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ip footing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3초

기초지반의 지지력보강공법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Bearing Capacity Reinforcement for the Foundation of Soil)

  • 유동환;최예환;유연택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8-49
    • /
    • 1988
  • This paper presented as follows results of laboratory model tests with various shaped footings on soil bed reinforced with the strips on the base of behaviour of soil structure according to the loads and triaxial test results reinforced with geotextiles. Their parameters studied were the effects on the bearing capacity of a footing of the first layer of reinforcement, horizontal and vertical spacing of layers, number of layers, tensile strength of reinforcement and iclination load to the vertical 1.Depending on the strip arrangement, ultimate bearing capacity values could be more improved than urreinforced soil and the failure of soil was that the soil structure was transfered from the macrospace to microspase and its arrangement, from edge to edge to face to face. 2.The reinforcement was produced the reinforcing effects due to controlling the value of factor of one and permeable reinforcement was never a barrier of drainage condition. 3.Strength ratio was decreased as a linear shape according to increment of saturation degree of soil used even though at the lower strength ratio, the value of M-factor was rot influenced on the strength ratio but impermeable reinforcement decreased the strength of bearing capacity. 4.Ultimate bearing capacity under the plane-strain condition was appeared a little larger than triaxial or the other theoretical formulars and the circular footing more effective. 5.The maximum reinforcing effects were obtained at U I B=o.5, B / B=3 and N=3, when over that limit only acting as a anchor, and same strength of fabric appeared larger reinforcing effects compared to the thinner one. 6.As the LDR increased, more and more BCR occurred and there was appeared a block action below Z / B=O.5, but over the value, decrement of BCR was shown linear relation, and no effects above one. 7.The coefficient of the inclination was shown of minimum at the three layers of fabrics, but the value of H / B related to the ultimate load was decreased as increment of inclination degree, even though over the value of 4.5 there wasn't expected to the reinforcing effects As a consequence of the effects on load inclination,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15 per cent was decreased the bearing capacity of 70 per cent but irnproved the effects of 45 per cent through the insertion of geotextile.

  • PDF

모래로 치환된 점토지반의 지지력비에 따른 얕은 기초의 지지력 특성 (Characteristic of Bearing Capacity of Shallow Foundation upon Clay Ground Replaced by Sands Depending on Bearing Capacity Ratio)

  • 하영민;정민형;신효희;이송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7권11호
    • /
    • pp.17-25
    • /
    • 2011
  • 본 연구는 모래로 부분치환된 점토지반 위의 줄기초의 지지력 특성에 대한 것이다. 극한 지지력을 구하기 위해 FEM해석을 사용하였으며 부분치환은 기초의 폭의 비와 양단의 경사로 정의 하였다. B'=inf인 경우는 모래층이 점토층과 같은 반무한체인 경우로 이 때의 극한 지지력이 부분치환된 지반에서의 극한 지지력과 비교를 위해 사용하였다. 지지력 효율 ${\beta}$는 B'=inf인 경우의 극한 지지력과 부분치환에 의한 극한 지지력의 비로 모래로 부분치환된 점토지반의 지지력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각각 3가지의 점토의 비배수 전단강도와 모래의 내부마찰각을 고려하였다. 분석결과 부분치환 시의 지지력효율 ${\beta}$에 가장 큰 요인은 치환깊이이다.

리비아 트리폴리 지역에서의 지반공학적 고찰 (Geotechnical Considerations in Tripoli Sub-region, Libya)

  • 강병무
    • 지질공학
    • /
    • 제1권1호
    • /
    • pp.2-10
    • /
    • 1991
  • 이 보문은 리비아의 트리폴리 지역에서 건설공사를 할 경우 지반공학적으로 고려하여야할 점을 기술한 것이다. 지반자료는 이 지역에서 수행된 학교와 주택건설을 위한 부지지반조사에서 얻은 것이다. 자파라 평원의 지표하 10m까지 표층의 대부분은 보통 조밀한 실트질 모래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지역적으로는 표토가 빈약하고 석회암이나 석회사암의 호층으로 구성되어 있기도 하며 산지 지역은 대부분 표토의 발달이 거의 없다. 원지반의 실트질 모래는 확대기초나 줄기초를 적용할 경우 일반적으로 150kN/$m^2$의 지내력을 가진다고 추정된다. 트리폴리 지역에서 콘크리트에 적합한 골재의 분포는 매우 제한되어 있으며 조골재는 주로 백운암 석산을 개발하여 공급된다.

