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imulus to accommodation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32초

양안시기능 검사 값의 오차와 그래프 양식 (The Error and the Graphical Presentation form of the Binocular Vision Findings)

  • 윤석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9-48
    • /
    • 2007
  • 엄밀한 조절자극과 폭주자극 값 그리고 프리즘 디옵터는 어떻게 정의되어야 하는지를 고찰하여 정리 하였다. 양안시기능 검사와 분석의 실무에서 조절자극과 폭주자극 값은 어떻게 처리되는지를 고찰하여 정리 했다. 그 결과 실무에서의 처리과정은 근거리를 렌즈면으로부터 40 cm로 하는 경우 평균 P.D가 64 mm일 때 안구의 회선점에서 시험렌즈까지 거리 $l_c$이 26.67 mm인 경우에 가장 적합하였다. 본 논문에서 이 값들을 사용하여 필요한 값들을 계산하였다. 그리고 실무에서 사용되는 (5)식의 조절자극 값이 지니는 오차를 눈의 물측 주점에서 시험렌즈까지 거리 $l_H$를 15.07 mm로 하여 계산했다. 굴절력이 $P_m$인 프리즘 가입에 의한 폭주자극 값의 변화량 P'을 순환 계산법으로 계산하였다. P'는 $P_m$, 회선점에서 프리즘까지의 거리 $p_c$, 프리즘을 가입하기 전의 폭주 값 $C_o$와 프리즘 재질의 굴절률 n에 따라 변한다. 그리고 순환 계산법과 필요한 수식들을 자세히 제시했다. P'를 증대시키는 요인에는 두 가지가 있다. 그 첫 번째는 주된 것으로서 폭주 값이 보통의 덧셈법에 따라 더해지지 않는 성질이다. 다른 하나는 영향력이 작은 것으로서 프리즘의 실제 굴절력이 빛의 입사각에 따라 다르게 되는 이유이다. 그리고 $p_c$$C_o$가 커짐에 따라 P'은 괄목할 만큼 작아진다. $P_m=20{\Delta}$, P.D=64 mm 그리고 n=1.7인 경우에 대해 $p_c$$C_o$값들에 따르는 $P^{\prime}/P_m$을 계산하여 그래프로 나타냈다. $P^{\prime}/P_m$의 굴절률 n에 대한 의존성은 무시 할만 큼 아주 작다(Fig. 6 참조). 가입 프리즘의 굴절력과 폭주자극 값의 변화량이 같게 되는 프리즘의 위치 값 $p_c$를 구했다(Table 1). 실무에서 약식으로 처리되는 조절자극과 폭주자극 값의 참 값을 구하였다. 이를 토대로 약식으로 처리된 조절자극과 폭주자극 값이 참 값의 위치에 표시 되게 하는 두 가지의 그래프 양식을 제시하였다. 하나는 기존의 것과 같은 형태(Fig. 9)이고 다른 하나는 프리즘 가입에 의한 폭주자극 값의 변화량만을 나타내는 형식이다(Fig. 11).

  • PDF

인공수정체안의 조절반응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Accommodation for eyes with pseudo-crystalline lenses)

  • 이석주;성아영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03-209
    • /
    • 2004
  • 무수정체안에서의 생리적 조절력은 0.50D 정도 알려져 있고 위수정체안에서도 조절작용이 이루어진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정확한 조절작용은 규명되지 못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위수정체안에 대하여 10D의 조절자극을 가하였을 때 안축장과 각막굴절력의 변화들이 조절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백내장 수술을 하고 인공수정체를 삽입하여 2개월 이상 경과한 환자 중에서 합병증이 없는 환자 48명(96안)을 대상으로 안축장의 길이와 각막굴절력을 조사하였다. 조절자극에 대한 안축장의 길이의 변화는 $0.05{\pm}0.06mm$ 증가하였고 각막굴절력의 변화는 $0.04{\pm}0.24D$의 증가를 나타냈다. 조절자극에 따른 안축장의 길이의 변화는 근시의 경우 $0.19{\pm}0.18D$, 정시의 경우 $0.21{\pm}0.16D$, 원시의 경우 $0.10{\pm}0.19D$ 증가되었다. 조절자극에 따른 각막굴절력의 변화는 근시의 경우 $0.03{\pm}0.13D$, 정시의 경우 $0.21{\pm}130$ 증가를, 원시에서는 $-0.02{\pm}0.34D$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 PDF

스마트폰의 사용으로 인한 조절 변화에 따른 안정피로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bility Fatigue according to the Accommodation Change due to the Use of Smartphone)

