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eam Structure

검색결과 827건 처리시간 0.03초

낙동강, 서낙동강, 수영천 하구의 하상구조에 따른 연중 퇴적저토의 오염특성 연구와 부산근해 적조에의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Riverbed Structure and Pollutant Concentration in Down Stream of Nakdong River)

  • 황선출;이봉헌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6권5호
    • /
    • pp.513-520
    • /
    • 1997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iverbed structure and the pollution type in Nakdong River, Western Nakdong River. and Suyoung Stream. Sediment and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at is in Nakdong River. in Western Nakdong River, and 8 states In Suyoung Stream from February 20, 1997 to June 15, 1997. The depth distributions of sampling sites in the three streams were measured and heavy metals(Cd, Pb, Cr, Cu) and pesticides in sediments and COD, BOD, and total nitrogen(T-N) in water samples were analysed. The deepest and the shallowest sites were strate 11(11.58m) and 9(3.35m) in Nakdong River, site 7(6.25m) and 4(2.06m) in Western Nakdong River, and site 8(2.89m) and 1(0. 61m) in Suyoung Stream , respectively. The mean concentration of Cd(45.79ppm) was higher In the sediment of Western Nakdong River than In other two streams and those of Pb(76.25ppm), Cr(48.13ppm), and Cu(77.50ppm) were higher in file sediment of Suyoung Stream than in other two streams. Pesticides(1 kind of organophosphorus and 3 kinds of organochlorine pesticide) were detected only in the sediment of Western Nakdong River. The mean concentrations of COD(20.26ppm), BOD(25.36ppm), and T-N(18.05ppm) were higher in the water sample of Suyoung Stream than In other two streams.

  • PDF

도시복개하천의 복원사업 이후 인접 주거지의 물리적 특성 변화 (The Changes of Adjacent Residential Area after the Restoration of Covered Urban Streams)

  • 김준영;양우현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5권6호
    • /
    • pp.133-146
    • /
    • 2014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nges of adjacent residential area after the restoration of covered urban streams in seoul. The changes of adjacent residential area after restoration were analyzed by changes of land using, urban structure, individual lot of land and architecture to investigate relationship of the urban stream and residential change. The result as follows: the first one is the change of land use and urban structure in adjacent residential area. This change of infrastructure through stream restoration has transformed land use and urban structure in adjacent residential area. Secondly, there is the changes of the individual lot of land. It seemed that new development by combined lots would be concentrated in stream-side blocks. But, the changes of lots such as combining or dividing lots tend to be concentrated in stream-side, main road and main streets. In stream-side, commercial function of land use has changed to residential one which has restored streams landscape by transformation of lots use without changes of ownership-lots. Finally, there is the change of architecture. It turned out new building in adjacent residential area is similar to general development. However, new building in streamside is related to direction of stream. In addition, remodeling and expansion tend to change in commercial buildings on stream-side bridges of corner lots intensively. As a result, it is related to expectation of architectural activation and improvement of sidewalk environment by stream restoration.

An Analysis on Landscape Structure and Biodiversity of the Bokha Stream as a Model to Restore the Degraded Urban Stream

  • Lee, Chang-Seok;Moon, Jeong-Suk;Woo, Hyo-Seop;Ahn, Hong-Gyu;Cho, Gang-Hyun;Bae, Yang-Seop;Byun, Hwa-Geu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29권2호
    • /
    • pp.113-124
    • /
    • 2006
  • Landscape structure, habitat types, vegetation structure and biodiversity in the Bokha stream chosen as a reference stream were investigated to get ecological information necessary for restoration of urban stream degraded by excessive artificial interference. Landscape structure showed a slight change between before and after flooding. Habitat types of nine sorts were identified based on ecological information obtained from field survey such as micro-topography,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disturbance regime, and so on. Each habitat holds specific organisms to each site. Consequently, the number of plant communities, and species of benthos and fish increased as the kinds of habitat type increase. Ordination of habitat types based on vegetation, benthos, and fish data reorganized them into three groups of pool types of two kinds depending on whether they are connected to the water course or not and riffle one. Vegetation showed different stratification and species composition depending on topographical position in relation to disturbance cycle. Based 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heterogeneity and biodiversity was discussed and a restoration plan was suggested in a viewpoint of vegetation.

