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udents' Performance

검색결과 2,602건 처리시간 0.027초

Hi, KIA! 기계 학습을 이용한 기동어 기반 감성 분류 (Hi, KIA! Classifying Emotional States from Wake-up Words Using Machine Learning)

  • 김태수;김영우;김근형;김철민;전형석;석현정
    • 감성과학
    • /
    • 제24권1호
    • /
    • pp.91-10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승용차에서 사람들이 기기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동어인 "Hi, KIA!"의 감성을 기계학습을 기반으로 분류가 가능한가에 대해 탐색하였다. 감성 분류를 위해 신남, 화남, 절망, 보통 총 4가지 감정별로 3가지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자동차 운전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12가지의 사용자 감정 시나리오를 제작하였다. 시각화 자료를 기반으로 총 9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녹음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녹음 파일의 전체 문장에서 기동어 부분만 별도로 추출하는 과정을 거쳐, 전체 문장 파일, 기동어 파일 총 두 개의 데이터 세트로 정리되었다. 음성 분석에서는 음향 특성을 추출하고 추출된 데이터를 svmRadial 방법을 이용하여 기계 학습 기반의 알고리즘을 제작해, 제작된 알고리즘의 감정 예측 정확성 및 가능성을 파악하였다. 9명의 참여자와 4개의 감정 카테고리를 통틀어 기동어의 정확성(60.19%: 22~81%)과 전체 문장의 정확성(41.51%)을 비교했다. 또한, 참여자 개별로 정확도와 민감도를 확인하였을 때, 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였으며, 각 사용자 별 기계 학습을 위해 선정된 피쳐들이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기동어만으로도 사용자의 감정 추출과 보이스 인터페이스 개발 시 기동어 감정 파악 기술이 잠재적으로 적용 가능한데 대한 실험적 증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멀티플렉스 영화관의 선택속성이 만족도,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질적/양적 방법의 혼합 (Effects of Selection Attributes on Satisfaction and Loyalty of Multiplex Cinemas: Combin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 조은정;남채은;차하영;신정현;한영위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10권2호
    • /
    • pp.49-58
    • /
    • 2019
  • Purpose - As the growth potential of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steadily grows, the cinemas industry is growing fast especially due to popularity and commerciality. The recent in the cinemas industry is evolving on multiplex cinemas that combine cultural facilities such as theaters, restaurants, and shopping centers. Due to the rapid growth of multiplex cinemas, many researchers have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visiting customers in Korea. Among them, selection attribute of multiplex cinemas, including the service quality and physical environment, is important because it may examines the cause of customer 's behavior. Thus,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effects of the selection attributes of the multiplex cinema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their loyalty. This research suggests the guidelines for how cinemas should manage their customers and build their customers satisfaction and loyalty that improve business performanc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test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election attributes of multiplex cinemas,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selection attributes of multiplex cinemas divide into five sub-dimensions such as movies facility quality, services, cleanliness, accessibility, and snack bars quality. In order to examine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were developed. All constructs were measured with multiple items developed and tested in the previous studi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00 students in their 10-20s and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SmartPLS 3.0 and fsQCA program. Result -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ll selection attributes except cleanliness have significant positive impact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Second, customer satisfaction has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loyalty. Third, as a result of fsQCA, high satisfaction and high accessibility were the necessary conditions on loyalty. Fourth, the necessary conditions for male and female groups were different. Conclusions -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Overall, multiplex cinemas should manage selection attributes basically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ater. Especially, cleanliness was not significant, but the customer probably consider it an essential and basic factors. Also, they are able to manage the selection attributes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gender. For the male customers, it is effective that centralized strategy and for female customers, it is effective that emphasized the multiplex cinemas image.

