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udying Effect

검색결과 913건 처리시간 0.026초

교수 및 학습 프로그램 평가연구의 선별편향성 개선을 위한 제언 (Suggestions to Improve Selection-Bias in Teaching or Studying Programs)

  • 박경호
    • 의학교육논단
    • /
    • 제12권1호
    • /
    • pp.3-8
    • /
    • 2010
  • This study i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or studying programs, and thus to overcome the selectionbias in studies. Selection-bias derived from unobservable characteristics in the course of participants selection of the teaching or studying programs, in the case of cross-section data instrumental variable(IV) method and two stage least square estimation were suggested as an analysis tool. Panel data were analyzed by using both fixed effect in which individual effects are captured by intercept terms and random effect estimation where an unobserved effect can be characterized as being randomly drawn from a given distribution.

비고츠키의 근접발달영역을 고려한 수학과 교수·학습 프로그램연구 (A Study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based on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of Vygotsky)

  • 강정미;최창우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4권4호
    • /
    • pp.339-358
    • /
    • 2018
  • There has been researches for effective education. Among them, many researchers are striving to apply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of Vygotsky which is emphasizing the social interaction in the field of teaching and learning. Researchers usually research based on individual or small group of students. However the math class in school relies on system that one teacher teach many students in reality. So this research will look for the effect that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based on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of Vygotsky by design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which is based on scaffolding structuring to overcome the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in many-students clas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ing program considered the theory of Vygotsky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mathematical achievement of elementary student. Second, the studying program considered the theory of Vygotsky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student's studying attitude upon mathematics.

데이타 마이닝을 사용한 방학 중 학습방법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분석 (Effective Studying Methods during a School Vacation: A Data Mining Approach)

  • 김혜숙;문양세;김진호;노웅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4권1호
    • /
    • pp.40-51
    • /
    • 2007
  •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해 정규 수업 이외에도 과외, 학원수강, 교육방송 시청 등 다양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방학 중 학습방법과 생활습관이 학업성취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데이타 마이닝 접근법을 제안한다. 우선,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방학중의 학습방법과 생활습관에 대한 다양한 요소를 도출한다. 다음으로, 마이닝 기법 중 의사결정트리와 연관 규칙을 사용하기 위한 데이타 변환 및 분석 방법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현실의 구체적 데이터에서 의사결정트리를 생성하고 연관 규칙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중학생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의사결정트리의 경우 네 가지 의미있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상위권 학생들의 경우 학원수강이 성적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부분 학생들의 경우 인터넷 학습사이트 이용은 성적을 하락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적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했던 과외는 실제로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다양한 학습방법의 병행은 오히려 성적 하락의 요인이 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다음으로, 연관 규칙 추출 결과, 방학 중 활동 사이에는 특이한 규칙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데이타 마이닝 접근법 및 결과는 학생들의 방학 중 생활 지도나 학습 계획 수립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효율적인 유비쿼터스 학습을 위한 u-SM 교수학습모형 설계 및 적용 (Design and Application of the u-SM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 an Efficient Ubiquitous Learning)

  • 김상홍;주길홍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235-244
    • /
    • 2008
  • 컴퓨터와 통신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최근의 교육환경은 학습자 스스로 학습내용, 학습 시간 및 학습 순서를 선택하고 조작하는 유비쿼터스 학습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학습에서는 학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전문가의 도움이나 조언 등이 절실히 필요하다. 따라서 유비쿼터스 학습에 스케폴딩과 멘토링의 방법을 접목시키면 학습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캐폴딩과 e-멘토링을 활용한 u-SM(Ubiquitous Scaffolding and Mentoring) 교수학습모형을 설계한다. 또한 설계된 u-러닝 교수학습모형을 구현하고 적용하여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u-러닝 환경에서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의 적용 가능성을 검증해보았다.

  • PDF

`스토리텔링`기법을 통한 가구디자인 학습방법 개발 (Development of Teaching Method for Furniture Design through 'Story telling')

  • 김국선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63-171
    • /
    • 2008
  •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with many concerns about various teaching methods that attainable the substantial learning process of practical affair system in order to cope with the rapidly changing situation of the times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the field of design. Design Process Studying Method which utilizes 'Story Telling' as the process where the whole learning is achievable, in accordance with the educational target of the creative professional technician training that complies with the requirement of the times, and by progress of the integrated structure dividing as 1, 2, 3 stages, it doubles various studying effect, and it enables to expect the connection studying effect with other study-subject. Since the process of such program induces the positive participation of the student, it was known that a superior interchange of information is attainable, and due to its enthusiasm and interest on the study, the participating rate for study was appeared very highly.

  • PDF

물리학습에서의 인지적 신념과 동기 신념에 대한 공과대학 학생의 인식과 교수자의 기대 비교 (Comparison Engineering Students' Beliefs with Professors' Expectations about the Cognitive Beliefs and the Motivational Beliefs in Learning Physics)

  • 강유진;김지나
    • 공학교육연구
    • /
    • 제16권2호
    • /
    • pp.50-57
    • /
    • 2013
  • 공학 교육에서 물리학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공과대학 학생의 물리학습 수행과 관련된 연구는 비교적 적은 편이다. 물리학습의 수행과 관련된 선행연구 결과에 의하면 물리학습에 대한 인지적 신념과 동기 신념은 물리학습에 강하게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공과대학 학생의 물리학습에 대한 인지적 신념과 동기 신념에 대한 교수자의 기대와 공과대학 학생의 인식 비교를 통해서, 교육적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물리학습에 대한 인지적 신념과 동기 신념의 5가지 하위 차원 중에서, 교수자의 기대와 공과대학 학생의 인식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인 차원은 기대 차원이었다. 교수자들은 공과대학 학생들이 물리학습에 대해서 자신감을 가지기를 바라는데 비해서, 학생들의 자신감과 기대는 낮은 수준이다. 공과대학 학생에게 물리학을 가르치는 교수자는 이러한 차이를 인식하고, 신념적 측면의 정의적 영역에 관심을 가지고 지도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공과대학 학생의 물리학습 수행에서의 과제 수행 능력에 대한 신념, 물리학에 대한 목적, 중요성, 흥미 등을 이끌 수 있는 교수 학습 전략을 고안할 필요가 있다.

