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uctural detail category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5초

강구조상세부의 피로저항능력 개선을 위한 응력완화홀 적용성 평가 (Evaluation on Applicability of Stress Relief Hole for Improvement of Fatigue Stress Capacity of Steel Structural Details)

  • 정경섭;남승훈;김경남;양건봉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5권5호
    • /
    • pp.451-461
    • /
    • 2013
  • 강교량에는 외력에 대해 저항하는 부재의 좌굴 등의 변형을 구속시키기 위한 여러 상세부들이 존재한다. 이들 상세부는 상호 교차하는 부재들로 구성되고 제작의 용이성, 용접결함의 원천적 배제 및 응력집중을 완화시키기 위해 스켈럽을 이용해 왔다. 본 연구에서는 교차부에 발생되는 응력집중으로 상세범주 D등급 이하를 갖게 되는 강교량 상세부의 피로저항 능력을 상세범주 C등급 이상으로 개선시키는 방안으로 응력완화홀(SRH)을 제안하였다. 적절한 크기 및 위치의 SRH 효과를 확인하고 이를 강바닥판교의 U-rib와 가로보 교차부에 작용시켜 SRH에 의한 피로저항능력 개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완화된 단부 배근상세를 갖는 특수전단벽 구조시스템의 내진성능평가 (Seismic Performance of Special Shear Wall Structural System with Effectively Reduced Reinforcement Detail)

  • 천영수;이기학;이효원;박영은;송진규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5권3호
    • /
    • pp.271-281
    • /
    • 2013
  • 구조형식별로 구조물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KBC2009에 새로이 도입된 높이제한에 따라, 내진설계범주D에 해당되는 60 m 이상의 RC 구조물을 계획할 경우 특수전단벽을 의무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특수전단벽의 엄격한 횡보강 배근상세는 시공성 및 경제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그래서 이 연구에서는 현 규준에 따른 특수전단벽보다 완화된 배근 상세를 갖는 특수전단벽을 제안하고, 특수전단벽과의 성능 비교를 위하여 각각 두 개의 실험체를 제작하고 횡방향 반복 하중실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그 실험 결과를 반영한 보통전단벽, 특수전단벽, 완화된 특수전단벽 구조시스템의 해석모델을 설계하여 FEMA P695에 따른 방법론으로 내진성능평가를 실시하였다.

Comparison of Fatigue Provisions in Various Codes and Standards -Part 1: Basic Design S-N Curves of Non-Tubular Steel Members

  • Im, Sungwoo;Choung, Joonmo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61-171
    • /
    • 2021
  • For the fatigue design of offshore structures,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and use the S-N curves specified in various industry standards and codes. This study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N curves for five major codes. The codes reviewed in this paper were DNV Classification Rules (DNV GL, 2016), ABS Classification Rules (ABS, 2003), British Standards (BSI, 2015), International Welding Association Standards (IIW, 2008), and European Standards (BSI, 2005). Types of stress, such as nominal stress, hot-spot stress, and effective notch stres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ode. The basic shape of the S-N curve for each code was analyzed. A review of the survival probability of the basic design S-N curve for each code was performed. Finally, the impact on the conservatism of the design was analyzed by comparing the S-N curves of three grades D, E, and F by the five codes. The results presented in this paper are considered to be a good guideline for the fatigue design of offshore structures because the S-N curves of the five most-used codes were analyzed in depth.

통행차량 특성을 반영한 강교량 피로설계트럭의 피로파괴 신뢰도해석 (Reliability Analysis of Fatigue Truck Model Using Measured Truck Traffic Statistics)

  • 신동구;권태형;박영석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211-221
    • /
    • 2007
  • 교량의 피로파괴에 대한 Miner의 피로손상법칙을 적용하여 여러 확률변수로 표현된 피로파괴 한계상태함수에 대한 신뢰도해석을 국내에서 측정된 통행차량의 통계적 특성을 반영하여 수행하였다. 신뢰도지수의 산정에 필요한 확률변수 가운데 등가모멘트, 충격계수비, 등가하중비는 국내의 최근 측정자료를 분석하여 통계치를 산정하였으며, 피로강도, 활하중 횡분배비, 연행하중비는 국외에서 측정된 문헌자료의 통계치를 적용하였다. 신뢰도해석을 통하여 피로설계트럭의 종류, 교량수명, ADTT, 피로상세, 등가하중비, 피로설계트럭의 총중량 등의 피로손상에 관련된 여러 파라미터가 신뢰도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피로파괴에 대한 신뢰도해석 결과는 국내 LRFD 설계기준의 피로설계트럭모형과 피로한계상태의 하중계수를 결정할 때 기초 자료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환경조화형 철탑 개발 (Development of Eco-friendly Electric Transmission Towers in KEPCO)

