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udent Movement

검색결과 155건 처리시간 0.026초

다니엘 전지를 구성하는 염다리의 역할에 대한 고등학생, 화학교사, 그리고 예비 과학 교사들의 개념 유형 분석 (An Analysis of Conception Types of High School Students, Chemistry Teachers, and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bout Salt Bridge of Daniel Electronic Cell)

  • 박진희;김동욱;백성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544-555
    • /
    • 2004
  •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학생들, 화학교사들, 그리고 예비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여 다니엘 전지에서의 염다리 역할에 대한 개념 유형을 설문과 면담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또한 교사와 학생들이 가지는 개념의 어려움에 대한 원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고등학교 화학 II 교과서의 서술내용에 대한 분석도 병행하였다. 예비 교사들의 생각은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점검하기 위하여 조사되었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염다리를 통한 이온의 이동에 관한 관점은 가지고 있었으나,염다리가 닫힌 회로를 완성하는 역할을 한다는 사실에 대한 관점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학생들과 예비교사의 경우에도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과 학생들이 염다리에 대한 정확한 개념을 형성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원인은 교과서의 불충분하고 다양한 설명 때문일 가능성이 있었다.

물질의 세 가지 상태에 대하여 중학생들이 만든 비유의 분석 (Analysis of the Analogies on Three States of Matter Generated by Middle School Students)

  • 권혁순;최은규;노태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65-272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이 만든 물질의 세 가지 상태에 대한 비유를 분석하여 비유의 유형, 학업 성취 수준에 따른 차이, 그리고 오개념 유발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많은 학생들이 일상생활에서 쉽게 경험할 수 있는 구체적인 소재나 상황을 비유물로 선택하여 부연 설명과 함께 이야기하듯 서술하는 비유를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입자 배열을 변화시키는 잠열의 출입이나 분자의 운동 등의 인과 관계를 고려한 비유는 만들지 못했다. 성취 수준에 따라서는 하위 학생들보다 상위 학생들이 분자의 배열과 운동을 모두 포함하고, 설명을 곁들인 이야기식 비유를 더 많이 만들었다. 한편, 학생들은 고체 상태에서 분자가 움직이지 않는다거나 상태에 따라 입자가 바뀔 수 있다는 것과 같은 오개념을 유발할 수 있는 비유를 만들었다.

기업교육을 위한 인터넷 원격훈련 학습과정 모니터링 연구 (Learning Process Monitoring of e-Learning for Corporate Education)

  • 김도헌;정효정
    • 산경연구논집
    • /
    • 제9권8호
    • /
    • pp.35-40
    • /
    • 2018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monitoring study on the learning process of e-learning contents. This study has two research objectives. First, by conducting monitoring research on the learning process, we aim to explore the implications for content development that reflects future student needs. Second, we want to collect empirical basic data on the estimation of appropriate amount of learning.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is a case study of learner's learning process in e-learning. After completion of the study, an in-depth interview was made after conducting a test to measure the total amount of cognitive load and the level of engagement that occurred during the learning process. The tool used to measure cognitive load is NASA-TLX, a subjective cognitive load measurement method. In the monitoring process, we observe external phenomena such as page movement and mouse movement path, and identify cognitive activities such as Think-Aloud technique. Results - In the total of three research subjects, the two courses showed excess learning time compared to the learning time, and one course showed less learning time than the learning time. This give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content development. Firs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importance of selecting the target and contents level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subject. Second, it is necessary to design the learner participation activity that meets the learning goal level and to calculate the appropriate time accordingly. Third, it is necessary to design appropriate learning support strategy according to the learning task. This should be considered in designing lessons. Fourth, it is necessary to revitalize contents design centered on learning activities such as simulation. Conclusions - The implications of the examination system are as follows. First, it can be confirmed that there is difficulty in calculating the amount of learning centered on learning time and securing objective objectivity. Second, it can be seen that there are various variables affecting the actual learning time in addition to the content amount. Third, there is a need for reviewing the system of examination of learning amount centered on 'learning time'.

