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ore Reuse Intention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2초

The Effects of Chatbot Service Quality, Trust, and Satisfaction on Chatbot Reuse Intention and Store Reuse Intention

  • JI, Seong-Goo;CHA, Ae-Young
    • 산경연구논집
    • /
    • 제11권12호
    • /
    • pp.29-38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 of chatbot service quality, chatbot trust, and chatbot satisfaction on chatbot reuse intention and store reuse inten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We reviewed the literature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chatbots, established hypotheses, and analyzed them. We empirically analyzed the process model in which chatbot service quality (interaction quality, information quality) has a positive effect on chatbot trust and chatbot satisfaction, and that chatbot trust and satisfaction positively affect chatbot reuse intention and store reuse inten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212 people who had used shopping mall chatbots and financial service chatbots after demonstrating the shopping mall chatbot video.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onducted by using AMOS 24.0 to test the proposed relationships. Results: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the effects of interaction quality on chatbot trust and information quality on chatbot satisfaction were not supported, but the rest of the hypothes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was found that the information quality of chatbot service had a positive effect on chatbot trust, bu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chatbot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interaction quality of the chatbot positively affects the satisfaction of the chatbot, but it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trust of the chatbot. Chatbot trus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hatbot satisfaction. Chatbot trust and chatbot satisfaction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reuse the chatbot. And, chatbot trust and chatbot satisfaction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store reuse intention.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offer significant theoretical and managerial contributions in the context of chatbot. Chatbots should enhance customer contact quality manag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total customer experience management rather than partial function. When providing a chatbot service, it is more desirable to give priority to providing accurate information to increase trust, and at the same time to improve customer satisfaction by increasing the quality of interaction. And in order to increase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companies, the purpose of introducing chatbots should be clarified and approached strategically.

Store's Visual Sensory Cues, Emotion, and Reusage Intention

  • Choi, Nak-Hwan;Zhang, Jia-Ling;Chen, Chang
    • 유통과학연구
    • /
    • 제16권2호
    • /
    • pp.35-45
    • /
    • 2018
  • Purpose - This research aimed at exploring the mediation roles of the arousal and pleasure in the effects of the congruity between visual sensory cues of a retail store and consumers' self-image on the intent to reuse the stor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data from 278 Chinese consumers who answered the questionnaire online were analyzed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Amos 21.0 program to verify the hypotheses. Results - Store's visual sensory cues congruent with consumers' self-image directly affected the intention to reuse the store, and had positive impacts on both their arousal and pleasure states. The consumers' pleasure positively influenced on their intention, but their arousal did not influence on the intention. Consumers' pleasure played mediation roles in the effect of the congruity on the intention to reuse the store. Conclusions - Retail store marketers should pay attention to visual sensory cues to match the cues to consumers' self-image, when designing their store settings. When developing the cues, to help consumers feel pleasure which in turn, induces loyalty to their store, the marketers should develop the atmosphere setting in the respects of the congruity between the visual sensory cues and the self image.

한.중 고객의 서비스 점포에 관한 만족과 충성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A Empirical Study on the Satisfaction and Loyalty on the Service Store of Korean and Chinese Customer)

  • 박상선;진재성
    • 통상정보연구
    • /
    • 제10권2호
    • /
    • pp.433-453
    • /
    • 2008
  •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are becoming an increasing salient topic in many firms and in academic research. This study places significance in establishing corporate marketing strategy via analyzing and understanding purchasing by Korean and Chinese customer, especially those for service store, who serve as the core in marketing activities. To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which antecedent variable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consumer perceived satisfaction or loyalty and to examine whether these factors hav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customer. To test the hypotheses, such antecedent variables as the product quality, service quality, store reputation, store image. All variables are significant factors in both Korean and Chinese customer. Under the current increasingly rapid competitive market, product/service quality, store reputation/image can provide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can generate continual customer expansion of current customer through the reuse intention and can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new customers.

  • PDF

태블릿PC 주문서비스 재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그림자노동 관점 (Factors Influencing Reuse Intention of Tablet PC Ordering Services: From the Perspective of Shadow Work)

