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one fruits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7초

Xanthomonas aboricola pv. pruni에 의한 자두 검은점무늬병의 발생과 핵과류 과수 품종에 대한 병원성 (Occurrence of Bacterial Black Spot on Plum by Xanthomonas aboricola pv. pruni and It's Pathogenicity on Varieties of Some Stone Fruits)

  • 류영현;이중환;권태영;김승한;김동근
    • 식물병연구
    • /
    • 제18권1호
    • /
    • pp.40-44
    • /
    • 2012
  • 자두 검은점무늬병에 걸린 식물체로부터 순수분리된 X. arboricola pv. pruni 균을 NA배지에서 배양한 후 국내재배 핵과류에 분무접종한 결과 자두, 매실, 살구에 있어서는 과실에 뚜렷한 병원성을 나타내었으나 복숭아 과실은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매실과 살구에서는 극심한 초기 과민성반응이 나타났는데 과실의 50% 정도가 생장 정지되어 낙과되는 현상을 보였으며 병반의 크기는 자두와는 달리 크게 진행되지 않고 많은 점무늬를 형성하는 병반형태를 나타내었고 복숭아에서는 과실병징이 나타나지 않았다. 접종된 여름철 신초가지에서 자두 포모사품종에서는 도관부까지 궤양조직이 형성되었으나 살구 그리고 매실에서는 체관부일부에서만 궤양조직이 형성되어 분리된 병원균은 자두 포모사품종에 특이적인 감염조직을 형성함을 알 수 있었다.

유기재배와 관행재배 된 배의 과실품질과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Fruit Quality and Antioxidant Compound of 'Niitaka' Pear Trees Grown in the Organically and Conventionally Managed Systems)

  • 최현석;이웅;김월수;이연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67-373
    • /
    • 2010
  • 본 연구는 유기재배와 관행재배 된 배 '신고' 과실특성과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유기농으로 재배된 과실은 진한 적색계열의 과피색을 보였고, 관행과 유기재배 된 과실의 무게, 당 및 산함량, 경도, 그리고 석세포 함량은 별다른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과실 중 K는 유기재배에서 높았고, 다른 무기성분인 P, Ca, 그리고 Mg는 비슷한 농도를 보였다. 유기농 과실은 관행에 비교해서 과피와 과육 그리고 과즙에서 페놀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과피는 과육보다 재배방법에 상관없이 항산화 물질에서 모두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DPPH 라디칼 제거능은 과피에서는 처리간에 별다른 영향이 없었고, 과육에서는 유기농 과실에서 관행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페놀함량과 플라보노이드 모두 DPPH 라디칼 제거능과 강한 유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배과육과 과피내 아질산염은 처리간에 비슷한 제거효과를 보였다.

핵과류 4종에 발생하는 노린재의 종류와 상대적인 풍부도 (Relative Abundance of Stink Bugs on Four Stone Fruits (Prunus spp.) in Korea)

  • 양창열;이선영;이성찬;서미혜;윤정범;최병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8권4호
    • /
    • pp.313-317
    • /
    • 2019
  • 우리나라에서 노린재류는 여러 과수에 피해를 주는 해충이다. 우리는 핵과류 4종(매실, 체리, 자두, 복숭아)의 과실에 발생하는 노린재의 종류와 상대적인 풍부도를 2017년부터 2019년까지 3년에 걸쳐 조사하였다. 핵과류 과수원에서 과실에 발생하는 노린재는 가시노린재, 알락수염노린재, 썩덩나무노린재, 갈색날개노린재 등 4종이었다. 조사기간 중에 4종의 상대적인 풍부도는 썩덩나무노린재(65%), 갈색날개노린재(26%), 가시노린재(7%), 알락수염노린재(2%) 순이었다. 썩덩나무노린재는 매실, 체리, 복숭아에서 우점종이었던 반면, 자두에서는 갈색날개노린재가 가장 많이 발견되었다. 핵과류 과실에 발생하는 노린재는 성충이 81%이었고 약충이 19%이었다. 한편 핵과류 과종별 노린재의 발생은 생육초기보다는 생육후기에 더 많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핵과류 과수원에서는 수확기에 썩덩나무노린재와 갈색날개노린재의 관리방안에 대한 전략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Detection of Viruses Infecting Stone Fruits in Western Mediterranean Region of Turkey