신설 대학급식소 운영 계획을 위한 서비스 품질 속성의 상대적 중요도 규명: conjoint 분석의 활용 (Identifying the Relative Importance of Service Quality Attribute for Developing an Operation Proposal on Hypothetical College Foodservice Approached to Conjoint Analysis)

  • 박문경;김창준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2권4호
    • /
    • pp.390-403
    • /
    • 2006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 (a) examine the using pattern of college foodservice and off-campus restaurant and identify the important service quality attributes and levels for conjoint analysis, (b) investigate the demographic factor and the lunch behavior of "S" college's foodservice customer (c) search the optimum moving time to the college foodservice by cumulative graph, (d) identify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service quality attributes and level at college foodservice by conjoint analysis, and (e) provide th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new college foodservice. Questionnaire developed were conducted with 305 daytime students. A total of 284 were usable and the data was analyzed by the SPSS(ver. 11.0) for the descriptive analysis and conjoint analysis. ‘Low price’ was the reason for using college union foodservice, and the advantages of college union the foodservice were reported to be 'speediness', 'low price', 'near distance', 'wide space' and etc in a college. For off-campus restaurant, the using reasons were mentioned 'near distance', 'menu variety', 'kindness', and 'better taste and quality' and the using advantage found out 'inexpensive and enjoyable food with friends', and 'good taste'. An optimum time required for moving to the college foodservice was calculated 9 min by cumulative graph. As the relative important attributes on college foodservice were identified in the order of the ‘price range', the 'time required for the movement' and the 'food taste', and the level were analyzed the location requiring 6~10 minutes for the movement, the price range of 2,100~2,500 won, and the providing tasty foods by conjoint analysis. As "S" college will be established a new college foodsrevice suggested by the this study result, there should be expected the increasing salse and the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on campus foodservice.

  • PDF

Clinicoradiologic evaluation of styloid process calcification

  • Bagga, Mun Bhawni;Kumar, C. Anand;Yeluri, Garima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2권3호
    • /
    • pp.155-161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morphology, and calcification pattern of the elongated styloid process in the Mathura population and its relation to gender, age, and mandibular movements.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analyzed digital panoramic radiographs of 2,706 adults. The elongated styloid process was classified with the radiographic appearance based on the morphology and calcification pattern. The limits of mandibular protrusion were evaluated for each subject.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a Student's t-test and chi-squared test with significance set at p=0.05. Results: Bilateral elongation having an "elongated" type styloid process with a "partially mineralized" pattern was the most frequent type of styloid process.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styloid process type and calcification pattern on the one hand and gender on the other, although elongated styloid was more prevalent in older and male populations (p<0.05). Further styloid process elongation showed no effect on mandibular protrusive movement (p>0.05). Conclusion: Dentists should recognize the existence of morphological variation in elongated styloid process or Eagle syndrome apparent on panoramic radiographs. We found higher prevalence of elongated styloid process in the population of the Mathura region when compared with other Indian populations. The calcification of the styloid process was more common in the older age group with no correlation to gender, mandibular movement and site. "Type I" with a "partially calcified" styloid process was observed more frequently in the population studied.

의과대학의 기능과 동선에 관한 건축계획 연구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the Function and Circulation in the College of Medicine)

  • 최광석;권순정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7권2호
    • /
    • pp.15-24
    • /
    • 2021
  • Purpose: This study is to present basic data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the college of medicine by arranging the functional zoning planning, functional unit planning, and circulation planning, based on the diversification of medical education and the changes of Learning space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literature review on existing medical education method and learning space planning. And then on-site surveys and questionnaire were conducted on existing facilities. Results: The diversification of medical education has already been progressing for a long time, and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is integrated into the learning space, and the evolution of the learning method and the flexibility of the learning space give effect to the change of the learning space. ① This study reconstructed the existing classification method of university facilities into the fuctional zoning method that combines the architectural concept of function and movement. ② The functions and functional units of the college of medicine according to the proposed functional zone were arranged, and the space required for the medical college was suggested. ③ The function and type of movement of medical college can be classified into professor/student fusion type, teaching and research separation type, and learning and learning shared space integrated arrangement type.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fusion type or integrated arrangement type rather than separation type. Implications: the evolution of the learning method and the flexibility of the learning space give effect to the change of the learning space.

