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ong nitrogenous wastewater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산화 전처리가 고강도 질소폐수의 막증류 공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cidification on Membrane Distillation Process for Strong Nitrogenous Wastewater)

  • ;정다운;배효관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37-147
    • /
    • 2020
  • A direct contact membrane distillation (DCMD) was applied to treat strong nitrogenous wastewater of anaerobic digestion supernatant (ADS) and human urine (HU). The ammonia transfer was evaluated in terms of specific ammonia transfer (SAT) value, which is the ratio of total ammoniacal nitrogen divided by the amount of water transferred. The acidification resulted in low SAT values and high quality of produced water. The ammonia transfer control in the acidic condition was stronger for HU than ADS due to higher alkalinity (pH 8.8) and ammonia concentration (5700 mg-N/L) of HU. Acidified HU at pH 4 exhibited a SAT value of 1.64 × 10-5, which was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e SAT value of 3.00 × 10-3 for the original HU. The low pH enhanced the water flux for ADS, but HU showed a steep decrease in water flux due to enhanced fouling. It was considered that the fouling intensity in acidic conditions depend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stewater source. The major foulants on the MD membrane were NaCl, CaCO3 and CuSO4 as recognized by the SEM-EDS. Acidified ADS and HU at pH 4 showed relatively high N content of 8.18 % and 28.03 %, respectively, as organic fouling.

탈질에서 질소성분 및 유기탄소 농도가 $N_2O$ 배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itrogen Compounds and Organic Carbon Concentrations on $N_2O$ Emission during Denitrification)

  • 김동진;김헌기;김유리
    • 청정기술
    • /
    • 제17권2호
    • /
    • pp.134-14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하폐수 탈질 과정에서 전자수용체의 종류와 농도, 전자공여체/전자수용체(C/N)비율, 그리고 전자공여체의 복합도(complexity)가 $N_2O$ 배출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조사하였다. 탈질 질소원의 농도가 높을수록 $N_2O$ 배출량도 증가했으며 ${NO_2}^-$를 이용하는 경우가 ${NO_3}^-$에 비해 $N_2O$ 배출량이 높아 ${NO_2}^-$$N_2O$ 배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NO_2}^-$-N 50 mg/L에서 $N_2O$-N으로의 전환율 9.3%와 수율 9.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NO_3}^-$-N은 50 mg/L에서 전환율이 5.6%, 수율은 11.0%로 나타났다. 유기탄소원/질소(C/N) 비율이 감소하면 질소 제거율은 감소하나 $N_2O$로의 전환율은 증가하였다. 실제 하수를 전자공여체로 이용한 경우가 단일 탄소원인 acetate를 이용한 경우에 비해 $N_2O$ 배출량이 1/10 이하로 현저히 감소하였다. 이는 복합 탄소원이 전자공여체로 이용될 경우 단일 탄소원(acetate)에 비해 다양한 탈질 대사(경로)를 이용하고 이것이 $N_2O$ 배출량 저감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