  • 김봉환;한선희;박선미;배상빈;우용준;송경준;방은민;서다은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362-1368
    • /
    • 2020
  • Purpose. In this study, The change of the accommodation function due to the use of a smartphone was objectively evaluated using an Auto Refractokeratometer and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ccommodation response and microfluctuations of accommodation on stable fatigue. Methods. Twenty subjects (20 males, 20 females) who had no abnormalities in ophthalmic disease and strabismus, diplopia, suppression, convergence and ocular movement, and corrected visual acuity and unaided visual acuity of 0.8 or more were performed. The average age of the participants is (21.78 ± 1.78) years old. The refractive power of the eye was measured using an Auto Refractokeratometer (Speedy-i K-model, Righton Mfg Co. Tokyo Japan), and the equivalent spherical power was automatically calculated from the measured refractive power. The accommodation response amount was calculated for the accommodation stimulation amount in 8 steps in 0.5D increments from + 0.50D to -3.00D in the calculated equivalent spherical power. The microfluctuations of accommodation in the high frequency region wa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amount of the accommodation stimulus. At this time, the spectral power of the microfluctuations of accommodation was analyzed by Fast Fourier Transformation (FFT). Results. After using the smartphone, it was found that the accommodation response to accommodation stimulation decreased and the microfluctuations of accommodation increased. Conclusions. It can be said that the use of a smartphone affects the accommodation response and the microfluctuations of accommodation, thereby causing a accommodative stable fatigue.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the use of a smartphone for a long time may bring about a change in the accommodation function.

양안식 디스플레이에 제시되는 자극의 조절단서 조작이 양안융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ccommodation Cue Manipulation at Stereoscopic Display on Binocular Fusion)

  • 박종진;김신우;이형철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7권4호
    • /
    • pp.569-580
    • /
    • 2022
  • 본 연구는 입체 영상을 시청할 때 시각적 불편감 중 하나로 언급되는 양안융합 실패를 인간의 삼차원 지각 시스템 관점에서 해결하기 위하여 주변 시야의 상 흐림이 양안융합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단속적 양안 시차 변화를 가지는 자극을 제시할 때 주변 시야의 상 흐림이 제시되는 경우 교차 및 비교차 시차를 가지는 표적자극에 대한 양안융합 실패율이 감소하였다. 또한 연속적 양안 시차 변화를 가지는 자극 역시 주변시야의 상 흐림이 제시되지 않을 때에 비하여 상 흐림이 제시되는 경우에 비교차시차를 가지는 표적자극 중 양안융합 실패를 유발하는 데에 상대적으로 더 큰 양안 시차가 요구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주변시야 상 흐림이 양안 시차 변화상황에서 양안융합을 촉진함을 의미하며, 인간의 3차원 시각 시스템의 특성을 고려하여 자극을 조작하는 것이 낮은 비용으로 양안식 디스플레이가 유발하는 시각적 불편감을 개선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안구의 굴절능 조절을 고려한 수정된 Navarro 정밀모형안의 시성능 분석 (Visual Performances of the Corrected Navarro Accommodation-Dependent Finite Model Eye)

  • 최가을;송석호;김상기
    • 한국광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337-344
    • /
    • 2007
  • 모형안은 안구의 굴절력 교정 수술이나 콘택트렌즈, 안경 등 시력 보정을 위한 기구를 설계하는 등, 다양한 목적아래서 안구의 시성능을 최적모델링 하기 위해 발전해 왔다. 특히, 안구의 가변적인 굴절능 조절 과정을 내포하는 모형안을 세우고, 환경변화에 따른 모형안의 광학 성능을 정확하게 모델링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사람 안구가 단계적으로 굴절능 조절을 행할 때 기존의 해부학적 광학형상 변화를 포함하고 안구의 파면수차와 조절반응을 고려한 모형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모형안은 조절자극의 세기에 따른 조절반응 부족량, 3차와 4차 수차, 변조전달함수, 시력 등이 제시되었으며, 그 모형안을 바탕으로 계산한 결과 값은 실제 안구에서 측정한 값들을 만족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모형안은 조절의 단계적 변화에 따른 안구의 광학적 성능과 변조저달 함수의 계산, 사람 눈의 시성능 변화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하는데 좋은 도구를 제공할 것이다.

조절자극 방식에 따른 원거리와 근거리 AC/A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Distance and Near AC/A Ratio by Stimulus)