  • ;;고준
    • 서비스연구
    • /
    • 제13권4호
    • /
    • pp.1-23
    • /
    • 2023
  • 현재 태블릿 PC 가 점점 더 인기를 끌면서 매장 운영에 있어 편리함을 제공하지만, 일부 고객은 불만을 느낄 수 있다. 그림자노동의 관점에서 고객은 태블릿 PC 를 사용하는 것이 추가 작업, 즉 서비스 직원으로부터 업무가 이전되어 고객 스스로 작업을 해야 한다고 느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객이 태블릿 PC 를 이용할 때 그림자노동에 대한 인식(지각된 사용 어려움 및 지각된 사용 강제성)의 원인과 그림자노동에 대한 인식이 태블릿PC 주문 서비스에 대한 재사용 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고객의 그림자노동에 대한 지각이 디지털 리터러시와 정보 과부하에 영향을 받는지 여부를 조사하며, 태블릿 PC 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혜택이 그림자노동 지각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조사한다. 본 연구는 음식점에서 태블릿 PC 를 이용하여 주문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중국의 설문조사 전문 사이트인 "원쥬엔싱" (Wenjuanxing)를 통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수행한 후, 총 376 개의 유효한 데이터에 대해 SPSS 24.0 을 활용하여 인구통계학적 특성, 빈도 분석, 신뢰도 분석, 타당성 분석, 상관관계 분석 등을 실시했다. 또한 가설들은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376 명 응답자의 실증분석 결과, 디지털 리터러시와 정보 과부하가 그림자노동 인식에 영향을 미치며, 태블릿 PC 주문 서비스 재사용 의도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밝혔다. 또한 혜택은 이러한 관계에 대해 유의한 조절 효과를 보였다.

외식프랜차이즈의 서비스 경험이 만족과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인공신경망 분석의 적용 (Effect of Online Food Service Franchise Experiences on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Application of ANN Analysis)

  • 이신화;안성만;이유정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10권2호
    • /
    • pp.59-70
    • /
    • 2019
  • Purpose - Every company studies how to attract and retain new customers to increase competitiveness and profitability. Companies establish strategies to attract customers, secure competitive advantage and generate revenue. Businesses are looking for newer and better ways to differentiate themselves in the marketplace. One of the requirements for service differentiation is to make it a prerequisite for an engaging customer experience. Customer experience can be attained through service experience. Satisfaction determine whether to reuse the food service franchi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ustomer experience on the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of food service franchise. In this study, customer experience consists of three attributes such as service environment, food quality, and price fairness. Also,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mportance of three service experience attributes of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using ANN (artificial neural network) analysis.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The survey was conducted on customers who have visited franchise restaurants in one month in order to examine how service environment, food quality, and price fairness have been influenced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through online survey company (SM culture & contents). A total of 300 representative surveys were collected. Of those collected surveys, 26 were not used due to missing information, resulting in 274 as the final sample size. The sample size was more than 10 times more than the number of variables used in the structural model analysis. Results -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Service environment and price fairnes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However, food quality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Finally, it was found that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revisit intention. Meanwhil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N analysis, satisfaction as a dependent variable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in male price fairness and service environment in female. Also, when the revisit intention is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both male and female price fairness are important. Also, when the intention to revisit is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both male and female price processes are important. Conclusions - First, a restaurant franchise enterprise needs to manage customer service experience. Customers should strive to eat and enjoy at a dining franchise store. Second, it is necessary to design a food service franchise shop as a customer-oriented service environment. Franchise companies need to improve the environment so that customers can use the store conveniently. Third, the restaurant franchise menu price needs to be cheaper than the alternative menu. The restaurant franchise menu needs to be constructed with a popular menu that can be used continuously by the customer, so that it can be set at a reasonable price.

The Effects of Perceived Quality and Relationship Quality on Store Performance(Revisit Intention) in the Context of Coffee Specialty Shops

  • LEE, Sang Suk;LEE, Jee Eun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12권1호
    • /
    • pp.21-34
    • /
    • 2021
  •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quality, relationship quality, and revisit intention in the context of coffee shop. In this model, perceived quality consists of product, service, and experience quality, and relationship quality consists of satisfaction, trust, and commitment, and performance consists of revisit intention. More specially, this study identifies whether perceived quality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quality and relationship quality and the direct/indirect effects of perceive quality on intention to revisit.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 to 30, 2019.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20 respondents and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ith AMOS program. Result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quality perception of coffee specialty stores had a statistically positive effect on relationship quality, indicating supports H1. Therefore, customers can know that they are aware of the quality of coffee specialty stores, including quality of service and experience as well as products, and that they form relationship quality with coffee specialty stores. Second, relationship quality between coffee shops and customer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erformance. Thus, H2 was supported. The results show that if the coffee shop does not consider relationship quality as important, customer loyalty decreases, the number of customers decreases, and the number of customers who switch to another coffee shop increases, which can lead to a threat to the coffee shop. Third, in the case of hypothesis H3,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atisfaction and trust between quality perception and reuse intention of coffee specialty stores, so hypothesis H3 was partially supported. As commitment appears to have no mediating effect, it can be said that customers who use coffee shops are not only difficult to maintain as regular customers of a particular coffee shop, but also have ample room to move to other coffee shops. Conclusions: Although many scholars point out the importance of service quality, few studies were conducted in the context of the Korean food service industry (including coffee shops).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tested several hypotheses that the quality (product, service, experience) perceived by customers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relationship quality and performance (re-visit intention),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if the manager of a coffee shop understands the characteristics of quality perceived by customers and the role of relationship quality, the effect of quality perceptions on customers can be maximized in order to maintain the relationship with customers.