  • Yardimci, Bayram Cevik Nejla;Culal-Klllc, Handa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7권1호
    • /
    • pp.44-52
    • /
    • 2011
  •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in 45 stone fruit orchards in seven districts of Isparta Province located in western Mediterranean region of Turkey important for stone fruit production. Leaf samples were collected from 175 trees showing virus-like symptoms. These samples were first tested by ELISA for five different RNA viruses including Apple mosaic ilarvirus (ApMV), Prunus necrotic ringspot ilarvirus (PNRSV), Prune dwarf ilarvirus (PDV), Plum pox potyvirus (PPV), Apple chlorotic leafspot trichovirus (ACLSV). While no ApMV and PPV infection was found, 46, 24 and 16 samples were tested positive for PDV, ACLSV and PNRSV, respectively, in ELISA showing about 45% of symptomatic trees in the region were infected with at least one of these virus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nine sweet cherry trees were mixed infected with two or three of these viruses and PDV with an infection rate of 26.3% was the most widespread virus in symptomatic trees in western Mediterranean region. Thirty samples were selected and tested by a multiplex RT-PCR (mRT-PCR) for simultaneous detection of these viruses. While PPV was not detected, more than half of the tested 20 samples were individually or mixed infected with ApMV, ACLSV, PNRSV and PDV. The mRT-PCR results were confirmed by detection of these viruses individually in some of the field samples using RT-PCR with primes specific to each virus. Comparison of ELSA and mRT-PCR results of 30 samples showed that numbers of infected and mixed infected samples as well as infection and mixed infection rat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RT-PCR (20 and 66.7%) than in ELISA (14 and 46.7%). The results confirm that mRT-PCR is more sensitive than ELISA.

녹색 이구아나의 방광결석증 (A case report : Iguana iguana with cystic calculus)

  • 장인호;안미영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472-475
    • /
    • 1998
  • A female Green iguana (Iguana iguana) was brought to the small animal clinic in Hannover Veterinary school because of anorexia and convulsion. Two months ago, the owner bought two iguanas, one female and one male and had to take a female to the one of local small animal clinic because she, born in 19931 didn't eat well and showed the tremor of the legs. The veterinarian suspected it to have a calcium deficiency and gave an injection of calcium and vitamin D3. But still during the last two months, the female iguana did only eat some lettuce while the other male ate lettuce, fruits and commercial cat-food ($Whiskas^{\circledR}$, Effem, Verden). It was not possible to evaluate the rations of these different "food-components". They are kept in the terrarium with water container. By palpation of the abdomen, hard thing like stone was palpated in the mid-region. The blood test wasn't carried out because of the difficulties of getting blood and because of her bad condition. It was firmly diagnosed as cystic calculus through radiography. Since the animal is in shock state already, the prognosis after surgery was bad. It was assumed to be too late to expect its surviving with the surgery carried out or without it. Cystotomy was performed in the cranial ventral paramedian incision in order to preserve the large ventral abdominal vein in the linen alba region. After two stay sutures ("holding suture" ) with 5-0 polyglactin 910 ($Vicryl^{\circledR}, Ethicon$) on the bladder, cystotomy was carried out and the stone inside was removed. Then, the bladder was closed in one-layer sutures. The abdomen was closed in simple interrupted suture with same material after the instillation of 10 ml saline solution into the abdominal cavity. The cystic calculus was in a size of $5.8{\times} 5.O{\times} 3.5 cm$. The analysis of the stone was carried out in two ways which are the infrared spectroscopy of the stone and quick analysis by $Merckognost^{\circledR}$(Diagnostica Merck, Merck). In the result of the infrared spectroscopy, the stone wee composed of 10% ammonium urate and 90% dihydrated uric acid. This iguana wasn't able to survive.n't able to survive.