  • PDF

강성저면위 유한한 두께의 모래지반에 놓인 얕은기초의 지지력 (Bearing Capacity of Shallow Foundation on a Finite Layer of Sandy Ground Underlain by a Rigid Base)

  • 전상현;유남재;유건선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7권6호
    • /
    • pp.39-48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모형실험과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유한한 두께의 모래지반 위에 놓인 얕은 띠기초의 지지력 평가방법을 제안하였다. 모형실험은 현장에서 채취한 모래시료를 사용하여 모래지반의 상대밀도와 대상 기초폭(B) 에 대한 모래층 두께(H)의 비(H/B)를 변화시키면서 1g와 20g 중력수준의 원심모형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H/B가 감소함에 따라 지지력은 증가하고 침하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상대밀도 증가에 따라 지지력이 증가하는 경향도 나타났다. 강성지반 위 두께가 얇은 모래층의 지지력 평가방법을 제안하기 위하여 실험 결과 얻은 지지력 계수를 H/B의 영향을 고려한 Mandel & Salencon(1972)의 수정지지력계수와 비교 분석하였다. H/B에 따른 지지력계수비 관계를 제안하여 보수적인 설계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기초 제원, 사질토 상대밀도, H/B를 변화시킨 수치해석을 실시한 결과, 제시된 관계식과 유사한 경향성을 확인하였다.

Bearing Capacity Analyses of Shallow Foundations in Reinforced Slopes

  • Kim, Hong-Taek;Choi, In-Sik;Sim, Young-Jong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2권3호
    • /
    • pp.127-148
    • /
    • 1996
  • 최근에 들어 사면이나 사면 근처에 교대등과 같이 기초하중이 비교적 큰 구조물들이 시공되는 예가 점차 많아지는 경 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면 또는 사면 근처 에 설치되는 기초의 경우는 수평지반에 비해 지지력이 현저하게 떨어지기 때문에, 말뚝이나 케이슨 등과 같은 고가의 깊은기초들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토목섬유 또는 metal strip등의 보강재를 이용하여 사면을 보강하는 경제적인 공법이 필요시 되고,또한 이와같은 공법에 관련된 합리적인 기초지지력 해석법의 제시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면 근처에 설치되는 얕은 기초의 지지력 보강을 목적으로 strip등의 보강재를 설치할 경우, 'wide slab effect' 개념등 Huang및 Binquet-Lee등이 모형실험등을 통해 제시한 파괴매카니즘 및 Boussinesq해법 등을 토대로 하여 보강사면에 대한 기초지지력 해석법을 제시하였다. 본 해석법에서는 soil dilatancy 등의 영향에 의한 깊이별 보강재-주변흙 사이의 마찰계수 변화를 함수형태로 표현하여 보강재주변흙 사이의 상호작용을 부분적으로 고려하였으며, 아울러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기초지지력 해석법의 적합성 검토를 위해 Huang등이 제시한 모형실험결과와 서로 비교하였다. 이외에도, 설계에 관련된 여러 변수들이 기초지지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분석이 이루어졌다.

  • PDF

비선형구성식을 이용한 기초지반의 거동해석 (Analysis on the Behaviour of Foundation Using the Non-Linear Constitutive Laws)

  • 정진섭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253-265
    • /
    • 1993
  • 본 연구는 Lade에 의해서 제안된 비선형구성모델을 이용하여 지반거동을 해석하기 위한 수치해석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것이다. 그 첫 시도로서 축대칭조건과 평면변형율조건의 비선형 경계치 문제를 해석하기 위하여 변위법을 이용한 유한요소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모델의 매개변수를 결정하기 위한 시험과 모형기초지반의 시험재료는 백마강모래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실내시험 자료로 부터 비선형구성모델 의 매개변수를 결정할 때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구성 모델의 정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개발된 유한요소프로그램을 사용한 예측결과를 매개변수 결정에 사용된 실험 결과뿐만 아니라 결정에 사용되지 아니한 실험결과와도 비교하였다. 검증에 사용된 시험은 다음과 같다 ; (1) 등방압축팽창시험, (2) 구속압력을 달리한 배수삼축압축시험 (3) 모형기초지반의 재하시험, 이상의 시험과 수치해석결과를 비교하여 비선형구성모델과 유한요소해석프로그램의 정도를 확인하고 평면변형율조건에 있는 2차원모형기초지반의 거동 특성을 검토하였다.

