%, '동해' 29.6%, 이들 용어의 병기가 2.5%로 나타났다. 셋째, 각국의 국가도서관에서 동해관련 자료가운데 '일본해' 또는 '일본해(지리한정어)'라는 의미로 주제명을 나타낸 경우가 86.9%, '동해' 1.2%, 일반주제명이거나 주제명이 나타나 있지 않은 경우가 11.9%로 나타났다.

세계 각국의 국가도서관에 있어 독도관련 목록레코드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Cataloging Records Related to Dokdo in the National Libraries of the Various Countries)

  • 김정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23
    • /
    • 2019
  • 독도 지명의 변천과 표기의 다양성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54개 국가도서관의 목록레코드를 조사하여 독도관련 자료의 표기 실태 및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독도관련 자료가 대부분 미국, 호주, 영국 등 일부 특정 국가도서관에 집중되어 있는 반면, 한 건도 검색되지 않은 곳이 5개관에 달했다. 둘째, 각국의 국가도서관에서 독도관련 자료의 표제 키워드는 한국에서 독도를 지칭하는 용어인 '독도'로 표기한 경우가 76.1%, '다케시마' 17.6%, '리앙쿠르암' 0.4%, 이들 용어의 병기가 5.9%로 나타났다. 셋째, 각국의 국가도서관에서 독도관련 자료가운데 '독도(한국)' 또는 '독도'라는 의미로 주제명을 나타낸 경우가 54.9%, '다케시마(일본)' 또는 '다케시마' 11.2%, '리앙쿠르암'과 '독도/다케시마' 병기가 각각 1% 미만, 일반주제명이거나 주제명이 나타나 있지 않은 경우가 33%로 나타났다.

세계 각국의 국가도서관에 있어 태권도관련 목록레코드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Cataloging Records Related to Taekwondo in the National Libraries of the Various Countries)

  • 김정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55-77
    • /
    • 2021
  • 태권도의 역사적 배경과 용어 특성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53개 국가도서관 목록레코드를 조사하여 태권도관련 자료의 표기 실태 및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태권도관련 자료가 미국, 독일, 중화민국, 영국, 스페인 등 일부 특정 국가도서관에 집중되어 있는 반면, 한 건도 검색되지 않은 곳이 4개 국가도서관에 달했다. 둘째, 태권도관련 자료의 표제 키워드는 직접적으로 태권도를 의미하는 용어가 93.5%이고, 기타 한국 무예, 한국 호신술, 한국 가라데 등이 6.5%로 나타났다. 자료의 언어별 빈도는 영어가 38.7%, 독일어, 스페인어, 중국어, 한국어 등이 각각 8~9%이다. 태권도의 로마자 번자는 'Taekwondo' 50.3%, 'Tae kwon do' 18.5% 등이다. 셋째, 태권도관련 목록의 주제명은 실제적인 의미가 태권도를 나타내는 주제명이 74.7%로 대부분이지만, 가라데를 의미하는 주제명이 7.6%, 일반 주제명 5.7%, 주제명이 기술되지 않은 경우가 12.0%로 나타났다. 이는 일부 국가도서관에서 태권도를 가라데로 잘못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통일 독일의 도서관 통합 과정과 통일 후의 준비 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Germa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After the Unification of East and West Germany)

  • 노문자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28권
    • /
    • pp.135-165
    • /
    • 1995
  • When the unification process was established, West German librarians formed a commission for all library and information sectors. After legal unification, the committee formed 6 Arbeitsgruppe(AG) to develop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ies for the country. This was designed specially to elevate the level of the East German library system to the West German standard. The first AG concerns the public libraries. The second AG focuses on the education system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pecialists. The third AG examines the academic libraries. The fourth AG reviews the regional and national library services and the central organization. The fifth AG explores library and information techniques. The sixth and final AG inspects the legal problem of libraries. Each AG consists of specialists from both East and West German library systems who are experts in their particular subject area. The committee has general meetings to determine the best direction for the nation's library system. Common knowledge indicates this unification was based on economical amalgamation(fusion) from East Germany to West Germany. The unification resulted in the library and information recommendations tending to favor the more advanced West German policies. In this process there are a number of subtle ideological and psychological problems. If before the separation they had developed their library system as one entity, they could overcome the current differences. with much less confusion. In this political phenomenon we can learn that cultural unification needs more time than political unification.

  • PDF

전문도서관 통계의 문제점과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blems and Development Plan of Statistics in Special Library)

  • 노영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5-47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에 나타난 자료를 활용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현황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도출하며, 이를 기반으로 발전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첫째, 전문도서관통계를 알 수 있는 전수조사가 필요하다. 둘째, 전문도서관에 사용되는 명칭의 통일이 어느 정도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전문도서관에 대한 주제분류를 제시해야 한다. 넷째, 전문도서관이 통계조사에 참여할 수 있는 적극적인 홍보와 인센티브가 필요하다. 다섯째, 전문도서관이 기타 통계로 분류되어 있는 문제의 해결이 필요하다. 여섯째, 법원도서관, 헌법재판소 도서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등 국가도서관 및 대형 전문도서관의 통계는 어디에서도 찾을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지 않는 이상 전문도서관에 대한 전체적인 평가와 국가차원의 정책제안은 의미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BERT 모형을 이용한 주제명 자동 분류 연구 (A Study on Automatic Classification of Subject Headings Using BERT Model)

  • 이용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435-452
    • /
    • 2023
  • 이 연구는 딥러닝 기법의 전이학습 모형인 BERT를 이용하여 주제명의 자동 분류를 실험하고 그 성능을 평가하였으며, 더 나아가 주제명이 부여된 KDC 분류체계와 주제명의 범주 유형에 따른 성능을 분석하였다. 실험 데이터는 국가서지를 이용하여 주제명의 부여 횟수에 따라 6개의 데이터셋을 구축하고 분류 자질로 서명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분류 성능으로 3,506개의 주제명이 포함된 데이터셋(레코드 1,539,076건)에서 마이크로 F1과 매크로 F1 척도가 각각 0.6059와 0.5626 값을 보였다. 또한 KDC 분류체계에 따른 분류 성능은 총류, 자연과학, 기술과학, 그리고 언어 분야에서 좋은 성능을 보이며 종교와 예술 분야는 낮은 성능을 보였다. 주제명의 범주 유형에 따른 성능은 '식물', '법률명', '상품명'이 높은 성능을 보인 반면, '국보/보물' 유형의 주제명에서 낮은 성능을 보였다. 다수의 주제명을 포함하는 데이터셋으로 갈수록 분류기가 주제명을 제대로 부여하지 못하는 비율이 늘어나 최종 성능의 하락을 가져오기 때문에, 저빈도 주제명에 대한 분류 성능을 높이기 위한 개선방안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