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ach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초

동부와 녹두전분의 이화학적 특성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lperties of Cowpea and Mung Bean Starches)

  • 윤계순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39-46
    • /
    • 1989
  • Mung bean starch gel (Mook) and gel made from starch of cowpea are similar properties in texture. In order to elucidate the similarity between these two starch gels, som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wpea starch were compared with those of mung bean starch. Water bildings capacity of cowpea starch (183.6%) was a little low than that of mung bean starch (184.2%). The solobility, swelling power and optical transmitance of the cowpea starch showed a smiliar pattern to mung bean starch, but cowpea starch had a little lower solubility than mung bean starch. Amylogram of mung bean strach (4, 5, 6, 7%) shoved no peak viscosity but cowpea starch (4, 5, 6%) showed peak viscosity and both starches showed high viscosities when cooling. Cowpea and mung bean starches had the blue value of 0.41 and 0.47, the alkali number of 8.4 and 8.0, the amylose content of 30.5 and 32.1%, the molecular weight of amylose of 30,000 adn 29,258 and glucose unit per segment of amylopectin of 27.6 and 26.8 respectively. The shape of cowpea and mung bean strach granules were round and elliptical, and the mean vlalue of major axis, minor axis and the ratio of these were 20.7 and 21.8 ${\mu}{\textrm}{m}$, 14.6 and 14.4 ${\mu}{\textrm}{m}$ and 1.42 and 1.51, respectively. The extent of retrogradation determined by the glucoamylase digestion method and syneresis showed that cowpea starch gel was larger than that syneresis showed than cowpea starch gel was larger than that of mung bean starch gel. The redults of X-ray diffraction studies showed A pattern for two starches, Diffraction peak of gels disappeared with gelatinization of starches but that of two starch gels storaged for 2 days at 5$^{\circ}C$ showed a similar patterm.

  • PDF

내백 수삼 전분의 특성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tarch from Inside White Fresh Ginseng)

  • 박훈;이미자;조병구;이정렬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8권3호
    • /
    • pp.191-195
    • /
    • 1994
  • Among many kinds of constituents of ginseng root, starch was the most noticeable component related to inside white in fresh ginseng. The ash of inside white section was higher in content and greenish gray in color. The water binding capacity and ash content of the starch from inside white fresh ginseng were higher than those of starch from normal fresh ginseng, but amylase conten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sh of inside white fresh ginseng starch contained higher in Ca, Mn and Fe content. Complexes of small granular starch and amino acids were rich in swelling power, and solubility by temperature change were similar between inside white fresh ginseng starch and normal one, but the former was more easily swelled than the latter.

  • PDF

Pullulanase를 생산하는 Aeromonas caviae No.S-76의 특성과 배양조건 (Characterization and Some Cultural Conditions of a Pullulanase Producing Aeromonas caviae No. S-76)

  • 손천배;김명희;이명자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15-318
    • /
    • 1991
  • Pullulanase 생산력이 높은 세균 No.S-76을 토양으로부터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은 0.4~$0.6\times 0.8$~1.4 $\mu\textrm{m}$의 크기의 gram음성, 간균으로서 운동성이 있으며, 여러가지 특성을 조사한 결과 Bergey의 세균분류 동종법에 따라 Aeromonas caviae로 동정되었다. 본 균의 pullulanase 생산배지로서는 탄소원은 1 pullulan, soluble strach 또는 corn starch가, 질소원으로는 0.5% yeast extract 또는 peptone이 적당하였으며 initial pH는 9.0의 배지가 가장 좋았으며 $32^{\circ}C$에서 2일간 배양이 적당하였다.

  • PDF

찹쌀떡의 저장중 텍스쳐 변화 (Textural Changes of Glutinous Rice Cakes during Storage)

  • 이인의;이혜수;김성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79-384
    • /
    • 1983
  • 일반 및 통일 찹쌀 전분의 성질 및 찹쌀떡의 저장에 따른 텍스쳐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일반 찹쌀 전분 입자는 통일 찹쌀 전분보다 동그란 형태였으며 크기가 작았다. 일반 찹쌀 전분의 물 결합 능력 및 swelling power는 통일 찹쌀 전분보다 높았다. 통일 찹쌀떡의 호화도는 일반 찹쌀떡에 비하여 낮았으며, 일반 찹쌀떡의 호화도는 저장 2일까지 직선적으로 감소하였고, 통일 찹쌀떡은 저장 1일까지 직선적으로 감소하였다. 이 경향은 떡의 단단함의 증가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으며, 관능 검사 결과 단단함의 변화는 저장 시간의 변화와 품종의 차이에 따라 고도의 유의차를 보였다.

