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eptococcus cremoris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4초

Streptococcus cremoris $ML_4$ 및 Streptococcus lactis $ML_8$의 생육중 질소원과 염농도가 세포내 및 세포외 프로테이나제 역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sources and NaCl Concentrations in Media on the Intra-and Extracellular Proteinase Activities of Streptococcus cremoris $ML_4$ and Streptococcus lactis $ML_8$)

  • 장해춘;이형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86-91
    • /
    • 1989
  • Streptococci의 배양중의 염의 농도나 배지내 질소원의 조성 등이 쓴 맛 펩타이드의 형성에 깊이 관여한다고 알려진 세포내 및 세포외 프로테이나제(ICP, ECP)의 역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Streptococcus lactis $ML_8$ 및 Streptococcus cremoris $ML_4$ 두 균주를 NaCl 농도 $0{\sim}4%$, 배지 질소원중 카제인 함량을 $0{\sim}100%$로 달리한 조건에서 배양하고 그 때의 생육도와 균체내 및 균체외 프로테이나제의 역가를 측정하고 또한 같은 균체수에서의 프로테이나제 역가를 비교하기 위해 $10^{10}$ 세포당 효소의 역가도 계산하였다. 배지중 NaCl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균체의 생육과 ECP의 역가는 감소했으나 ICP의 경우 $10^{10}$ 세포당 역가는 오히려 증가하였다. 이는 배지중 NaCl이 세포벽과 세포막에 관련된 ECP의 역가에만 직접 영향을 미치고 ICP의 역가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배지의 질소원중 미분해 단백질인 카제인의 함량을 높게 하였을 때 균체의 생육은 낮았으나 효소 생산계 촉진에 의해 ECP의 역가는 두 균주 모두 높아졌다.

  • PDF

유산균 Plasmid DNA의 신속 간편한 분리방법 (Rapid and Simple Method for Isolating Plasmid DNA from Lactic acid Bacteria)

  • 배형석;백영진;김영기;유민;박무영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89-296
    • /
    • 1985
  • 본 연구는 유산간균 및 유산구균으로부터 plasmid DNA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분리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포벽 형성 억제 인자인 glycine을 0.5% 첨가한 TCM 배지에서 유산균을 배양하였고 plasmid DNA는 mutanolysin을 처리한 cells로부터 alkaline-detergent lysis 법으로 분리되었다. 유산간균은 효소 처리 때 mutanolysin의 농도를 30$\mu\textrm{g}$/$m\ell$로 하고 37$^{\circ}C$에서 5-10분간 반응되었을 때 plasmid DNA가 아주 잘 추출되었다. 유산구균의 경우는 그 최적 조건이 조금 달랐다. 본 방법은 L. casei, L. acidophilus, L. helveticus, S. lactis, S. faecalis, S. faecium과 S. cremoris 균주로부터 plasmid DNA를 신속하게 분리하는데 사용할 수 있었다. 본 방법을 이용하여 배양액 $1.5m\ell$로부터 분리된 plasmidsDNA가 gel상에서 쉽게 확인될 수 있었다.

  • PDF

배양 조건에 따른 유산균의 Diacetyl 생성 (The Effects of Culture Conditions on the Diacetyl Production by Lactic Acid Bacteria)

  • 김동욱;정소영;박기문;최춘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20-126
    • /
    • 1989
  • Str. diacetylactis와 Leu. cremoris를 commercial culture로부터 분리한 후 멸균된 10%(w/v) 환원 탈지유에 단독 및 혼합(1 : 1) 배양하면서 diacetyl 생성에 미치는 배양 조건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생육최적 온도는 Str. diacetylactis의 경우 $30^{\circ}C$, Leu, cremoris는 $34^{circ}C$로 나타났으나, diacetyl 생성 최적 온도는 모두 $22^{\circ}C$로, 2%(v/v) starter 접종시 Str. diacetylactis, Leu. cremoris 그리고 혼합 배양의 경우 diacetyl 생성량은 각각 배양 60, 48, 48시간에 2.24, 2.29, 2.21ppm으로 최대치를 보인 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배지내 초기 pH는 pH 4.8에 모두 최고의 diacetyl 생성량을 보여 각각 4.32, 6.66, 7.30ppm을 나타내었다. Starter 접종량이 많아질수록 diacetyl 생성량은 증가하였지만 증가폭은 크지 않았으며 diacetyl의 전구 물질인 citrate를 sodium citrate형태로 농도별로 첨가하였을 때 0.3, 0.1, 0.1%(w/v) 첨가시에 각각 2.58, 2.54, 2.52ppm으로 최대치를 보였다. 최적 조건하에서 24시간 배양시 diacetyl 생성량은 각각 4.40, 6.59, 7.25ppm으로 나타났으며, diacetyl생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초기 pH인 것으로 밝혀졌다.

