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eet Tree Space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36초

생활권 수목에 살포된 살충제 Fenitrothion의 이용자 노출 및 위해성 평가 (Visitor Exposure and Risk Assessment of Insecticide Fenitrothion Applied to Tree in Public Living Space)

  • 권건형;문준관;정윤미;이민섭;이진흥;이근섭;권영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7권2호
    • /
    • pp.229-236
    • /
    • 2018
  • 도시림, 생활림, 가로수, 도시공원 등 국민들의 일상생활을 하는 구역이나 장소에 위치한 생활권 수목 식재지에서의 농약 살포는 농약 살포자의 농약 노출 문제뿐만 아니라 농약의 살포 후 생활권 수목과 접촉하는 불특정 시민들도 지속적인 농약 노출이 문제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활권 수목의 관리를 위해 관행적으로 가장 많이 살포되는 살충제인 Fenitrothion을 회양목에 살포하고 일정시간별로 손 노출량, 잎 잔류량, 호흡 노출량을 측정한 뒤, 위해성 평가 수식(MOS: margin of safety)을 이용하여 체중별 안전 노출시간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살포된 Fenitrothion의 손을 통한 전이량이 급격하게 떨어지고 호흡노출량이 측정되지 않는 48시간 이전까지는 농약노출에 대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도시지역 우수유출 저감을 위한 식재박스형 침투시설의 개발 (Development of infiltration facility by utilizing tree box for urban storm water runoff reduction)

  • 주진걸;조혜진;이유화;김이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5330-5336
    • /
    • 2011
  • 우수유출저감과 건전한 도시 물순환 환경의 구축을 위하여 다양한 침투시설들의 개발 및 적용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에서 가로수목공간으로 사용되는 식재박스를 활용하여, 우수유출의 저감, 도시내 물순환 체계 개선 및 친환경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침투시설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시설은 작은 규모로도 설치할 수 있어 광로, 대로, 중로, 소로 및 보행도로나 좁은 공간의 구분없이 설치가 가능하여, 기존 도시 및 신도시 등에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다. 개발된 기술을 4차로에 적용할 경우 식수대의 설치간격을 6m미만으로 유지한다면, 98%의 호우사상에 대하여 우수의 유출을 65% 이상 저감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가로수목공간 조성기술 적용을 통하여, 우수유출 저감에 따른 치수효과와 더불어 녹색도시의 구현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심 도로변 가로녹지가 주변 오픈스페이스의 미세먼지농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부산시청 광장을 대상으로 - (Study on the Impact of Roadside Forests on Particulate Matter between Road and Public Openspace in front of Building Site - Case of Openspace of Busan City hall in Korea -)

  • 홍석환;강래열;안미연;김지석;정은상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23-331
    • /
    • 2018
  • 본 연구는 도로변 선형의 가로녹지 조성이 고밀시가지 대로와 건물 사이에 조성한 보행로 및 오픈스페이스의 미세먼지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부산시 중앙대로와 부산광역시청 건물 사이에 폭 약 70m로 조성된 오픈스페이스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조사결과 가로녹지가 없는 지역의 경우 주중과 주말 모두 차도와 인접한 오픈스페이스의 농도차이가 미미하였으나, 반대로 가로녹지가 조성되어 있는 지역은 차도에 비해 오픈스페이스의 농도가 현저히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가로녹지가 조성된 지역은 차도와 보도 모두에서 미조성지역보다 미세먼지량이 높게 나타나고 있어 차도와 건축물 사이가 넓은 공간의 경우 가로녹지의 조성이 전체적으로 도로 밖 오픈스페이스의 미세먼지농도를 높이는 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차도보다 오픈스페이스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차량에 의해 발생한 미세먼지가 빠른 바람흐름에 의해 가로변 관목림을 통과하지만 바람흐름이 줄어든 보행공간에서는 확산이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와 같이 넓은 오픈스페이스를 확보하고 있는 도심 도로변 지역의 경우에는 가로녹지가 오히려 바람에 의한 확산을 억제하여 하여 차량이동에 따른 부유 미세먼지를 녹지 내부에 가두어 보도를 포함한 오픈스페이스의 미세먼지 농도를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로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한 가로녹지의 조성에 있어 도로와 건물의 거리는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덕수궁 선원전(璿源殿)영역의 조경 복원정비 계획 (A Landscape Restoration and Maintenance Plan in the Seonwonjeon of the Deoksugung Palace)