  • PDF

매실의 성숙중 경도, 무기성분 및 펙틴질의 변화 (Changes in Firmness, Mineral Composition and Pectic Substances of Mume(Prunus mume Sieb. et Zucc) Fruits during Maturation)

  • 차환수;박용곤;박정선;박미원;조재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488-494
    • /
    • 1999
  • 매실의 성숙중 경도, 무기성분 및 펙틴질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과실중량은 성숙과 더불어 증가되어 개화 후 92일이 경과한 과실의 평균 중량은 64일 것에 비하여 212∼232% 정도로 증가되었다. 그리고 과실중핵 중량 비율은 감소한 반면, 횡경은 성숙과 함께 증가하였다. 과실의 경도는 '소매'의 경우 개화 78일 이후 급격히 감소한 반면 나머지 3가지 품종(남고, 백가하, 앵숙)은 유사한 경도의 감소를 보였다. 무기성분은 K이 전체의 85%를 차지하고 있으며, 과육의 비대와 함께 Ca와 Mg함량이 상대적으로 감소하였다. 매실의 총펙틴 함량은 개화 후 71일까지 증가하다가 성숙이 진행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과실의 연화와 함께 수용성펙틴 함량은 증가하고 염산 가용성펙틴은 감소하였다. 총펙틴에 대한 가용성펙틴의 구성비는 염산 가용성펙틴이 66∼76%로 가장 높았고, 수용성펙틴 8.4∼19.7%, 염가용성펙틴 5.4∼7.5%, 알칼리 가용성펙틴 7.1∼8.3%등이었다.

  • PDF

감과실(果實)의 탄닌물질(物質)의 생성(生成) 및 탈삽기구(脫澁機構)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2보 : 탄닌 세포(細胞)의 현미경적 관찰- (Studies on the Mechanism of Nonastringency and Production of Tannin in Persimmon Fruits -II. Microscopic Observation of Tannin Cells in Persimmon Fruits during Growth-)

  • 손태화;성종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61-266
    • /
    • 1981
  • 감과실(果實)(Diospyros kaki L.)의 탈삽기구(脫澁機構) 및 탄닌 물질(物質)의 생성(生成)에 대한 조사(調査)의 일환(一環)으로 단감인 부유(富有)와 떫은감인 청도반시(淸道盤?), 대구반시(大邱盤?), 상주반시(尙州盤?) 등(等) 4품종(品種)을 사용하여 성장(成長)중(中)의 탄닌 세포(細胞)를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개화전(開花前)부터 탄닌 세포(細胞)는 자방내(子房內)에 널리 존재(存在)하였으나, 배주(胚珠)의 초기조직(初期組織) 내부(內部)에는 탄닌 세포(細胞)가 존재하지 않았다. 2. 자방(子房), 꽃받침, 과실(果實) 등(等)의 표피세포(表皮細胞)는 모두 탄닌 세포(細胞)로 이루어졌다. 3. 탄닌 세포(細胞)의 배열(配列)은 꼭지 부위(部位)에서 정부(頂部)쪽을 향한 방사형(放射型)이었다. 4. 떫은감의 표피내부(表皮內部)는 석세포(石細胞)인 반면, 단감에서는 적은 일반세포(一般細胞)로 이루어져 있었다. 5. 탄닌 세포(細胞)는 몇 개씩 모여서 하나의 군(群)을 이루었다. 6. 단감의 탄닌 세포(細胞)는 구형(球型)인 반면 떫은감의 탄닌 세포(細胞)는 타원형에 가까왔다. 7. 탄닌 세포(細胞)의 분포는 단감, 떫은감 모두 유사(類似)하였으나 밀도(密度)는 떫은감이 높았으며 크기도 컸다. 8. 성숙(成熟)한 단감의 탄닌 세포(細胞)는 응고(凝固)되어 있었고 일부(一部)는 파열(破裂)되어 있었다. 9. 떫은감의 탄닌은 세포(細胞)는 성숙시(成熟時) 세포벽(細胞壁)에 많은 돌기(突起)가 생성되어 있었다.