  • PDF

CEL 기법을 이용한 유한 요소 해석에서 지반의 극한 파괴 상태 감지를 위한 정량적 물리량 기준 (A Quantitative Physical Parameter for Detection of Ultimate Failure State of Soil Using CEL Method in Finite Element Analysis)

  • 김성민;이주형;정영훈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4권12호
    • /
    • pp.59-69
    • /
    • 2018
  • 한계평형법 이론들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극한 파괴 상태에서 나타나는 파괴 전단면을 찾아야 한다. 강도 감소법에서는 유한요소해석의 수치해가 일정 반복 횟수 이내에 수렴하지 못하는 시점을 극한 파괴 상태로 정의한다. 하지만 Coupled Eulerian-Lagrangian (CEL)기법을 유한요소해석에서 사용하면 극한 파괴 상태에 도달하여도 수치해의 비수렴 상황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이러한 정의는 사용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CEL 기법을 이용한 유한요소해석에서 지반의 극한 파괴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객관적인 물리량 기준을 제시하였다. 비배수 조건의 연약지반이 연속기초 하중을 받는 경우 극한 파괴 상태에 해당하는 이론적 하중에서 소성 소산 에너지의 변화속도가 민감하게 변화함을 찾을 수 있었다.

지반의 공간적 변동성을 고려한 확률론적 해석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babilistic Analysis Method Considering Spatial Variability of Soil Properties)

  • 조성은;박형춘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8호
    • /
    • pp.111-123
    • /
    • 2008
  • 지반공학 문제는 많은 불확실한 요인을 내포한다. 이러한 불확실성 중 일부는 해석 수행과정에 필요한 지반 물성의 변동성과 관련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반물성의 공간적 변동성을 고려한 확률론적 해석을 수행할 수 있는 절차를 제시하였다. 제시된 방법은 유한차분 해석기법과 랜덤필드 이론을 확률론적 해석기법에 통합하게 된다. 지정된 입력 확률분포함수와 자기상관함수를 따르는 non-Gaussian 랜덤필드를 생성하기 위하여 Karhunen-$Lo{\grave{e}}ve$ 전개법을 사용하였다. 생성된 랜덤필드를 이용하여 확률론적 응답을 얻기 위해 Monte Carlo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지반의 공간적인 변동성에 기인하는 불확실성의 효과를 연구하기 위하여 대상 기초의 침하량과 지지력에 대한 일련의 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결과는 지반공학 문제에서 불확실성을 고려할 수 있는 관점을 제시하며 확률론적 평가의 결과에 미치는 지반물성의 공간적 변동성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모래지반에서 원형기초의 수직-수평 조합하중 지지력과 경사계수에 대한 수치해석 연구 (Numerical Studies on Combined VH Loading and Inclination Factor of Circular Footings on Sand)

  • 김동준;윤준웅;지성현;최재형;이진선;추연욱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0권3호
    • /
    • pp.29-46
    • /
    • 2014
  • 모래지반의 지표면에 위치한 거친 바닥면을 가진 강체 원형기초에 대하여 삼차원 수치해석을 통하여 수직-수평 조합하중 조건에서의 지지력을 구하였다. 조합하중 상관도를 효율적으로 산출할 수 있는 swipe 재하방법과 실제 구조물의 하중 조건과 유사한 probe 재하방법을 모사할 수 있는 수치모델을 구현하였으며 요소망의 조밀도에 의한 오차를 소거할 수 있는 분석 절차를 개발하였다. Mohr-Coulomb 소성모델을 사용하고 관련흐름법칙을 적용하여 지반의 내부 마찰각에 따른 수직-수평 조합하중에 대한 지지력 상관도와 경사계수를 산출하였다. Swipe 재하방법의 결과는 probe 재하방법을 사용한 결과와 유사함을 확인하였으며, 거친 바닥면 조건에서 수직-수평 조합하중 지지력 상관도의 내부 마찰각에 따른 변화는 미미하고, 원형기초에 대해서 연속기초 및 사각형기초와 동일한 경사계수를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중의 경사가 큰 경우에는 수치모델링을 통해 산출된 원형기초에 대한 지지력 상관도와 경사계수는 기존의 연구 결과보다 작게 평가되었으며, 수치모델링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