  • PDF

젖산균의 성장에 미치는 Ge-132의 영향 (Effect of Germanium-132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 Park, Seok-Kyu;Lee, Sang-Won;Takafumi Kasumi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506-513
    • /
    • 1999
  • 유기게르마늄(Ge-132, carboxyethylgermanium)에 의한 22가지 젖산균의 성장 효과를 0.01~10mg/m1의 농도로 첨가된 GPYS 액체배지에서 조사하였다. 시험한 대부분의 젖산균은 고농도의 게르마늄에서도 내성이 있었고, 게르마늄의 농도가 높을수록 성장을 더욱 촉진시키는 효과가 나타났다. 게르마늄이 10mg/m1의 농도로 첨가된 GPYS배지에서 Lactococcus factis, Lc. cremoris, Lc. diacetilactis, Enterococus faecium 및 Streptococcus faecalis는 2배 이상 생육촉진의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Leuconostoc mesenteroides와 Pediococcus pentosareus는 저해를 나타내었다. Lc. lactic와 Lc. cremoris의 경우, 배양액의 점도는 게르마늄이 첨가된 GPYS배지에서 급격히 증가되었지만, 장시간 배양에 의해서는 약간 감소되었다. 그러나 Lc. diacetilactis, E. faecium와 S. faecalis의 경우, 게르마늄의 첨가에 의하여 생육은 현저하게 촉진되었지만, 배양중의 점도는 증가되지 않았다.

  • PDF

INCIDENCE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INDIGENOUS DAHI

  • Masud, T.;Sultana, K.;Shah, M.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4권4호
    • /
    • pp.329-331
    • /
    • 1991
  • Fifty samples of indigenous dahi were collected randomly from the local market of Rawalpindi/Islamabad to determine the incidence of lactic acid bacteria. The micro-organisms isolated were Lactobacillus bulgaricus (86%), Streptococcus themophilus (80%), Streptococcus lactis (74%), Lactobacillus helveticus (34%), Streptococcus cremoris (30%), Lactobacillus casei (20%) and Lactobacillus acidophilus (14%)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revealed that indigenous dahi contains mixtures of lactic acid bacteria and thus the quality of dahi may vary with the type of starter culture used for inoculation.

Effect of Leuconustoc spp. on the Formation of Streptococcus mutans Biofilm

  • Kang, Mi-Sun;Kang, In-Chol;Kim, Seon-MI;Lee, Hyun-Chul;Oh, Jong-Suk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5권4호
    • /
    • pp.291-296
    • /
    • 2007
  • Insoluble glucans synthesized by Streptococcus mutans enhance the pathogenicity of oral biofilm by promoting the adherence and accumulation of cariogenic bacteria on the surface of the tooth.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euconostoc spp. on the in vitro formation of S. mutans biofilm. Three strains, Leuconostoc gelidum A TCC 49366, Leuconostoc mesenteroides ssp. cremoris A TCC 19254 and Leuconostoc mesenteroides ssp. mesenteroides ATCC 8293, were used in this study. They exhibited profound inhibitory effects on the formation of S. mutans biofilm and on the proliferation of S. mutans. The water-soluble polymers produced from sucrose were most strongly produced by L. gelidum, followed by L. mesenteroides ssp. cremoris and L. mesenteroides ssp. mesenteroides. The mean wet weights of the artificial biofilm of S. mutans were also significantly reduced as a result of the addi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s obtained from Leuconostoc cultur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n-layer chromatographic analysis, the hydrolysates of the water-soluble polymers produced by Leuconostoc were identical to those of dextran T-2000, forming predominately ${\alpha}-(1-6)$ glucose linkag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extran-producing Leuconostoc strains are able to inhibit the formation of S. mutans biofilm in vitro.

유청(乳淸)과 두유(豆乳) 혼합액(混合液)에서의 유산균(乳酸菌) 생육특성(生育特性) (Growth Characteristics of Lactic Acid Bacteria in Whey-Soy Milk Mixtures)

  • 김정환;이형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85-290
    • /
    • 1984
  • 유청(乳淸)과 두유(豆乳)의 공동침전(共同沈澱)에 의해 치즈를 제조하기 위한 기초실험으로서 유청-두유 혼합액에서 6종의 유산균들의 생육특성을 조사하였다. S. cremoris와 L. acidophilus가 두유와 유청-두유 혼합액에서 다 같이 많은 산을 생성하였다. 그러나 모든 유산균들이 두유에서 보다는 유청-두유 혼합액에서 더 많은 산을 생성하였고 이것은 특히 S. lactis와 S. cremoris에서 현저하였다. S. lactis와 S. cremoris 혼합균주의 생균수는 두유에서보다 유청-두유혼합액에서 약10배정도 많았다. 유청-두유 혼합액에서 산생성이 증가되는 것은 유청중에 존재하는 유당의 효과에 주로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유에서의 산생성을 촉진키 위해 첨가하는 유당의 적정량은 두유 100ml당 0.8g으로 밝혀졌다.