원주 후류의 응집구조에 대한 자유흐름 난류강도의 영향 (The Effect of Free Stream Turbulence on the Coherent Structures in the near Wake of a Circular Cylinder)

  • 정양범;양종필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8권1호
    • /
    • pp.60-72
    • /
    • 1994
  • The effect of free stream tubulence on the coherent structure in the near wake of a circular cylinder was investigated by a conditional sampling technique. The measurements were made from C.T.A. with hot wire I-probe and a Split-film sensor. Contours of phase-averaged velocity and vorticities were presented and discussed. It was found that the value of the vortex strength increased with increasing free stream turbulence which can enhance the roll-up of the shear layer.

  • PDF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이 계류수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the Construction of the Torrent Control Structure using Customized Tetrapods on the Stream Water Quality at Valley)

  • 박재현;마호섭;김기흥;윤호중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1호
    • /
    • pp.105-111
    • /
    • 2011
  • 이 연구는 경상남도 산청군 홍계 계곡에 설치한 맞춤형 테트라블럭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의 설치 전 후의 계류수질 변화를 밝힘으로써 산림내 계류수질 보전 및 관리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맞춤형 테트라블록(Tetrapod)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을 시공한 후에도 계류수의 pH는 하천수질환경기준 상수원수 1급수의 범위 내였다.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의 시공 후 계류수의 용존산소량 (Dissolved Oxygen)은 거의 변화하지 않았으며, 전기전도도(Electrical Conductivity)는 오염원이 없는 맑고 깨끗한 일반적인 계류수에서의 전기전도도의 범위 내에 포함되었다.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을 설치한 후 계류수 하류의 평균 음이온량(Average of total amount of anion)은 약 3.07/2.30~3.60 mg/L로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을 설치하기 전과의 차이는 약 0.24 mg/L로 그 양도 미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울러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을 설치한 계류수는 오염되지 않은 일반적인 계류수에서의 수질과 유사하여, 이러한 야계사방구조물 설치에 따른 계류수질 오염의 영향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천복원을 위한 하천평가기법의 적용성 연구 (Applicability of A Stream Evaluation Method for Stream Restoration)

  • 이준호;강태호;성영두;윤세의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3권4호
    • /
    • pp.131-143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하천 관리자들에게 하천의 자연성 증진의 중요성을 이해시키고, 하천을 자연스러운 상태로 되돌리는 과정에서 하천이 처한 상황에 대한 진단과 처방을 위한 하천자연도 평가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의 자연도평가와 그 적용성의 확인을 위해 수로의 발달, 종방향, 횡방향, 하상구조, 저수로변 구조, 하천주변, 수질 등 7가지 자연도 평가기법의 항목을 제안하였다. 자연도평가를 위해 복하천을 대상하천으로 선정하였다. 복하천에서 자연도지수는 $2.2{\sim}3.8$정도였고, 평균지수는 3.1로 대부분이 3등급을 나타내었다. 7개 지수 중에서 횡단면이 가장 높은 등급이었고, 수로의 발달이 가장 낮은 등급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의 자연도 등급을 통해 하천의 자연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복원해야 할 하천의 선택과 훼손된 하천의 복원구간 및 방법을 결정할 수 있었다.

하천의 물리 환경 평가체계의 구축 (A development of an assessment system for stream physical environments in Korea)

  • 정혜련;김기흥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1권8호
    • /
    • pp.713-727
    • /
    • 2018
  • 본 연구는 국내 하천의 고유성을 반영할 수 있는 물리적 환경평가 체계를 개발하는 것이다. 하천유형 분류, 평가구간 선정, 평가 항목 및 지표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요약하였다. 하천의 물리적 구조는 하천 유수력에 의한 반응의 결과이므로 하도경사, 하상재료의 입경 및 하도지형의 특성에 따라 하천을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평가구간은 각 하천 유형의 대표적인 특징인 step 또는 여울출현 간격, 사행도에 따라 저수로 폭의 10배와 25배 기준으로 선정하였다. 평가지표는 하도 안정성, 흐름 상태, 횡단면 형상, 하안 안정성, 하도개수 및 하천횡단구조물과 같은 공통지표와 유효 서식지, 하상 매몰도, 흐름의 다양성 및 step과 여울 출현빈도와 같은 하천 유형별 특성지표로 구성되어 있다.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개발된 평가체계를 9개의 하천에 적용하고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하상구조에 따른 4개 하천의 어류 분포 특성 비교 (Comparison of Fish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by Substrate Structure in the 4 Streams)