  • PDF

'한아름'의 Gibberellin 처리에 따른 생육기별 해부학적 구조와 과실품질 (Anatomical Structure and Fruit Quality According to the Fruit Developmental Stage as Affected by Gibberellins Treatments in Pyrus pyrifolia Nakai cv. Hanareum)

  • 박지은;권용희;이별하나;박요섭;정명희;최진호;박희승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1호
    • /
    • pp.33-40
    • /
    • 2014
  • 본 연구는 조생종 '한아름'의 기본적인 해부학적 과실 구조 및 과실 품질과 GA 처리 시의 변화를 구명하여 '한아름'의 생리적 특징을 이해하고자 수행하였다. '한아름'의 생육기별 과실 발달을 조사한 결과 만개기의 과실 구조는 바깥쪽으로부터 외표피층, 아표피층, 유조직층, 내표피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5종류의 유관속 조직이 관찰되었다. 코르크층은 무처리구에서는 만개 후 70일, GA 처리구에서는 만개 후 60일경에 형성되었다. '한아름' 품종의 세포분열 기간은 만개 후 40일까지이며 이후에는 세포비대에 의해 과실이 발달하였다. GA 처리에 따른 과실 비대와 조직 발달을 관찰한 결과, GA 처리는 '한아름'의 세포분열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며 세포비대를 촉진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과경부는 세포분열 정지기인 만개 후 40일부터 처리구의 유관속 조직이 무처리구에 비하여 큰 것으로 관찰되어 '한아름' 과실은 GA를 처리할 시 유관속 조직의 발달을 촉진하여 상대적으로 과실로의 양분 공급이 증가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한편 수확기에 무처리구와 처리구의 평균적인 품질을 비교한 결과, 처리구에서 과중이 높았으나 경도는 낮게 조사되어 '한아름' 과실에 GA를 처리할 경우 수확 후 과실의 저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었다.

충남도내 유통 과일류의 잔류농약 안전성 조사 (A Safety Survey of Pesticide Residues in Fruit Products Circulated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Korea)

  • 이강범;김남우;송낙수;이중호;정상미;신명희;최선실;김지희;성시열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21-430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2018년 충남에서 유통되는 과일류에 대한 잔류농약 실태를 조사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유통 과일류 150건을 실험대상으로 식품공전 다종농약다성분 분석법(제2법)으로 분석이 가능한 195종의 잔류농약을 실험하였다. 150건의 과일 시료 중 63건에서 40종의 잔류농약이 검출되었으며, 검출률은 42.0%였다. 각 과일의 잔류농약 검출률은 감귤류(55.2%), 인과류(41.3%), 장과류(38.7%), 핵과류(36.0%) 순이였으며 표본이 작지만 열대과일에서는 잔류농약이 검출되지 않았다. 검출빈도가 높은 과일은 사과 21회, 감귤이 16회로 다른 과일에 비해 높은 검출빈도를 보였으며, 검출빈도가 가장 높은 농약은 bifenthrin(21회), pyraclostrobin(17회), novaluron(13회)로 나타났다. 잔류농약이 검출된 시료 중 74.6%의 시료에서 2종 이상의 동시에 검출되었다. 잔류농약이 검출된 63건의 과일 모두 잔류허용기준 이하로 안전한 수준으로 평가되었으나, 잔류농약 검출률이 높고, 농약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있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월동 복숭아 미이라 과일과 과병으로부터 분리한 Monilinia fructicola의 Benzimidazole과 Dicarboximide계 살균제에 대한 저항성 밀도 (Incidence of Benzimidazole- and Dicarboximide Resistant Isolates of Monilinia fructicola from Overwintering Mummies and Peduncles on Peach trees)

  • 임태헌;장태현;차병진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67-370
    • /
    • 1998
  • Monilina fructicola, the brown rot fungus of stone fruits, was isolated from overwintering mummies and peduncles on peach trees from February to March, 1998. The resistant population of these isolates to benzimidazole (benomyl, carbendazim and thiophanate-methyl) and dicarboximide (iprodione, vinclozolin and procymidone) was examined. Among 417 isolates, the incidence of isolates resistant to benomyl, carbendazim, and thiophanate-methyl were 45 (10.8%), 47 (11.3%), and 46 (11.0%), respectively. Forty two (10.0%) isolates showed cross-resistance to benzimidazole fungicides. On the other hand, the resistant isolates against iprodione, vinclozolin and procymidone were 186 (44.6%), 1 (0.2%) and 150 (36.0%), respectively. Among the isolates, 116 (27.8%) showed cross-resistance to iprodione and procymidone. Moreover, 27 (6.5%) of 417 isolates showed double-resistance to both benzimidazole (benomyl) and dicarboximide (iprodion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