  • Lee, Won-kyo;Mun, Sung-Duk;Shin, Kooyong
    •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 /
    • 제5권3호
    • /
    • pp.135-140
    • /
    • 2019
  • Lattice towers and tubular steel poles have been commonly used for electrical power transmission in Korea. They are durable, structurally stable, simple and can easily be constructed in limited spaces. However, residents are opposed to construct transmission lattice towers in their areas because they are not visually attractive, and electrical field occur at the transmission lines. Underground transmissions have been used instead of the traditional towers to resolve these problems, however they are not cost effective to construct and run. Therefore, we have developed eco-friendly towers that are more attractive, well blending in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much more economical than underground transmissions. There are four categories of the eco-friendly electric transmission towers about design aspects. Firstly, there is decoration type such as tree tower and ensemble tower. Tree tower looks like actual trees with leaves and branches so it blends into surroundings. Ensemble towers were designed after pair of crane birds. Those towers have decoration features and art works. Structural examination and manufacturing this type would be very similar to the conventional transmission towers. Secondly, there is arm design type such as traditional tower. Design features are added to the existing towers. As partial design can be adoptable on these types, it can easily meet height regulations and attach to conventional lattice towers and tubular steel poles. Also, these towers are more economical than others. Third category is multipurpose type such as Sail Tower. These towers have simple pole or tubular structure with features which can be used as information message board, public relations and much more. This type will face greater wind pressure because of the area of the board, also visibility must take into consideration. Lastly, there is moulding type such as arc pylon. It is different shape to the conventional towers - lattice towers and tubular steel poles. Dramatic design changes have been adapted - from a hard and static tower to a soft and curved tower. These towers will well stand out in the field. However, structural examination and manufacturing this type would be difficult and costly. Also certain towers of this type would require scaffolding or false work to construct, which will result in limitations of the construction area. This paper shows KEPCO 154 kV Sail tower in detail. KEPCO 154 kV Sail tower that is included in fabrication of sample tower and tower testing has developed and the results are presented in this paper. We hope that sail tower is also considered as a solution to have public acceptance or to create a familiar atmosphere among towers and people in coastal area.

공공 서비스 수출 플랫폼을 위한 온톨로지 모형 (An Ontology Model for Public Service Export Platform)

  • 이광원;박세권;류승완;신동천
    • 지능정보연구
    • /
    • 제20권1호
    • /
    • pp.149-161
    • /
    • 2014
  • 공공 서비스의 수출의 경우 수출 절차와 대상 선정에 따른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며, 공공 서비스 수출 플랫폼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 중심의 유연하고, 개방형 구조의 디지털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야 한다. 또한 공공서비스의 수출은 다수의 이해당사자가 참여하고 여러 단계의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사용자의 이해 종류와 탐색 컨설팅 협상 계약 등 수출 프로세스 단계별로 맞춤형 플랫폼 서비스 제공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서 플랫폼 구조는 도메인과 정보의 정의 및 공유는 물론 지식화를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공공서비스 수출을 지원하는 플랫폼을 위한 온톨로지 모형을 제안한다. 서비스 플랫폼의 핵심 엔진은 시뮬레이터 모듈이며 시뮬레이터 모듈에서는 온톨로지를 사용하여 수출 비즈니스의 여러 컨텍스트들을 파악하고 정의하여 다른 모듈들과 공유하게 된다. 온톨로지는 공유 어휘를 통하여 개념들과 그들 간의 관계를 표현할 수 있으므로 특정 영역에서 구조적인 틀을 개발하기 위한 메타 정보를 구성하는 효과적인 도구로 잘 알려져 있다. 공공서비스 수출 플랫폼을 위한 온톨로지는 서비스, 요구사항, 환경, 기업, 국가 등 5가지 카테고리로 구성되며 각각의 온톨로지는 요구분석과 사례 분석을 통하여 용어를 추출하고 온톨로지의 식별과 개념적 특성을 반영하는 구조로 설계한다. 서비스 온톨로지는 목적효과, 요구조건, 활동, 서비스 분류 등으로 구성되며, 요구사항 온톨로지는 비즈니스, 기술, 제약으로 구성 된다. 환경 온톨로지는 사용자, 요구조건, 활동으로, 기업 온톨로지는 활동, 조직, 전략, 마케팅, 시간으로 구성되며, 국가 온톨로지는 경제, 사회기반시설, 법, 제도, 관습, 인프라, 인구, 위치, 국가전략 등으로 구성된다. 수출 대상 서비스와 국가의 우선순위 리스트가 생성되면 갭(gap) 분석과 매칭 알고리즘 등의 시뮬레이터를 통하여 수출기업과 수출지원 프로그램과의 시스템적 연계가 이루어진다. 제안하는 온톨로지 모형 기반의 공공서비스 수출지원 플랫폼이 구현되면 이해당사자 모두에게 도움이 되며 특히 정보 인프라와 수출경험이 부족한 중소기업에게 상대적으로 더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개방형 디지털 생태계를 통하여 이해당사자들이 정보교환, 협업, 신사업 기획 등의 기회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