  • PDF

두유(豆乳)에서 젖산균의 생육(生育)과 대두(大豆)요구르트의 향미(香味)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in Soy Milk and Flavor of Soy Yogurt)

  • 문승애;김영배;고영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18-123
    • /
    • 1986
  • 농축대두단백으로 두유를 만들고 여기서 Lactobacillus acidophilus, L. bulgaricus, L. casci, Streptococcus lactis or S. cremoris를 각각 접종하여 젖산균의 생육과 산생성을조사하고 커드상의 대두요구르트로부터 액상(液狀)의 젖산균음료를 제조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한 후에 두유와 대두 요구르트에 들어 있는 몇가지 휘발성분을 측정하였다. 생육 실험의 결과를 보면 두유에 접종된 5종의 젖산균가운데 산생성은 대체적으로 L. bulgaricus가 가장 높았고 다음은 L. casci, L. acidophilus, S. lactis, S. cremoris의 순이었다. 관능검사의 결과를 보면 대두젖산균음료의 향미(香味)는 우유젖산균음료의 향미(香味)보다 떨어졌으며, 대두젖산균음료 중에는 산생성도가 가장 높은 L. bulgaricus로 만든 젖산균음료의 향미(香味)가 가장 우수하였고 산생성도가 가장 낮은 S. lactis로 만든 젖산균음료의 향미(香味)가 가장 저조하였다. 두유와 대두젖산균음료의 향미(香味)를 비교할 때 대두젖산균음료의 향미(香味)가 훨씬 우수하였으며, 젖산균발효에 의하여 두유에 들어 있는 n-hexanal은 크게 감소하였고 diacetyl이 새로이 생성되었다.

  • PDF

치즈훼이를 이용한 유산균 발효제품 제조 (Preparation of the Fermented Product by Lactic Acid Bacteria from Cheese whey)

  • 유은정;허태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71-477
    • /
    • 1991
  • 치즈 제조시 생기는 유청을 reverse osmosis를 이용하여 농축한 후, 이로부터 유청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최적조건을 조사하였다. 유당 가수분해도와 산생성은 Str. thermophilus와L. bulgaricus의 혼합균주가 Str. cremoris와 Str. lactis의 혼합균주에 비해 효율적이었다. 유청의 유당농축비율(LCR)이 증가할수록 적정산도는 증가하였으나 pH의 저하는 억제되었다. 원심침전량을 조사한 결과 LCR에 관련없이 모두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자연침전량의 경우 LCR 3.0 : 1은 침전이 거의 없었다. 안정제로서는 PGA가 가장 적합하였으며 LCR 3.0 : 1의 경우 0.l% 이하의 농도에서도 침전을 방지할 수 있었다. 감미료는 aspartame, 향료로는 yoghurt향이 가장 적합하였다.

  • PDF

식품(食品)의 미생물학적(微生物學的) 조사연구(調査硏究) - 시판(市販) 쥐치포의 미생물(微生物) 분포(分布) - (Microbiological Studies of Foods - Microbial Load and Microflora of Dried File Fish Fillet -)

  • 유진영;정동효;김준평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5
    • /
    • 1985
  • 시판(市販)되고 있는 쥐치포의 미생물(微生物) 오염도(汚染度)를 조사(調査)하고 流通中(유통중) 衛生管理(위생관리)에 필요(必要)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자 3회(回)에 걸쳐 수집한 후 오염지표균(汚染指標菌) 및 유해세균(有害細菌)의 존재(存在)를 검사(檢査)하고 microflora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호기성(好氣性) 중온균(中溫菌), 일반대장균군(一般大腸菌群), 분별성 대장균군(大腸菌群), Enterobacteriaceae 및 분변성 Streptococci의 오염도(汚染度)가 각각(各各) $3.5{\times}10^3{\sim}1.1{\times}10^8CFU/g$, $2.3{\sim}4.6{\times}10^5MPN/g$, $2.3{\sim}1.1{\times}10^5MPN/g$, $3.0{\times}10{\sim}4.4{\times}10^5CFU/g$$1.6{\times}10^2{\sim}7.6{\times}10^6CFU/g$이었다. microflora에 있어서는 호기성(好氣性) 중온균(中溫菌)의 경우 Staphylococcus hominis, Staphylococcus hemolyticus, Micrococcus varians, M. luteus 및 Streptococcus cremoris가, Enterobacteriaceae의 경우 E. coli와 Proteus rettgeri, 분변성 Streptococci는 Sc. faecium과 S. avium이 구성 미생물(微生物)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