  • 소현수;김미정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2-32
    • /
    • 2021
  • 대한제국 시기 경운궁에 부속된 왕실의 제례공간이었으나 현재 비어있는 덕수궁 선원전영역의 복원 사업으로서 조경 복원정비 계획을 수립하였으며, 원형 고증과 유사 사례 고찰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선원전영역에 있었던 전각 배후림의 원지형이 전각의 지반보다 3.0~5.0m 높아서 녹지 경계부에 화계를 설치하여 경관적으로 처리하였다. 둘째, 배후림은 제례에 사용하는 과실을 얻기 위한 유실수원과 제례공간을 상징하는 소나무림으로 구성되었다. 셋째, 궁궐 방문자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하여 성역(聖域)의 분위기를 방해하지 않도록 부지 양쪽 끝에 휴게공간을 배치하고, 배후림 내에 산책로를 도입하였으며, 최소한의 조경시설로서 기능적으로 요구되는 안내판, 휴게의자, 수목보호대, 경사로, 보행등·경관조명등을 도입하였다. 넷째, 문헌, 고회화, 사진 등 사료(史料) 고찰과 현장 조사로 궁궐과 제례공간의 기존 식재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선원전영역 조경공간을 구성하는 전각 마당, 관람로와 휴게공간, 화계, 소나무림, 유실수원의 배식계획을 수립하였다.

인도네시아 중부(中部)자바지역(地域) 마을구성(構成) 및 주택유형(住宅類型)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Composition of Village and Types of Housing in Central Java of Indonesia)

  • 정건채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7권2호
    • /
    • pp.56-63
    • /
    • 2005
  •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research data of village composition and housing types of Central Java in Indonesia. So, I needed both field survey and research for 3 villages. I surveyed several houses cased on three village which located in two Desa of Salatica and one Desa of Purbowangi in rural area. The analysis of this research is divided into main categories as follow; The first is characteristics of village composition. And the second is classification of exterior form types and spatial composition of housing. Through this survey,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1. The main elements of village compositions are public facilities, cross street including in naturalism, and shadow within high-rise tree. But it is not important to planning for orientation. 2. The types of house are 16 in all Indonesia land. But in this study 3 village are followed to Java style which has traditional roof style and clay tile material 지붕, 처마, conservation 3. Spatial composition of inner side is focused of living room-Ruang Tamu, and others are organized in small size. But recently new type of improved village house has rest room into living space.

  • PDF

3차원 산림공간정보 서비스를 위한 산림 디지털트윈 구현 연구 (Forest Digital Twin Implementation Study for 3D Forest Geospatial Information Service)

  • 최인하;남상관;김승엽;이동국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9권5_4호
    • /
    • pp.1165-1172
    • /
    • 2023
  • 최근 우리나라는 2050 탄소중립을 선언하였고, 산림청에서는 첨단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하여 디지털트윈 기반으로 산림자원 관리, 산림재해 예방 등을 위한 K-포레스트 추진계획을 발표하였으며, 드론, LiDAR 등의 활용으로 산림자원 조사의 정밀화 및 첨단화를 추진하고 있다. 이처럼 산림자원 관리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산림공간의 디지털트윈 구축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우리나라의 디지털트윈은 도시 및 전국단위 디지털트윈 환경인 가상도시 서비스만을 구축 및 제공하고 있으며, 산림 공간을 대상으로하는 3차원 디지털트윈 서비스는 운영 및 제공되고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목 단위의 수고, 흉고직경과 같은 수직적 정보에 해당하는 3차원 산림공간정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산림 디지털트윈 환경을 구현하고자 하였으며, 실감형 3D 나무모델의 경량화, 3D Tiles 적용으로 3차원 산림공간정보 서비스를 위한 산림 디지털트윈 환경 구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지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도심지 내의 가로수를 포함해 전국단위 수목을 대상으로 3D 나무모델 배치 및 서비스 가능한 산림 디지털트윈 구현할 예정이며, 이를 통하여 산림자원 관리를 위한 산림 디지털트윈 서비스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조경식물의 식재와 이용 - 원주시와 횡성군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the Planting and Use of Landscaping Plants - Focused on Weonju and Hoengseong -)

  • 원종화;정진형;김창섭;이기의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1권1호
    • /
    • pp.34-58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원주시와 횡성군내에 식재 활용 되고 있는 조경 식물의 이용 상황을 조사 분석하여 현재 어떠한 식물이 어떻게 이용되고 있는가를 파악함으로서 그 이용방법에 대한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 아울러 원주시와 횡성군의 아름다운 경관 형성을 위한 관리 방법 등을 제시하였다.

  • PDF

항공 LiDAR 및 RGB 정사 영상을 이용한 딥러닝 기반의 도시녹지 분류 (Classification of Urban Green Space Using Airborne LiDAR and RGB Ortho Imagery Based on Deep Learning)

