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one Rods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1초

티타늄 금속봉으로 보강된 화강암의 휨거동 (Flexural Behavior of Granite Reinforced with Titanium Metal Rods)

  • 하태욱;홍성걸;임우영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구조계
    • /
    • 제35권4호
    • /
    • pp.147-155
    • /
    • 2019
  • In this study, flexural tests of granite reinforced with titanium metal rods were carried out to repair and restore the damaged stone-made cultural heritage, the Stone Pagoda of the Mireuksa Temple Site. A total of twelve specimens were tested. The primary test parameters are the reinforcement ratio and the location of the reinforcement. For restoration, epoxy resin was used for joining the separated stones, and titanium metal rods were used for structural reinforcement.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flexural failure took place in specimens with a reinforcement ratio of 0.8% or less, and shear failure occurred when the reinforcement ratio was 1.68% or more. The peak load of the reinforced stone was found to be highly related to the reinforcement ratio. The peak load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reinforcement ratio. Also, the flexural behaviors of the reinforced stones were affected by the location of the reinforcement. Based on the test results, this study recommends the reinforcement ratio of the reinforced granite to induce ductile behavior.

감은사지 태극 장대석의 수리천문학적 의미(感恩寺址 太極 長臺石의 數理天文學的 意味) (Mathematical and Astronomical Implication of Taegeuk Stone Rods of Kameun Temple Site)

  • 백인수;김태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460-466
    • /
    • 2011
  • 감은사는 첨성대가 건축되고 46년 후 서력 682년에 세워진 신라시대 사찰로 현재는 금당터와 석탑 및 각종 석조 유물로 전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1959년 1차 발굴 때 감은사지 금당터의 동편에서 발견된 동편 태극 장대석과 2차 발굴 때 감은사지 남편 연못에서 발견되어 1993년 인위적으로 서편에 배치된 서편 태극 장대석에 대한 과학적 의미를 파악하기 위하여 유물에 각인된 도형의 기하학적 분석을 한다. 그리하여 감은사지 태극 장대석이 의미하는 수학적, 천문학적인 도형의 현대적 해석을 통하여 당시의 과학 수준을 가늠할 중요한 척도를 얻게 되었다. 또한 동편 및 서편 태극 장대석이 나타내는 이등변삼각형들의 배치가 각각 해와 달과 관련된 책력과 연관함을 추론하게 된다. 이러한 엄밀한 수학적 개념 조사를 통하여 역사적 사실이 빈약한 오래된 역사적 구조물을 이해하고 고증하는데 새로운 연구 방향을 제시해준다.

석조문화재 복원을 위한 금속보강재 매입방법 표준화 연구 (A Study on the Guidelines on the Insertion of Metal Stiffeners in the Restoration of Stone Cultural Heritages)

  • 이동식;김현용;김사덕;홍성걸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6권3호
    • /
    • pp.212-228
    • /
    • 2013
  • 파손된 석조문화재를 재사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금속보강재를 사용하게 되는데 현재까지 보강재에 대한 보존처리 지침 없이 처리자의 경험에 의해서 이루어지다 보니 여러 가지 문제점이 도출되고 있다. 따라서 2차적인 원부재의 훼손을 최소화하기 위한 금속봉의 구조적 보강방법과 거동 특성 등을 제안된 실험체를 통해 검증 받아 금속보강재 매입방법에 관한 설계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절단면에 에폭시수지 접합만 할 경우 원 모재 물성의 70% 정도밖에 회복되지 않아 30%에 대한 금속보강재의 구조적 보강이 필요하다. 금속봉은 석재 취성파괴 후 구조적 거동을 받는데 금속보강재비가 0.251% 이하로 설계되면 구조적 거동은 발생하지 않으며, 0.5% 이상이면 구조적 보강은 이루어지나 모재의 2차 훼손을 유발시킨다. 따라서 $1,500kgf/cm^2$ 강도를 갖는 석재의 적정 금속보강재비는 접착단면적의 0.283~0.377% 정도로 설계되어야 가역성 있는 파손과 보강재의 연성거동이 이루어진다. 또한 휨 하중에 대응되는 금속봉의 최대 응력을 기대하기 위해서는 보강재 간격을 멀리하는 것보다 가깝게 유지하는 것이 효율적이며, 특히 상부에 보강재를 매입하는 것은 구조적으로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하고 오히려 원부재의 손상만 유발한다. 따라서 보강재는 하부에 집중배치하고 일부 중앙부에 매입하여야 안정적인 인장재 역할을 하면서 하중응력을 받는다. 금속봉의 분산효과는 보강봉의 면적에 영향을 받을 뿐 지름과는 무관하였다. 하지만 큰 규모를 대상으로 할 때는 접착 단면을 고려하여 보강재 개수를 늘려주는 것이 하중응력에 안정적이다. 이때 적용되는 정착길이는 보강재의 직경에 따라 다음과 같은 식($l_d=a_tf_y/u{\Sigma}_0$)에 의거하여 설계한다. 또한 구조재로서 거동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마디가 있는 전산형 보강봉을 사용하여야 한다.