O4O 선택속성이 고객만족도 및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 허마셴셩 사례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O4O Selection Attribute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Focusing on the Case of Fresh Hema in China)

  • 최성국;양성병
    • 지식경영연구
    • /
    • 제21권3호
    • /
    • pp.249-269
    • /
    • 2020
  • 최근 온라인 시장이 성숙해지면서, 추가 성장을 가로막는 많은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는데, 이 중 가장 대표적인 문제는 온라인 상품의 동질화로 인한 고객수의 정체를 꼽을 수 있다. 최근 몇 년 사이 온라인 시장의 비중은 많이 증가하였지만, 이제 오프라인으로 영역을 확장하지 않고서는 더 이상의 발전을 기대하기 힘든 상황에 이른 것이다. 이에, 국내외 많은 온라인 기업들은 온라인 채널의 장점에 더해 온라인 플랫폼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오프라인 공간을 함께 확보함으로써, 사업영역 및 마케팅 채널을 확대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정보기술(빅데이터, 인공지능 등)을 활용한 대량의 고객 데이터 분석이라는 그들의 경쟁우위를 바탕으로, O4O(Online for Offline) 비즈니스 모델을 구현함으로써, 오프라인으로의 영향력을 꾸준히 강화해나가고 있는 것이다. 한편, 기존의 관련 연구들은 대부분 O2O(Online to Offline) 비즈니스 모델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최근 몇 년 동안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발히 시도되고 있는 O4O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학문적 시도는 아직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그나마 존재하는 몇몇의 O4O 관련 연구들도 사례분석 및 체험마케팅 기반의 연구에 그치고 있어, O4O 기반 선택속성들과 이들이 고객만족도 및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연구가 시급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대표적인 O4O 비즈니스 모델인 허마셴셩(盒馬鮮生)을 중심으로, 고객의 관점에서 O4O 서비스에 특화된 주요 선택속성을 도출한 후, 이러한 선택속성들이 고객만족도 및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해 보고자 한다. 300명의 O4O(허마셴셩) 이용 경험이 있는 고객을 대상으로 한 설문 표본을 구조방정식모델을 활용해 분석한 결과, 총 7개의 O4O 선택속성 가운데 4개(모바일앱품질, 모바일결제, 상품품질 및 매장시설)가 고객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객만족도는 다시 고객충성도(재이용의도, 추천의도 및 브랜드애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O4O 서비스 분야의 관리자가 빠르게 변화하는 고객요구에 잘 적응하고, 나아가 어떤 선택속성에 더 많은 자원을 할당함으로써 고객만족도 및 고객충성도를 제고할 수 있는지를 알려주는 중요한 가이드라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전시장 참관객의 계획되지 않은 방문행동에 있어서 부스추천시스템의 영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Booth Recommendation System on Exhibition Visitors Unplanned Visit Behavior)