가상현실 학습환경에서 동작기반 인터페이스가 실재감 지각 및 수행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Gesture Based Interface on Presence Perception and Performance in the Virtual Reality Learning Environment)

  • 류지헌;유승범
    • 한국교육학연구
    • /
    • 제23권1호
    • /
    • pp.35-56
    • /
    • 2017
  • 이 연구는 가상현실 학습공간에서 동작인식 인터페이스의 적용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동작인식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해서 작동하는 방식이므로 기존의 인터페이스와는 달리 신체적인 움직임을 자연스럽게 표현한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동작인식 인터페이스가 가상현실과 같은 실감형 학습환경에서 실제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이 연구가 수행되었다. 특히, 동작기반 인터페이스가 가상현실 학습공간의 실감형 디스플레이와 함께 사용될 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 연구를 44명의 대학생이 참여했으며 디스플레이의 실감성 수준(착용형 vs. 모니터)과 동작기반 인터페이스의 적용여부(동작기반 vs. 조이스틱)에 따른 적용효과를 검증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공간구조가 적용되지 않은 학습내용에서는 동작기반 인터페이스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공간구조가 적용된 학습내용에서는 조이스틱을 활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었다. 또한 착용형 디스플레이와 같이 실감성이 높은 매체와 함께 동작기반 인터페이스를 함께 활용한다고 하더라도 실감성을 더 높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동작기반 인터페이스의 장점과 가상현실 학습공간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미래학교 조성을 위한 중학교 공간사용 실태 분석 연구 - 학생중심 공간 재구조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Middle School Space Usage For Future School - Focused on the Reorganization of Student-Oriented School Space -)

  • 김경숙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9권4호
    • /
    • pp.26-39
    • /
    • 2020
  • 본 연구는 중학교 교육 공간에 대한 사용자인 학생들의 이용 특성과 요구 공간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학습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수업 방식으로 강의식 수업, 팀 프로젝트 및 4인 토의·토론수업 등 학생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수업 방식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쉬는 시간대 공간 사용 장소와 친구 관계형성 장소를 보면 대부분 교실과 복도에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친구의 그룹 구성도 3~8명이 다수이나 그 이상의 경우도 다양하게 구성되어 활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학급교실에서 가깝게 위치해야 할 공간으로 건물 중심에 체육관, 도서관, 화장실, 계단, 식당, 보건실, 교무실 등이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학교 공간이 균형 있게 배치될 필요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현재의 시설 외의 학습활동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시설로 체육(무용)실, 시청각실(공연실), 공작실(개인 창작), 매점, 휴게 공간, 실내 넓은 광장, 스터디룸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기존의 교과 기반 교실 배치 및 공간 구성 형식은 교수·학습 방법, 쉬는 시간 공간사용, 어울리는 친구의 규모, 가깝게 위치해야 하는 공간의 선호도 등을 고려한 학교 교육 공간 재구조화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초등 AI 교육 플랫폼에 대한 전문가 인식조사 연구 (A Study on Experts' Perception Survey on Elementary AI Education Platform)

  • 이재호;이승훈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4권5호
    • /
    • pp.483-494
    • /
    • 2020
  • 4차 산업혁명이 도래함으로써 AI 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미래를 이끌어갈 AI 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학교 현장에서 AI 교육이 내실 있게 이루어져야 한다. 국내·외에서 AI 교육을 시행하고 있지만, 더 나은 AI 교육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AI 교육 플랫폼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판단하였기에, 본 연구에서는 AI 교육 플랫폼에 대한 전문가 인식을 조사하였다. 교수·학습관리, 교육용 콘텐츠, 접근성, AI 교육 플랫폼의 성능, 초등학생의 수준 적합도 등의 5가지 기준을 바탕으로 인식조사를 시행하였다. 총 103명의 교육 관련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조사 결과 Machine Learning for Kids, Teachable Machine, AI Oceans(code.org), 엔트리, 지니 블록, 앱인밴터, Elice, mBlock 등의 8가지 플랫폼 중 엔트리가 초등 AI 교육에 가장 적합한 플랫폼으로 선정되었다. 이는 엔트리가 양질의 교육용 콘텐츠를 제공하고, 접근성이 편리하며, 교수·학습 관리가 가능하고, 초등학생들의 수준에 적합한 AI 교육 플랫폼이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다양한 AI 교육 플랫폼을 학교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서 교사를 대상으로 AI 관련 연수를 실시하여 AI 교육 전문가로 양성해야 하며, 지속적으로 AI 교육 플랫폼을 접할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조사대상 인원이 제한적이었고, 대부분의 인식조사 참여자가 경기도에서 근무하는 전문가라서 모집단 인식조사라고 하기 에는 제한점이 존재한다. 향후 이와 같은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한 전국단위의 전문가를 대상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산대(山臺)를 통해 본 석가산 조영 문화 (An Implications of the Korea's Traditional Seokgasan through the Studying Traditional Sandae)