대학생의 인지양식에 따라 거미 관찰에서 나타나는 안구 운동의 차이 - Heat map과 Gaze plot 분석을 중심으로 - (Differences in Eye Movement during the Observing of Spiders by University Students' Cognitive Style - Heat map and Gaze plot analysis -)

  • 양일호;최현동;정미연;임성만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7권1호
    • /
    • pp.142-156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시선 이동을 통해 나타나는 인지양식에 따른 관찰 특성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체적 인지양식, 분석적 인지양식 집단의 관찰 사실에 차이를 보이는 관찰 과제를 개발하고, 각각의 인지양식을 가진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관찰 과제를 제시했을 때 시선 이동을 측정하였다. 통계 자료와 시각화 자료를 수집하여 Fixation을 분석하였고 두 인지양식 집단의 관찰 특성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양식에 따른 관찰대상 영역을 비교했을 때 전체적 인지양식 집단은 분석적 집단양식보다 거미줄 및 주위 환경을 포함하는 넓은 영역을 관찰하는 반면 분석적 인지양식 집단은 주로 거미 대상 자체에 초점을 두고 관찰한다. 둘째, 인지양식에 따른 관찰 순서와 방향을 비교했을 때 분석적 인지양식 집단은 거미 자체를 먼저 관찰한 후 주변 환경 요소로 나가는 반면 전체적 인지양식 집단은 거미와 주변 환경을 번갈아 관찰하거나 특이한 부분을 먼저 관찰하는 등 패턴이 일정하지 않다. 전체적 생김새와 부분적 생김새 관찰시 분석적 인지양식 집단에서는 일정한 방향과 연속적인 반복적 탐색이 존재하지만 전체적 인지양식 집단은 정해진 패턴 없이 눈에 띄는 속성 중심으로 관찰이 이루어진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인지양식에 따라 관찰 대상, 영역, 순서, 방향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학습자마다 다양한 관찰 결과가 나타나는 원인이 인지양식에 따라 받아 들이는 정보의 차이에 있음을 확인하였고, 본 연구의 결과는 학습자의 특성에 가장 적합한 관찰 수행을 파악하고 지도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대학생들의 인지양식에 따른 관찰에서의 안구 운동 분석 (An Analysis of Eye Movement in Observation According to University Students' Cognitive Style)

  • 임성만;최현동;양일호;정미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778-793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시선 이동을 통해 나타나는 인지양식에 따른 관찰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체적 인지양식, 분석적 인지양식 집단의 관찰 사실에 차이를 보이는 관찰 과제를 개발하고, 각각의 인지양식을 가진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관찰 과제를 제시했을 때 안구 운동을 측정하였다. 통계 자료와 시각화 자료를 수집하여 Fixation을 분석하였고 두 인지양식 집단의 관찰 특성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양식에 따른 응시시간 빈도를 확인하기 위해 과제에 대한 각 집단의 응시시간, 전체 Fixation 개수, 그리고 30초동안의 Fixation 개수의 평균값을 비교했을 때 전체적 인지양식 집단이 전체 Fixation 개수, 30초에서의 Fixation 개수가 더 많았다. 이것은 전체적 인지양식 집단이 분석적 인지양식 집단보다 더 많은 지점을 관찰하였고, 분석적 인지양식 집단은 더 적은 수의 지점을 관찰하며 특정한 지점에 집중하는 성향을 나타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인지양식에 따른 관찰 비중을 비교했을 때 거미를 관찰하는 비중은 분석적 인지양식이 집단이, 주변 환경을 관찰하는 비중은 전체적 인지양식에서 높았고, 부분적 생김새를 관찰하는 비중은 분석적 인지양식이 집단이, 전체적 생김새를 관찰하는 비중은 전체적 인지양식 집단이 더 높았다. 전체적 인지양식 집단은 주변 환경의 부분적 생김새와 거미의 전체적 생김새를 관찰하는 비중이 높고, 분석적 인지양식 집단은 거미의 부분적 생김새를 관찰하는 비중이 매우 높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인지양식에 따라 관찰 시간, 빈도, 대상, 영역, 비중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학습자마다 다양한 관찰 결과가 나타나는 원인이 인지양식에 따라 받아들이는 정보의 차이에 있음을 확인하였고, 본 연구의 결과는 학습자의 특성에 가장 적합한 관찰 수행을 파악하고 지도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상호작용식 메트로놈(Interactive Metronome) 훈련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자세조절과 글씨쓰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 단일사례연구 (Effect of Interactive Metronome Training on Postural Control and Hand Writing Performance of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Single Subject Research)