  • 정남호;김재경
    • 지능정보연구
    • /
    • 제17권4호
    • /
    • pp.175-191
    • /
    • 2011
  • 국가신성장동력으로MICE(Meeting, Incentive travel, Convention, Exhibition) 산업이각광받으면서국내전시산업에 대한 관심이 드높아 지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전시산업(domestic exhibition industry)도 미국이나 유럽과 같이 전시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그 중에서도 전시환경이나 전시기법 등에 따라 관람효과가 다르기 때문에 지능형 정보기술을 이용하여 전시장에 방문한 참관객의 참관패턴을 분석하여 참관객을 이해하고 더 나아가 참여업체 간의 연관관계 도출 및 전시회의 성과를 높이고자 하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기존의 부스추천시스템과 관련된 연구를 살펴보면 시스템적인 관점에서 추천의 정확성만을 논하고 있을 뿐 추천을 통한 참관객의 행동이나 인식의 변화에 대해서는 충분히 논의하고 있지 못하다. 부스추천시스템(Booth Recommendation System)은 참관객의 부스방문 정보를 바탕으로 참관객에게 적절한 부스를 추천하기 때문에 참관객은 사전에 계획하지 않은 전시장을 방문하게 될 수 있다. 이 때 참관객은 계획하지 않은 방문행동을 통해서 만족할 수도 있지만 추천과 정이 번거롭다거나 자유롭게 참관을 하는데 방해가 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참관객의 자유로운 관람보다 오히려 더 좋지 않은 성과를 낼 수 있다. 따라서 부스 추천시스템을 전시장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시스템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무엇인지 전반적으로 검토하고, 부스추천시스템이 참관객의 계획되지 않은 방문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스추천시스템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이론과 기존문헌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참관객의 지각된 부스추천시스템의 성과가 참관객의 계획되지 않은 행동에 대한 만족도와 부스추천시스템의 재사용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론적 프레임워크로 본 연구는 계획되지 않은 행동이론(Unplanned Behavior Theory)을 도입하였다. 계획되지 않은 행동(unplanned behavior)이란 "소비자들이 사전에 계획하지 되지 않은 채 실행된 어떤 행동"으로 정의할 수 있다. 소비자들의 계획되지 않은 행동은 그 동안 마케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어 왔다. 특히, 마케팅에서는 계획되지 않은 행동 중 계획되지 않은 구매(unplanned purchasing)에 많은 관심을 두어 왔는데 이 개념은 종종 충동적 구매(impulsive purchasing)와 혼동되어 사용되곤 하였다. 그런데, 충동적 구매가 갑자기 무엇인가 구매를 해야하는 강하고 지속적인 충동(urge)이라고 본다면 계획되지 않은 구매는 구매의사결정의 시점이 상점에 들어가기 전이 아닌 상점 내에서 수행된다는 점이 다르다. 즉, 모든 충동적 구매는 비계획적이나, 모든 계획되지 않은 구매가 충동적인 구매는 아니다. 그런데, 왜 소비자들은 계획되지 않은 행동을 하는가? 이에 대해서는 학자들에 따라 여러 가지 의견이 있으나 소비자가 사전에 철저한 계획을 수립하지 않고 따라서 중간에 계획을 변화시킬만한 유연성(flexibility)이 있기 때문이라는 점에 일관된 의견을 보인다. 즉, 계획되지 않은 행동을 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면 소비자들은 사전에 수립한 계획을 변경하기 어렵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전시장 역시 참관객들은 방문하기 전에 전시장이 어떤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살펴보고, 어떤 부스를 방문할지를 사전에 계획하게 된다. 그 이유는 참관객들이 전시장 방문에 투입할 수 있는 시간은 한정되어 있는 반면에 전시회는 대규모의 다양한 부스로 운영되기 때문에 참관객들이 모든 부스를 참관한다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부스추천시스템이 참관객이 선호할 만한 부스를 추천하게 되면 참관객은 자신의 계획을 변화시켜서 부스추천시스템이 추천한 부스를 방문하게 된다. 이러한 방문행동은 소비자가 상점을 방문하거나, 관광객이 관광지에서 계획하지 않은 행동을 하는 것과 유사한 측면에서 이해가 가능하며 특히 최근 여행소비자들이 정보기기의 영향으로 계획되지 않은 행동을 하는 경우가 부쩍 증가한 추세와 동일한 맥락에서 이해가 가능하다. 이에 다음과 같은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이 연구모형은 참관객이 지각한 부스추천시스템의 성과(performance)를 매개변수로 하고 있는데 이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부스추천시스템에 대한 신뢰(trust), 전시장 참관객의 지식수준 (knowledge level), 부스 추천시스템의 기대된 개인화 (expected personalization) 그리고 부스추천시스템의 자유위협(threat to freedom)을 영향요인으로 파악하였다. 또한, 지각된 부스추천시스템 성과와 계획되지 않은 행동에 대한 참관객의 만족도와 향후 부스추천시스템의 재사용의도간의 인과관계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 때 부스추천시스템에대한신뢰는권한(competence), 자선(benevolence), 그리고진실(integrity)의2차요인(2nd order factor)으로구성하고, 나머지 요인들은 1차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2011 DMC Culture Open 행사에서 부스추천시스템을 테스트하기 위하여 시스템을 개발하고, 101명의 참관객을 대상으로 실증조사를 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부스추천시스템에 있어서 참관객의 신뢰가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실제 해당 부스추천시스템을 이용한 참관객들은 신뢰를 통해 부스추천시스템이 성과 있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참관객의 지식수준 역시 부스추천시스템의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는데 이는 추천의 성과가 전시장에 대한 사전적 이해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즉, 전시장에 대한 이해가 높은 참관객이 부스추천시스템의 유용성을 더 잘 파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대된 개인화 수준은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는데 이는 기존 연구와 다른 결과로 본 연구에 사용된 부스추천시스템이 충분히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넷째, 부스추천시스템의 추천정보는 개인의 자유를 위협하거나 제한한다고 느끼지 않음으로 충분히 유용한 가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끝으로 부스정보시스템의 높은 성과는 참관객들의 계획되지 않은 행동에 대한 높은 만족도와 향후에도 부스추천시스템을 재사용할 의도를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부스추천시스템이 야기하는 참관객의 계획되지 않은 부스방문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계획되지 않은 행동이론을 중심으로 실증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이를 통해 향후 부스추천시스템의 구축 및 설계에 유용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향후에는 보다 정교한 설문구성과 측정대상을 이용하여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