  • 윤영조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9-48
    • /
    • 2020
  • 본 연구는 고려시대부터 조선 후기까지 궁궐 왕의 행차, 나례, 사신영접, 연회 등의 목적으로 조설되었던 전통공연예술분야의 무대장치인 산대(山臺)의 유형, 구조적 형상, 표상의 원리를 고찰하여 동시대 석가산(石假山) 조영 문화의 확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산대의 발달사와 그 의미를 통해 외부공간에 '산'의 형상을 실체화하고자 한 석가산의 조영 문화와의 동질성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산대를 만드는 행위 자체는 명산을 숭배하는 전통과 관련이 깊다. 이는 고려 예종 '청연각' 앞뜰에 조성된 석가산에서 중국의 명산명호(名山名湖)가 표상적으로 비유되어 모사(摹寫)된 사실과도 일치한다. 둘째, 산대와 석가산은 그 구조적 형상과 재료, 기술적 제작방식은 달랐으나 산의 형상을 조형하여 완상하거나 국가행사의 무대배경으로 활용되며,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산을 모사한 산대의 형상과 상징적 의미는 요산요수(樂山樂水)로 대표되는 당대의 정원 및 예술적 관심사가 산수의 다양한 조형적 표현으로 귀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신재효의 고택의 정원 중앙에 위치했던 것으로 추정되는 연(蓮)이 심겨진 방지와 이에 인접한 수각과 석가산은 정원을 수식하는 요소일 뿐 아니라 신재효의 문하생의 수련 및 공연무대의 배경으로 기능을 수행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남자 고등학생의 자기조절능력이 치과 치료공포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lf-regulation ability on fear of dental treatment among male high school students)

  • 김영선;이정화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89-98
    • /
    • 2021
  • Background: To analyze the effect of self-regulation on the fear of dental treatment in order to use it as basic data for efficient oral health care among male adolescents. Methods: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241 first graders of specialized high schools in Daegu using a self-entry method. Twenty questions about fear of dental treatment and fifteen questions about self-regulation were included. The higher the score, the higher the fear of dental treatment and the self-regulation ability, showing a high reliability of 0.972 and 0.750, respectively. Results: The mean score of the participants' self-regulation ability was 3.25±0.51 and that of the degree of fear for dental treatment was relatively low at 1.72±0.85.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academic performance (F=7.635, p<0.01), the better was the self-regulation based on self-diagnosis (F=3.142, p<0.05), and was associated with higher health awareness (F=5.894, p<0.01). The degree of fear for dental treat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elf-diagnosis-induced poor health group (F=4.933, p<0.01) and associated with a lower awareness of health (F=3.093, p<0.05). The participants' self-regulation ability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degree of fear regarding dental treatment (r=-0.269, p<0.01).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degree of fear as a dependent variable and including sub-area variables of self-diagnosis-based health status, perception of health, and self-regulation ability as independent variables (β=-0.163, p<0.05). Among the self-regulation abilities, controlled composition (β=-0.232, p<0.01) had a significant effect; the higher the composition, the lower the degree of fear. The total explanatory power of this variable was 8.5%. Conclusion: An appropriate customized education program that can encourage individuals to practice self-care and maintain oral hygiene along with a clear understanding of underlying individual oral health conditions during adolescence is essential for promoting oral health.