  • 박민경;김희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4-24
    • /
    • 2018
  • 목적 : 본 연구는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아동에게 시행한 상호작용식 메트로놈(Interactive Metronome; IM) 중재가 자세조절과 글씨쓰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ADHD로 진단받은 초등학교 3학년 아동 1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개별실험 연구방법 중에서 ABA 설계를 사용하였고, 총 30회기로 매주 3회기 씩 총 10주 진행하였다. 기초선과 재기초선 기간에는 글씨쓰기 과제의 측정만 실시하였고, 중재기 동안에 IM 훈련을 40~50분간 실시하고 난 후에 글씨쓰기의 명료도와 속도를 평가하였다. 기초선을 시작하기 전과 재기초선이 끝나고 한 달 이내에 Clinical Observation of Motor and Postural Skills(COMPS)를 실시하여 자세조절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결과 : IM 중재를 시행한 후 대상자의 자세조절 변화는 하위항목 중 슬로모션, 손가락-코 운동, 비대칭 경반사의 점수가 향상되었고, 글씨쓰기 명료도와 속도는 중재 기간 동안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하게 변화되지 않았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ADHD 아동을 대상으로 한 IM 훈련의 중재가 자세조절과 글씨쓰기 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고, 향후 연구에 새로운 방향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는 근거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초등 과학교과서 내용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주요 질문에 나타나는 용어의 상호 관련성 수준과 유형 (Levels and Patterns of Main Terms' Interrelationships in Student Teachers' Notable Questions about the Contents of the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 이명제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0-31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과학교과서 지구과학 부문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질문을 분석하였다. 주요 질문의 대상이 된 교과 내용은 교과서 단원별로 쪽 당 평균 질문수의 3배 이상이 나온 교과서 쪽의 내용(주요 질문 교과 내용1)과 2배 이상 3배 미만의 질문수가 나온 내용(주요 질문 교과 내용2)으로 구별하고, 각 교과 내용별로 질문 속에 나타나는 주요 용어들 간 상호관련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질문 교과 내용1은 ‘구름관찰’, 지층의 생성 과정‘ 등이 발견되었고, 주요 질문 교과 내용2는 ’강수량 측정‘, ’하룻밤 동안 달의 이동‘ 등으로 4-2학기를 제외한 모든 학기에서 발견되었다. 둘째, 각 교과 내용 당 질문용어의 상호관련성을 보이는 경우는 질문수가 많은 주요 질문 교과내용에서 증가하고 있지만, 4개 용어 유형은 오히려 교과 내용2에서 다수 발견되었다. 셋째, 상호관련성이 큰 질문 용어 묶음은 교과내용1에서 ’석탄과 석유-생성‘, ’변성-열과 압력‘, ’변성-열과 압력-변성암‘, ’행성-태양-혜성-공전‘ 등이며, 교과내용2에서는 ’별자리판-사용‘, ’건습구습도계-원리‘, ’건습구습도계-원리-습도‘, ’지진계-원리-습도‘, ’지진계-원리-지진‘, ’지구자전축-기울어짐-발생‘, ’별자리판-별자리-관찰-사용‘ 등이다. 본 연구에서 분석 자료로 사용된 질문의 원천은 대체로 교과서의 구체적인 구성체제로부터 비롯된 것이거나 지구과학내용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일반적인 의문점에서 비롯된 것으로 판단된다. 전자의 경우라면 교과서의 집필과정에서 문장의 서술방법이나 관련 삽화 등의 문제점에서 유발된 것일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교과서 집필상의 문제점을 개선함으로서 해결 가능하지만, 후자는 소양교육 내용과 기초 지구과학개념으로서의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