  • 손보경;이연수;임정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83-98
    • /
    • 2021
  • 도시녹지는 도시 생태계 건강성 증진을 위한 중요한 요소이며, 건강한 도시 생태계 유지 및 관리를 위해서는 도시녹지의 공간적인 현황 파악이 필요하다. 환경부에서는 2010년 이후부터 총 41개의 분류 항목을 갖는 1m 급 해상도의 세분류 토지피복지도를 제공해오고 있으나, 가로수와 같은 도시 내 고해상도 상세 녹지 정보는 기타 초지로 분류되거나 누락되어 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원시 지역을 대상으로 1m 이하 급의 고해상도 원격탐사 자료(항공 LiDAR 및 RGB 정사영상)를 이용하여, 기존 세분류 토지피복지도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고해상도의 상세 도시 녹지(수목, 관목 및 초지) 정보를 분류하고자 하였다. 분류 기법으로는 딥러닝 기반의 이미지 분할방법인 U-Net 구조의 모델을 활용하였으며, 분류 항목의 수 및 사용하는 자료의 종류에 따라 총 3가지의 모델(LRGB10, LRGB5, 및 RGB5)을 제안하고 성능을 평가하였다. 검증 지역에 대한 세 모델의 평균 전체 정확도는 각 83.40%(LRGB10), 89.44%(LRGB5), 74.76%(RGB5)이며, 항공 LiDAR와 RGB 정사영상을 함께 사용하여 총 5개의 항목(수목, 관목, 초지, 건물, 및 그 외)을 분류하는 LRGB5 모델의 성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수원시의 수목, 관목 및 초지 기준의 전체 녹지 현황은 각 45.61%(LRGB10), 43.47%(LRGB5), 및 44.22%(RGB5)로 나타났으며, 세 모델 모두 기존 세분류 토지피복지도와 비교하여 평균 13.40%의 도시 수목 정보를 더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이러한 도시녹지 분류 결과는 향후 중분류 토지피복지도와 같은 기존 GIS 정보와의 융합을 통해 가로수 녹지 비율 현황 등 추가적인 상세 녹지 현황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다양한 도시녹지 연구 및 정책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시공원에 번식하는 박새의 이소 전후 어미 행동권 분석 (Home Range Analysis of Great Tit (Parus major) before and after Fledging in an Urban Park)

  • 송원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97-106
    • /
    • 2020
  • Urban parks provide a variety of ecosystem services and are an important means of providing positive functions to urban ecosystems. Recently, various studies on wildlifes in urban parks have been conducted.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habitat use in urban parks at important times such as before and after fledging in bird ecology. This study analyzed habitat use and home-range before and after fledging on Cheongsa park, a neighborhood park located in Cheonan city. An artificial nest was set up to check and capture great tit in fledging time. One female was captured and attached to the NTQB-2 (0.4g) radio transmitter, the location was tracked using SIKA Radio Tracking Receiver, hand-held three element Yagi antenna and GPS. Location information was recorded for 10 minutes for 3 hours each morning and afternoon for 12 days from May 17 to May 31, 2019. As a result, the home-range of the target species was 1.776 ha (MCP) and the core area was 499 ㎡ (KD 50%). The average daily home-range was 0.513 ha for the entire period, 0.688 ha before fledging, 0.339 ha after fledging based on MCP. The bird moved about 29.9 m on average and moved up to 131.7 m. For the most of the time, the great tit stayed inside the park, but the bird also used small green spaces such as street trees, tree flower beds, and green areas of unused land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applied to the study of habitat use and the greenery management policy of the urban park considering wild birds.

감천항 수산물 도매시장 조경설계 (Landscape Design of Gamcheon Wholesale Fish Market)

  • 권영휴;민권식;황용득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70-78
    • /
    • 2002
  • The landscape disign of Gamcheon wholesale fish Market was designed around a turnkey base to promote the economy of Busan Metropolitan City, to establish a fishery marketing center and to modernize existing facilities. The objectives of the project were to promote the mood of an old market, while preserving its functions and efficiency as a market, to design outdoor spaces with natural resources and amenities in balance, and to create attractive tourist spots in connection with the wide area development plan. The project was oriented, fast, to enhance the functions of the market. For this purpose, a multi-dimensional space layout was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as a wholesale market. The safety of pedestrians was secured by separating lathes for vehicles and for pedestrians. Tree planting with various functions such as sheltering, wind breaking and guiding was planned. Secondly, nature-friendly and human-friendly landscaping design was attempted. For this, the beautiful natural resources of Amnam Park were utilized, and green spaces such as green bridges linking buildings in the wholesale market, and rooftop gardens were to be arranged. In addition, environment-friendly facilities such as roads paved with natural materials(i.e. gravel, shells) and program parking lots were to be planned. Thirdly, landscape design was considered to create attractive tourist spots. For example, a fish farm was created as a theme street for pedestrians and various water-friendly spaces such as pedestrian ramps, observatories and seaside streets were to be secured. The main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a green bridge to Ahnnam Park was introduced for a tour source and flower garden, an event plan and viewing deck open to the sea were planned on the bridge's axis. Secondly, for the effective land use plan concerning open space and convenience to visitors, a promenade was planned, which is connected with the theme plaza and small plazas by environmental sculptures in front of the market hall and at the gate. As well, an observatory and a roof garden help create three dimensional multi leveled space, with a good view of the natural landscape of the sea, sky and park Thirdly, landscape materials, such as trees and those for facilities, strengthened for protection against the seawind and salt damage were selected. The commercial market area was intended to be transformed a traditional functional area of efficiency and economy into an attractive marine leisure area where both tourists and neighbors can make use of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