  • PDF

사상균과 효모의 세포융합에 의한 녹말로부터의 에탄올 생산 (Ethanol production from starch by protoplast fusion between aspergillus oryzae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 이주실;이수연;이영록
    • 미생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21-224
    • /
    • 1989
  • 녹말로부터 에탄올을 직접 생산하는 균주를 개발하고자 amylase 활성이 높은 Aspergillus oryzae와 알콜발효능이 있는 Saccharomyces cerevisiae의 원형질체를 융합하였다. 이들의 융합을 유도하기 위해서 fusogen으로 35% PEG 4000을 사용하였으며, 융합체의 선별을 위한 유전적 지표로는 아미노산 요구성을 사용하였다. 융합률은 $4.6\times 10^{-6}$이었다. 선별된 융합체들은 효모의 형태였으며 amylaseghkf성을 나타내었고, 에탄올을 생사하였다. 그리고 이들 성질 중에서 형태는 후세대에도 안정하게 유지되었으나 녹말로부터의 알콜 생성능은 현저히 감소하였다. 비록 포도당 배지에서의 융합체들의 알콜 생산은 S. cerevisiae의 0.5배에 지나지 않았으나, Prototroph인 S. cerevisiae와는 달리 이들은 녹말로부터 직접 에탄올을 생산할 수 있었다.

  • PDF

전분 충전 폴리에틸렌 필름의 아밀레이스 반응에 의한 생분해도 측정 (Measurement for Determining the Biodegradation of Starch-Filled Polyethylene Film by $\alpha$-Amylase)

  • 최수형;강경남박태현신평균
    • KSBB Journal
    • /
    • 제11권1호
    • /
    • pp.86-91
    • /
    • 1996
  • 전분이 충전된 폴리에틸렌 필름의 생분해도를 측정하기 위해, ${\alpha}$-amylase가 효과적으로 전분을 분해 시킬 수 있는 반응조건을 설정하고 설정된 반응조건 에서 반응시킨 후 산물인 당을 측정하여 분해정도를 결정하였다. 효과적 인 반응온도는 $80^{\circ}C$이고, pH는 6.3-7.3 사이가 적당하였다. 효소반응에 적당한 r amylase량은 1 mg 전분당 100unit이 었다. 이와 같 은 반응조건하에서, 전분의 무게함유량이 각각 5%. 10%, 15%. 20% 인 폴리에틸렌 필름을 ${\alpha}$-amylase 와 반응시킨 결과 전분이 함유된 비율과 생성된 환 원당간에 대융의 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필름 내에 함유된 생분해가 가능한 전분량을 정량화하는데 calibration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때 분해되 어진 전분의 양은 충전된 전체 전분량의 약 40%에 해당하는 값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는 필름 내부에 분산되 어 있어 ${\alpha}$-amylase의 공격을 받지 못하기 때 문으로 생각된다. 본 실험을 통해 최적화된 반응조 건하에셔 분해시킴으로써,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분해도를 높인 기존의 데이타보다 더 높은 분해도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보리와 밀 맥아 Amylases의 반응속도론적 연구 (Kinetic Studies on Amylases from Barley and Wheat Malt)

  • 김영휘;조정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27-131
    • /
    • 1991
  • 보리와 밀 맥아의 ${\alpha}-amylase$${\beta}-amylase$의 대한 찹쌀과 멥쌀 전분에 대한 반응속도론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보리와 밀의 발아 과정에서 ATP 함량은 발아 2일 후에 급격하게 증가하여 5일 후에는 감소하였으며, 건조 중량은 3일 후부터 감소하였다. 보리맥아와 밀 맥아의 ${\alpha}-amylase$$\;{\beta}-amylase$ 모두 6일째에 최대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alpha}-amylase$의 경우, 보리맥아에 존재하는 ${\alpha}-amylase$가 멥쌀 전분에서 친화력이 크게 나타났으며, $V_{max}$값은 보리 맥아의 경우 멥쌀 전분에서 밀 맥아의 경우 멥쌀과 찹쌀 전분에서 높게 나타났다. ${\beta}-amylase$의 경우는 보리 맥아의 효소가 찹쌀 전분에 대해 친화력이 크게 나타났으며, $V_{max}$값은 밀 맥아의 효소가 찹쌀 전분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기질 효율성은 보리 맥아에서 추출한 ${\beta}-amylase$가 멥쌀 전분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 PDF

겉보리 전분의 이화학적 특성및 호화기작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Gelatinization Kinetics of Covered Barley Strach)