  • 윤석진;최준길;이황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02-313
    • /
    • 2014
  • 모래형 하천과 자갈형 하천의 어류군집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4개의 하천을 선정하여 계절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출현한 어종 중 한국고유종은 Acheilognathus gracilis 외 24종으로 확인되었다. 홍천강과 무주남대천의 우점종은 Zacco koreanus로 각각 39.9%, 28.4%를 차지하였으며, 양화천은 Rhodeus notatus가 13.6%, 갑천은 Z. platypus가 26.0%로 우점하였다. 군집분석 결과 우점도지수는 0.27~0.63, 다양도지수는 1.92~2.67, 균등도지수는 0.6~0.79, 풍부도지수는 3.09~3.53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우점도지수는 홍천강에서 가장 높고, 다양도, 균등도, 풍부도지수는 양화천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내성도 길드 분석 결과 하상구조물이 다양한 홍천강과 무주남대천은 민감종이 각각 50.1%와 46.4%로 비교적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모래 하상이 높은 양화천과 갑천은 민감종이 각각 0.5%와 5.3%의 희소한 비율을 차지하였다. 하천별 출현한 어류의 종별 개체수와 하상구조를 이용하여 유사도를 분석한 결과 자갈형 하천인 홍천강과 무주남대천이 종과 개체수는 50.4%, 하상구조는 95.2%로 가장 유사하였다. IBI 분석결과 홍천강과 무주남대천이 'A등급', 양화천과 갑천이 'B등급'으로 나타났고, 주성분 분석결과 자갈형 하천과 모래형 하천의 2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파주 갈대 샛강 생태적 복원을 위한 식생구조 모니터링 연구 (Monitoring on Vegetation Structure for Ecological Restoration of Small Stream in Paju)

  • 김정호;이경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99-111
    • /
    • 2009
  • In this study vegetation structure was monitored focusing on slanting surface of stream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a management plan and ecological restoration of small stream in Paju. The study was conducted by types of geographical structure, yearly flora, naturalization rate changes, actual vegetation changes, plant community changes. Slope area of small stream in Paju was varied in the slope range of $10{\sim}35^{\circ}$. The survey results of yearly flora showed that 37 species appeared in 2000, 55 species in 2001, 95 species in 2002, and 125 species in 2003. Therefore, the trend of continuous increase of flora each year was observed. In the case of yearly changes of actual vegetation, indigenous wetland herb community including Phragmites communis$(19.99%{\rightarrow}18.42%{\rightarrow}19.60%)$ did not show substantial changes in the area, while the influence of controlled flora such as Humulus scandens$(8.86%{\rightarrow}5.26%{\rightarrow}9.73%)$, and Ambrosia artemisiifolia$(1.06%{\rightarrow}1.43%{\rightarrow}6.93%)$ were increased. The vegetation structure investigated by 18 preset belt-transects also indicated that Phragmites communis and Miscanthus sacchariflorus were maintaining the status or decreasing the population, while the population of Humulus scandens, Ambrosia artemisiifolia, Setaria viridis, and Erigeron canadensis were greatly increased. Our proposal management to restore ecology is as follows: first,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of Phragmites communis landscape; second, restoration of potential stream vegetation community; third, selection and removal of controlled plants.

하천구조 개선에 따른 어류 서식적합도와 물리적 교란의 상관분석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Physical Disturbance and Fish Habitat Suitability before and after Channel Structure Rehabilitation)

  • 최흥식;이웅희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2권1호
    • /
    • pp.33-41
    • /
    • 2015
  • 본 연구는 어류서식적합도 향상을 위해 유전자알고리즘을 이용한 하천의 구조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하천구조 개선에 의한 수리특성의 변화에 따른 어류 서식적합도와 물리적 교란양상과의 상관특성을 분석하였다. 원주천의 하천 환경조사와 어류의 군집특성을 이용하여 수중 생태계를 대표할 수 있는 복원 목표어종으로 참갈겨니를 선택하였다. 참갈겨니의 서식적합지수를 사용한 서식적합도 분석은 PHABSIM 모형을 이용하였다. HEC-RAS를 이용한 수리특성 분석과 하천교란 평가방법을 이용하여 물리적 교란평가를 수행하였다. 서식적합도 향상을 위한 최적의 저수로 폭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하천구조의 개선에 의한 수리특성의 변화에 따른 서식적합도와 물리적 교란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어류 서식적합도와 물리적 교란 평가점수의 향상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서식적합도 향상을 위한 하천의 구조 개선은 물리적 교란의 평가점수의 향상을 가져옴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