치과 도재용 합금과 도재간의 결합력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Bond Strength Between Dental Ceramic Alloys and Porcelain)

  • 윤일중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9-37
    • /
    • 1981
  • The bond strengths with ceramco porcelain were compared between precious alloy S, and non-precious alloys V.U. and R. And the changes in bond strengths of non-precious alloys with ceramco porcelain, according to surface preparations by sand blasting, longitudinal grinding, transverse grinding, and high polishing, were studied. The test specimens were prepared by firing porcelain doughnuts on the surface prepared alloy rods, and investing in dental stone. The specimens were subjected to shear loading forces.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investigation are as follows: 1. The bond strengths with ceramco porcelain were higher in the non-precious alloys U and R, than in the precious alloy S. 2. The bond strengths were in descending order for R alloy, U alloy, V alloy, and S alloy. 3. The bond strengths were highest when the R alloy and U alloy were surface prepared by sand blasting. 4. All bond strength values were lowest when the alloy surfaces were prepared by high polishing.

  • PDF

석조문화재 표면 수용성 염과 서식세균의 상관관계 연구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acteria and Soluble Salts on Surface Layer of Stone Monument)

  • 윤윤경;도진영;김태형;성현정;최지숙
    • 보존과학회지
    • /
    • 제21권
    • /
    • pp.59-72
    • /
    • 2007
  • 석조문화재의 손상된 표면층에 형성된 수용성 염과 세균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몇 기의 석조문화재 표면의 훼손된 층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수용성 염을 분석하였고, 검출된 수용성 염($Na_2SO_4$, $CaSO_4$ $2H_2O$, NaCl)을 배지에 첨가하여 시료로부터 미생물을 분리하였다. 예비실험을 통하여 분리된 100여종의 세균중에서 15종만을 선별하여 특성을 파악하였는데, 15종모두 그람양성균이었으며 한 종을 제외하고는 간균이었다. 이들은 배지에 첨가된 11가지 수용성 염 중 염이 첨가되지 않은 배지뿐만 아니라 $CaCO_3$, $CaSO_4$ $2H_2O$, $Ca(OH)_2$가 첨가된 배지에서 모두 생장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균 B16, B56, B61은 칼슘이 첨가된 배지에서 점액을 생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에 사용된 수용성 염 중에서 $CaCl_2$ $2H_2O$는 가장 높은 흡습성을 나타내었으나, 세균의 생장에 도움을 주는 것 같지 않았으며, 암모늄 이온이 첨가된 배지에서도 대부분의 세균의 생장이 저해를 받았다.

  • PDF

자하 하디드의 기하학적 형태를 활용한 3D 프린팅 패션디자인 연구 (A Study on 3D Printing Fashion Design using Geometric Shapes of Zaha Hadid)

  • 안효선;김지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55-167
    • /
    • 2021
  • The latest innovation in the field of fashion comes in the form of 3D-printed clothing. This study explores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shapes in the architecture of Zaha Hadid, a representative architectural designer who expresses space in three dimensions. Hadid applies his aesthetic to fashion design using these distinctive geometric shapes to create design motifs as well as develop new clothing material with 3D printing technology. The research was conducted as follows. First, the lines and arrangement of the geometric shapes in Zaha Hadid's architecture were analyzed so that his design principles could be used as a theoretical basis for this study. The study also reviewed geometric fashion designs using 3D printing technology over the last ten years. Second, we developed triangular modules with rods and tongs that could be fashioned into clothing using fused deposition modeling (FDM) 3D printers. Lastly, the 3D printing fashion design was developed to explore new silhouettes, textures, and a novel way of producing clothing. This study hopes to serve as a stepping-stone for further research on innovations that combine fashion with techn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