보건계열 일부 대학생의 토익학습의 학업소진 영향과 관련된 융복합적 요인 연구 (A study on Convergence Factors Related with Academic Burnout of Students in Health Majors in Studying for TOEIC)

  • 홍수미;김승희;배상윤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6호
    • /
    • pp.315-327
    • /
    • 2017
  • 본 연구는 보건계열 일부 대학생의 토익학습에서 학업소진과 관련된 융복합적 요인들을 조사하고자 수행하였다. 조사대상은 J지역에 소재한 대학의 보건계열 토익학습반에서 임의로 선정된 재학생 291명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17년 4월 3일부터 4월 14일까지 기간에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여학생이, 수면시간이 부적절할수록,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학교적응유연성 및 학습몰입이 낮을수록, 자기유능감, 취업스트레스 및 시험불안이 높을수록 토익학습의 학업소진이 높았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65%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보건계열 대학생의 토익학습의 학업소진을 낮추기 위해서는 적절히 수면하고,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학교적응유연성 및 학습몰입을 높이고 자기유능감, 취업스트레스 및 시험불안을 관리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결과는 보건계열 대학생의 토익학습의 학업소진을 낮추어 국제화 역량을 키우기 위한 영어 학습 능률을 높이는 데 활용이 기대된다. 향후연구에서는 이들 요인들이 학업소진에 미치는 조절 및 매개효과에 대한 융복합적인 영향 분석이 필요하다.

흉쇄유돌근의 통증치료가 측두하악관절의 운동제한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emporomandibular Joint Movement Restriction on Treatment of Sternocleidomastoid Muscle Pain)

  • 엄기매;배영숙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9권5호
    • /
    • pp.43-49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he effects of temporomandibular joint movement restriction on treatment of SCM muscle pain. Methods: The Subjects(n=20) were males(n=7) and females(n=13) that had SCM muscle pain and movement restriction at one side oftemporomandibular joint. The massage and Taping performed on the SCM muscle during 4 weeks. The measured items of SCM pain were pressure-pain scale, DITI. The measured items of temporomandibular joint movement restriction were VAS, ROM, deviation. Results: SCM muscle of pressure-pain scale is lower in ipsilateral than counterlateral, But temperature is higher in ipsilateral than counterlateral. Pressure-pain scal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 After studying, the pain and temperature of SCM muscle was decreased and statistical significance(p<0.05). After studying, VAS of Temporomandibular joint was decreased, ROM was increased, deviation was decreased. All of measured items of Before and after studying found a statistical significance(p<0.05).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SCM muscle pain related TM joint pain and movement restriction. The patient with TM joint movement restriction that may take effect on reducing SCM muscle pain.

  • PDF

A Study on Correlation of Multi-Cultural Social Distance with Immigrant upon Xenophobia in Korea Society

  • Jung, Myung-Hee
    • 유통과학연구
    • /
    • 제15권5호
    • /
    • pp.39-47
    • /
    • 2017
  • Purpose - This study investigated xenophobia that has been a serious social problem, and classified multi-cultural groups in Korea into married immigrant, foreign labor workers and foreign students studying in Korea to examine the effects of fixed idea on multi-cultural persons, multi-cultural education experience, multi-cultural sensitivity, good feeling on multi-cultural persons upon social distance with multi-cultural persons, and to find out counteractions and cultural capacity on the xenophobia.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study classified multi-cultural persons into married women immigrant, foreign labor worker, and foreign students studying in Korea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ir thoughts on cultural cognition.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The subject was college students in Gyeonggi, Gyeongnam and Chungcheong with industrial complexes, more married women immigrants and more foreign students studying in Korea. Results - As shown in the findings, Korean people had different emotion and preference on married immigrant or foreign students studying in Korea and foreign labor workers. Conclusions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multi-cultural person's cultural distance upon xenophobia. Different preference to multi-cultural persons depending upon fixed idea might produce xenophobia, so that the government was demanded to establish various kinds of policies of lives to live life together with immigrant at government level.

웹 기반 문제저작 중심 협동 학습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Web based Collaboration Learning System for Question Marking)

  • 최유순;정석태;박종구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127-133
    • /
    • 2006
  • 지식 정보화 시대의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웹을 활용한 학습자 중심의 교육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웹상에서의 정보 공유와 활발한 상호작용을 이루는 웹 기반 협동학습을 통하여 학습자의 능동적인 학습 참여와 학업성취도 향상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학습자가 잘 적응하기 위해서는 협동학습만을 강조하기보다는 협동 학습과 경쟁 학습의 조화로운 활용으로 동기 유발과 학습 흥미가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공동의 목표 달성을 위해 긍정적 상호작용을 하여 학습효과를 높이고 팀 경쟁을 통해 학습동기를 촉진함으로써 학습자들이 문제저작을 통한 협동학습과정에서 주도적이고 능동적인 학습이 이루어지며 협동학습을 위해 다양하게 활용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