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ongpoint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7초

CSFT-구축 수요도에 관한 조사 연구 (A Survey Study on Need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CSFT (Cluster with a Strongpoint for Field Training))

  • 이재홍;강규헌;권원안;김기철;김창태;민동기;이진환
    • PNF and Movement
    • /
    • 제11권1호
    • /
    • pp.27-33
    • /
    • 2013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research on Need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CSFT(Cluster with a Strongpoint for Field Training) on students and professors of health-related majors. Methods : We investigated 164 students and professors using a self-reporting method with experience of Field Training. A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17.0 for window version. Results : It showed that educational satisfaction had scored 4.05 in curriculum, 4.00 in environment, 3.52 in schedule, 3.71 in evaluation and 3.71 in teaching and 3.84 in industrial-college systems for Field Training. Need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CSFT had scored 4.17 in $mean{\pm}standard$ deviation. Conclusion : Characterization of Nursing, Department of Health and local health care environment and conditions, if you think the quality of education for the Department of Health Nursing, gradually, the acquisition and improvement of the base hospital is necessary. Therefore, it is considered to be institutionalized by installing the strongpoint hospital at least one in each region, so that they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people's health.

인천광역시 공공도서관 상호협력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The Direction for Improvement of Public Library Cooperation in Incheon)

  • 강숙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69-98
    • /
    • 2010
  • 본 논문은 국립중앙도서관의 협력망 사업과 전국 공공도서관의 상호협력 현황을 살펴보고, 인천광역시 공공도서관의 일반 현황과 협력사업의 실태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의 확충과 범위의 확대라는 환경변화를 고려하여 인천광역시 공공도서관 상호협력업무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인천광역시 공공도서관 상호협력업무의 개선 방안으로는 (1) 상호협력의 기반으로서 단위공공도서관의 인프라 강화, (2) 지역대표도서관의 위상강화 및 도서관정책수립 기구의 실효성 있는 운영, (3) 운영주체의 다원화 극복 및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4) 거점도서관의 지정 운영, (5)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지역별 공공도서관 특성화의 추진, (6) 기존의 공공도서관 협력사업의 개선 및 확대 등을 제시하였다.

  • PDF

모바일게임의 성공요인에 대한 연구 (A Study onThe Success factors of Mobile Games)

  • 김도관;남수태;진찬용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89-191
    • /
    • 2014
  • 모바일의 확산으로 인한 게임 산업에서의 유통구조의 변화와 패러다임의 변화가 크게 일어나고 있다. 전통적인 게임의 유통 구조를 탈피하여 앱마켓이란 새로운 보급 방법은 기존의 게임 산업에 대한 대체 또는 위협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모바일 게임의 이동성은 가장 큰 장점이라 할 수 있지만 모바일 게임은 컴퓨터 및 다른 디바이스를 이용한 게임에 비해 조작이 용이하고 간편하고 쉽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가장 인기를 모은 모바일 게임의 특성을 게임 유형별로 알아보고자 한다.

  • PDF

이주민 배제 생성 기제에 대한 연구 -상층부 연구접근- (A study of the creation mechanism of exclusion against the immigrant)

  • 김영숙
    • 사회복지연구
    • /
    • 제44권2호
    • /
    • pp.5-33
    • /
    • 2013
  • 본 연구는 상층부 연구로서 한국적 상황에서 이주민들에 대한 차별과 편견을 생성하는 사회적 기제를 분석하고자 했다. 질적연구방법인 생애사 연구로 접근했다. 연구에는 반 다문화적 성향이 강한 한국인 10명이 참여했다. 자료는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했고 수집된 자료를 기초로 개별 생애사 텍스트를 구성했다. 생애사 텍스트는 Mandelbaum(1973)이 제안한 분석틀에 의거하여 삶의 영역, 전환점, 적응을 분석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자는 이주민 배제의 생성기제로 ① 동일지평의 기획, ② 새로운 희생양 찾기, ③ 열등감의 전이를 제시했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연구자는 「교차문화교육」, 「내국인들이 참여하는 통합프로그램」, 「이주민들과 내국인들의 갈등을 조절하는 지역사회차원에서의 거점센터 설치와 전문인력 양성」을 제안했다.

도시네트워크 특성에 따른 신도시 경제적 자족성 기준 연구 (Economic Self-Sufficiency Criteria for New Town Planning by Network Characteristics)

  • 송영일;임주호
    • 토지주택연구
    • /
    • 제7권4호
    • /
    • pp.251-259
    • /
    • 2016
  • 공간구조가 다핵분산형으로 전환되면서 도시 간 네트워크적 연계를 통한 경쟁력 강화가 중요한 이슈로 등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역거점으로서의 신도시 역할, 특히 적절한 산업기능의 확보가 필요하지만 현행 신도시의 경제적 기준은 규모에 따른 일괄적 기준을 제시하고 있어 권역 내 신도시의 위상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신도시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신도시 유형을 구분하고 이러한 유형과 규모에 따른 경제적 자족성 계획기준을 검토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국 내외 신도시 산업용지에 대한 사례 분석 및 1, 2기 신도시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적용하였다. 네트워크 특성은 다양한 지표로 나타나는 바, 본 연구는 연결중심성, 근접중심성 지표를 활용하여 신도시의 네트워크적 위상에 따른 유형을 단핵집중형, 분산집중형, 모도시종속형으로 구분하였다. 이와 같은 유형구분을 바탕으로 신도시 규모별 자족시설용지 확보기준을 재검토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지속가능한 신도시계획기준 및 택지개발업무처리지침의 개선 및 개발계획 수립 변경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한국과학재단의 동물자원과학 분야의 기초연구지원 추이분석을 통한 연구활동지원 활성화 제언 (A Proposal for Promotion of Research Activities by Analysis of KOSEF's Basic Research Supports in Animal Resources Science Field)

  • 민태선;박수현;김성용;김유용;이훈택;한인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1호
    • /
    • pp.115-132
    • /
    • 2005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make suggestions for the promotion of research activities in the field of animal resources sciences, and we evaluated the research funding trend and the present status of research funding offered by KOSEF in this field. Comparative portion of the number of research projects and grants in this field to other fields has a tendency to be decreased year by year except recent few years. Researchers in this field have received more research funding from the group-based program than from the individual-based program. Also, they have received less money(per project) than did researchers in the fields of general agricultural sciences and other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ers in this field ranges from 43 to 51 years of age and showed 48 years of average age. It was found that researchers who has been funded in the field of animal resources sciences have showed tendency of publication of more articles to SCI journals in recent 5 years. The strong points of the animal resources of agricultural sciences field in South Korea include: lots of researchers, the establishment of research infra-structure, the excellence in research competitiveness and technology level. However, its weaknesses are: a lack of leadership in relevant societies and institutes, a predicted shortfall of researchers in the next generation and insufficient research productivity. The opportunities include: increasing the importance of the biotechnology industry, activating international cooperation researches and exploring the multitude of possible research areas to be studied. However, some concerns still exist, such as threats from developed countries for the government to open the agricultural market, the reduction of the number of full-time farms and intensification of needs for economic and social effects. The diverse actions and systems based upon the strongpoint, weakness, opportunity and threats above-mentioned are required to encourage research activities in the field of animal resources of agricultural sciences in Korea In addition, researchers in this fields would make an effort to keep pace with international society as well as domestic dema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