예술교육 매체로서 메타버스 사례 연구 - SK텔레콤 ifland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etaverse as an Arts Educational Medium - Focusing on ifland of the SKT Metaverse Platform)

  • 조이킴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391-396
    • /
    • 2021
  • 본 연구는 메타버스를 활용한 예술교육의 가능성과 한계를 살피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경기도 A시에 위치한 D 대학교 실용음악, 뮤지컬, 케이팝, 전통연희, 연극, 엔터테인먼트경영 전공 등 예술전공자 학생으로 구성된 50명의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메타버스를 활용한 예술교육 실험연구를 진행했으며,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에스케이텔레콤(SKT)의 이프랜드(ifland)를 사용했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메타버스 프랫폼을 활용한 예술교육 효과와 가능성에 대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메타버스를 활용한 수업 방식에 대한 만족도 기준은 전공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특히 MZ 세대 예술전공자가 바라본 메타버스 플랫폼을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은 학문에 대한 전문성보다 유희성이었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교육 매체로서 메타버스 플랫폼이 사용되기 위한 학생의 희망 사항은 인터렉티브한 속도감이 모바일을 통한 촬영(녹음), 스캔, 전송 기술 개발, 그리고 와이파이망 확보 순이었다. 메타버스를 타고 K-교육이 부상할 때다. 본 연구로 인하여 가상세계뿐만 아니라 동시대 예술교육 매체 개발과 문화기술 연구에서 예술이 더이상 후발주자가 아닌 주도적인 개척자이자 주체자로서 교육과 산업을 연결하는 파도를 일으키는 시선이 되기를 조심스럽게 바라본다.

The Learning Stress, Immersion and Satisfaction in FTF and NFTF Classes of Major Subjects in Junior College

  • Gyeoung-Ran, Mo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3호
    • /
    • pp.91-100
    • /
    • 2023
  • 본 연구는 2021년 2학기 비대면 수업과 2022년 2학기 면대면 수업 형태에 따른 학습몰입도, 학업스트레스 및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규명 사례 연구이다. C 전문대학 공학계열 S 학과에서 이루어진 이론교과목 면대면과 비대면 수업에서 동일 교재, 동일 과목, 동일 교수가 진행한 수업에서 240명에 대한 수업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Ver. 23.0을 이용하였다. 크론바하 α 신뢰도 계수 산출, t-test 및 피어슨 적률상관계수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학 전공 이론교과목의 비대면 수업보다 면대면의 수업 형태에서 학습자의 학습 몰입도가 더 높았다. 둘째, 공학 전공 이론교과목의 면대면과 비대면 수업 형태에 따라 학업 스트레스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학 전공 이론교과목 중 면대면과 비대면과 수업 형태에 따른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교수·학습구성 요인별 상대적 영향력은 교수활동, 상호작용, 과제수행, 수업 안내 및 수업환경 변인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공학 전공 이론교과목에서 면대면 수업이 학습자의 학습 몰입감, 수업 만족도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비대면 수업은 학업 스트레스에 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교수학습센터(CTL) 학습지원프로그램 맞춤형 학습역량 진단도구 개발 : A대학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Learning Competency Scales : Focused on CTL Learning Program)

  • 김남희;강대식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269-278
    • /
    • 2021
  • 본 연구는 A대학 교수학습센터(Center for Teaching & Learning)에서 수행하고 있는 학습지원프로그램 맞춤형 학습역량 진단도구를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3개 역량군(기초역량, 심화역량, 활용역량)과 13개 학습역량 요인으로 구성된 잠정적 학습역량 진단도구를 설정하였다. 잠정적 학습역량 진단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위해 2020년 9월에 A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를 정리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기본역량, 심화 역량, 활용역량 3개 역량군은 유지되면서 13개 학습역량이 10개로 축소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형의 적합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CTL 맞춤형 학습역량 진단도구 10개 영역, 44개 문항을 최종 확정하였다. 또한 확정된 학습역량 요인의 신뢰도(Cronbach' α)를 분석한 결과, 10개 요인 모두 .7이상으로 양호한 수준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학습역량 진단도구는 CTL 학습지원프로그램의 성과평가와 신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