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deltoid bursa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9초

결핵성 삼각근하 점액낭염 - 증례 보고 - (Tuberculous Subdeltoid Bursitis - A Case Report -)

  • 이우승;윤정로;강규복;양재혁;임형태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5-48
    • /
    • 2010
  • 85세 여자 환자에서 발생한 결핵성 삼각근하 점액낭염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인접 관절의 침범 없이 발생하는 결핵성 점액낭염은 드물며 외상을 받기 쉬운 대전자, 슬개전 및 주두 점액낭 등에 주로 발생하지만 어느 곳에나 발생 할 수 있다. 결핵성 삼각근하 점액낭염에서 견관절 전외측부 통증, 압통 및 충돌 징후 양성 등 임상 증상 및 이학적 검사는 회전근 개 질환과 유사하며 자기공명영상 검사 및 관절경 소견에서 관찰되는 활액막의 비후 및 다발성의 미립체의 소견등은 류마토이드 관절염 등과 같은 활액막 침범 질환과 유사한 소견을 보일 수 있으므로 이러한 질환들과 감별을 요한다.

  • PDF

류마토이드 관절염에서 회전근 개 전층 파열과 동반되어 견관절과 견봉하 및 삼각근하 점액낭에 동시에 발생된 다발성 미립체: 관절경적 치료 및 자기 공명 영상 소견 -1례 보고- (Multiple Rice Body in both Glenohumeral Joint and Subacromial & Subdeltoid Bursa Simultaneously combined with Full Thickness Cuff Tear in Rheumatoid Arthritis: Arthroscopic Treatment & MR Appearance -A Case Report-)

  • 노규철;정영기;나경수;유정한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65-69
    • /
    • 2005
  • 류마토이드 관절염이나 혈청학적 음성의 여러 관절병증에서 작은 크기의 섬유소성 미립체의 형성은 흔히 나타나는 소견이다. 그러나 류마토이드 관절염에서 견관절의 견봉하-삼각근하 점액낭염과 연관되어 생기는 다발성의 미립체는 굉장히 드물다. 지금까지, 문헌상 만성적인 류마토이드 관절염 환자에서 견관절의 회전근 개 전층 파열과 동반되어 견관절과 견봉하-삼각근하 점액낭에 동시에 발생된 다발성 미립체를 관혈적이 아닌 관절경적으로 치료한 예는 없는 것으로 사료되어 이에 보고하고자 한다. 또한 견봉하-삼각근하 점액낭에 발생한 미립체에 대한 자기 공명 영상 소견도 최근까지 단지 몇몇 보고에만 언급 되어 왔다. 그래서 다발성 미립체와 연관된 여러 가지의 활액막 증식성 질환들의 감별 진단을 위해 견봉하-삼각근하 점액낭에 생긴 다발성 미립체의 자기 공명 영상 소견을 기술하고자 한다.

  • PDF

견봉하 삼각근하낭염 환자에서 견봉하낭 스테로이드 주사 후 운동의 효과 (Role of Exercise after Subacromial Bursa Injection in Subacromial Subdeltoid Bursitis)

  • 김선웅;김상준
    • Clinical Pain
    • /
    • 제16권1호
    • /
    • pp.20-25
    • /
    • 2017
  • Objective: To find that the patients who conducted home self-exercise in conjunction with intra-articular corticosteroid injection will have better improvement in subacromial subdeltoid (SASD) bursitis symptoms than those who received only an injection. Method: A prospective, nonrandomized, comparison study was conducted in outpatient rehabilitation clinic in a tertiary university hospital. Patients diagnosed with SASD bursitis with physical examination and ultrasound evaluation were included and received ultrasound guided injection (UGI).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compliance of self-exercise: UGI-exercise group and UGI only group. Visual analog scale (VAS) was checked before, at 3 weeks, 3 months, and 6 months after the UGI. A patient's global impression of change (PGIC) survey was made at 3 months after the UGI. Results: A total of 82 patients with SASD bursitis were included. At 3 weeks after the injection, the mean VAS for the UGI-exercise group was 2.6 ± 1.7 and for UGI only group was 1.9 ± 1.3 (p=0.030). At 3 months after the injection, the mean VAS for the UGI-exercise group was 4.0 ± 1.3 and for UGI only group was 5.4 ± 1.4 (p<0.001). Conclusion: We concluded that home-based self-exercise of the shoulder provides an additional benefit for pain alleviation possibly with prolonging the effect of injection in SASD bursit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