  • 김남수;남영중;민병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2-17
    • /
    • 1987
  • 올보리 전분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흐좌기작을 구명하였다. 올보리 전분의 크기는 $13-28{\mu}$였으며, 전분의 모양은 난형이나 원형이었다. 호화온도의 상숭에 따라 팽윤도와 용해도는 증가하여 $90^{\circ}C$에서 최대치인 7.22와 2.28%에 이르렀다. 올보리 전분에 있어서의 광투과성의 증대는 $80^{\circ}C$$90^{\circ}C$ 사이에서 완료되었다. 올보리 전분의 호화반응은 2단계로 나타났으며. 1단계 호화반웅의 활성화 에너지는 23.84 kcal/mole, 2단계 호화반응외 활성화에너지는 $80^{\circ}C$ 이하에서는 33.48kcal/mole, 그 이상에서는 72.82 kal/mole이었다.

  • PDF

호알칼리성 Bacillus sp. No.4의 Cyclodextrin Glycosyltransferase에 의한 Glycosyl Sucrose의 생산과 저충치성 당으로서의 응용 (Production of Glycosyl Sucrose by Cyclodextrin Glycosyltransferase of Alkalophilic Bacillus sp. No.4 and Its Application for Low-Cariogenic Sugar)

  • 손천배;유미경;김명희;문숙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03-509
    • /
    • 1991
  • Strach와 sucrose의 혼합액에 호알칼리성 Bacillus sp. No.4가 생산하는 cyclodextrin glycosyltransferase(CGTase)를 작용시켜 감미가 우수하고 항우식성이 있는 glycosyl sucrose syrup을 만들기 위한 조건을 검토하였다. 설탕과 전분의 혼합액에 CGTase를 작용시키면 반응 초기에는 cyclodextrin을 생성하지만 반응시간의 경과에 따라 점차 cyclodextrin은 소실되고 glycosyl sucrose가 생성되었다. 이 반응은 설탕과 전분의 비율이 1 : 1 부근이 좋았으며, pH6.0, 온도 $60^{\circ}C$가 최적이었다. 20% starch와 20% sucrose의 혼합액으로부터 제조된 glycosyl sucrose syrup의 주성분은 sucrose 18%, glucosyl sucrose($G_{2}F$) 15.3%, maltosyl sucrose($G_{3}F$) 11.3%이었으며 glucose, maltose, maltotriose는 거의 생성되지 않았다. 제조된 syrup은 Sucrose에 비하여 충치균 Streptococcus mutans OMZ 176에 의한 산생성량이 적고 불용성 glucan의 생성량도 적어 충치 예방효과가 기대되었다.

  • PDF

쌀 배유전분구조 및 물리적 특성의 품종 변이 (Varietal Variation in Structure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Rice Endosperm Strach)

  • 강미영;최해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513-523
    • /
    • 1993
  • 쌀의 이용성 증진과 쌀 가공적성 육종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쌀의 아밀로스함량 및 호화특성이 크게 다른 벼 24품종에 대한 쌀 배유전분의 구조 및 물성의 차이를 비교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쌀 전분-요-드 정색반응의 최대흡수파장이 찰은 520nm, 메는 560nm~600nm까지로서 이밀로스 함량이 높은 품종일수록 길어지는 경향이 있었고 비슷한 아밀로스함량 수준에서도 품종에 따라 최대흡수파장에 다소 차이가 있었다.2. 쌀 품종별 전본의 글루코오스쇄장분포 비교에 의하면 Fr. I에서 가장 큰 품종간 차이를 나타내었고 다음으로 중간분획(Int. Fr).과 Fr. III/Fr. II율에서 품종간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특히 아밀로펙틴의 미세구조를 나타내는 Fr.III/Fr. II율은 찹쌀이 멥쌀보다 높은 경향이었으나 멥쌀간에는 아밀로스함량과는 관계없이 품종간 차이를 나타내었다. 3. 알칼리 붕괴도가 낮은 품종일수록 전분입자의 50% 산 가수분해 소요시간이 길었으며, 호응집성이 경질인 품종과 연질이 품종들 모두에서 50% 산 가수분해 소요시간에 품종간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호응집성이 경질인 품종일수록 Fr. III의 분포가 낮고 Fr. I의 분포 및 아밀로스 함량은 높은 경향이었다. 4. 쌀의 전분구조 및 특성과 쌀의 이화학적특성에 따라 주성분분석에 의하여 공시품종들을 6개군으로 분류할 수 있었는데 이는 주로 아밀로스관련 성분과 아밀로펙틴 구조성분에 따라 군집화 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