  • 조태식;김인숙;장정운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17-423
    • /
    • 2011
  • 목적: 본 연구는 근거리 경사 AC/A 비가 원거리 외사위 교정에 적용될 수 있는지를 알아 보기 위하여 원거리 및 근거리 경사 AC/A 비의 차이를 비교하고 또한 계산 AC/A 비와 경사 AC/A 비의 관계에 대하여 연구 하였다. 방법: 타각적 및 자각적 굴절검사에 의한 완전교정 후 원거리 경사 AC/A 비 검사는 -1.00 D를 가입한 후 Howell 시표(3 m용)를 사용하였으며, 근거리 경사 AC/A 비 검사는 +1.00 D, -1.00 D, +2.00 D와 -2.00 D를 각각 가입한 후 Howell-Kim(40 cm 용) 시표를 사용하여 사위검사와 계산 AC/A 비를 측정하였다. 결과: 원거리 사위는 평균 외사위 1.17${\pm}$1.17 $\Delta$, 근거리 평균 외사위 3.71${\pm}$2.80 $\Delta$으로 나타나(t-test. p < 0.001), 원근거리 사위의 상관관계(r = 0.59, p < 0.001)는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경사 AC/A 비는 측정거리와 조절자극에 따라 다양하였고(r = 0.11~0.53. p < 0.001) 측정거리가 가까울수록 조절자극이 클수록 높았다. 또한 플러스 굴절력보다 마이너스 굴절력에 의한 조절자극이 높게 나타났다(t-test. p<0.001). 또한 계산 AC/A 비가 클수록 경사 AC/A 비는 오히려 낮아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원거리와 근거리에서 -1.00 D 부가한 경사 AC/A 비는 원거리가 1.30 $\Delta$/D 근거리가 1.68 $\Delta$/D로 근거리 AC/A 비가 유의적인 수준에서 약간 크게 나타났다(t-test. t=1.67, p<0.001).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계산 AC/A 비와 경사 AC/A 비의 음의 상관관계를 알 수 있었고, 근거리 경사 AC/A 비가 원거리 경사 AC/A 비보다 작지만 유의적 수준의 차이를 보여 원거리 외사위의 교정은 원거리 경사 AC/A비를 반드시 측정할 필요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Gradient AC/A비와 Calculated AC/A비의 비교에 의한 근접성 폭주비(PC/A)에 관한 연구 (Study on Proximal Convergence/Accommodation(PC/A) Ratio by Comparison of Gradient AC/A Ratio and Calculated AC/A Ratio)

  • 한경애;성아영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23-231
    • /
    • 2004
  • 기존에 이루어진 대부분의 AC/A비에 관한 연구들은 주로 Gradient AC/A비를 측정함으로써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는 Gradient AC/A비와 Calculated AC/A비를 함께 측정해 봄으로써 Gradient AC/A비 만을 측정했을 경우에는 나타나지 않는 근접성 폭주비 (Proximal Convergence/Accommodation)에 대한 고찰을 통해서 AC/A비의 임상 활용도를 높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124명의 검사대상은 최대시력을 단안 각각 1.0이상으로 원용교정을 하였으며 동적 검영법을 실시하여 조절기능의 이상 유무를 확인한 뒤 각각 Calculated AC/A비와 Gradient AC/A비를 측정하여 PC/A비를 구하였다. 연구결과 양안시 이상 그룹별 평균 Calculated AC/A비와 평균 Gradient AC/A비의 차이는 근접성 폭주 때문임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AC/A비의 임상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PC/A비를 포함한 근접성 (proximity)이라는 시기능변수 전반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Navarro 모형안에 기반을 둔 조절을 고려한 모형안의 설계 및 분석 (Analysis and Design of an Accommodation-Dependent Eye Model Based on Navarro Model)

  • 강은경;박성찬;김진주;황보창권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35-240
    • /
    • 2010
  • 목적: 본 연구에서는 조절작용에 있어 유일한 굴절기관인 수정체에 대한 최근의 측정결과들을 고려하여 조절이 포함된 모형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제안된 수정체는 2개의 비구면으로 구성되었으며, 2개의 면이 만나는 점들은 수직으로 이은 선을 직경이라 하고 광축과 만나는 점을 원점으로 전면부와 후면부로 나누었다. 조절이 진행되는 동안, 굴절률은 균질하고 변화가 없도록 간략화하였으며, 수정체 전면부의 부피와 후면부의 부피는 각각 변화가 없다고 가정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는 조절자극량이 커질수록 수정체의 직경이 감소하면서 전면과 후면의 곡률반경이 감소하고 두께는 증가한다. 각 조절단계에서의 곡률반경과 두께를 구할 수 있으며, 계산된 값들로 굴절력 변화를 구하여 조절반응량으로 나타낼 수 있다. 조절자극량에 따른 매개변수 변화량들은 실안의 측정결과와 유사한 움직임을 보였다. 결론: 이와 같은 결과들은 각 조절단계에서 수정체의 부피와 굴절률이 변하지 않는 가정 아래 동적 매개변수의 변화량을 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가입렌즈 도수와 프리즘 굴절력 변화에 따른 반응 AC/A비와 CA/C비 비교 (Comparison between Response AC/A and CA/C Ratio according to Additional Spherical Powers and Prism Powers)

  • 노병호;유동식;손정식;곽호원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41-347
    • /
    • 2015
  • 목적: 가입렌즈 도수 변화에 따른 반응 AC/A비와 프리즘 굴절력 변화에 따른 CA/C비를 측정하고, 이 두 변수와 PD 및 상대조절력과의 상관관계, 반응 AC/A비의 역수와 CA/C비 사이의 평균차이를 비교하여 임상에서 굴절력 및 프리즘 처방의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방법: 20대 대학생(평균 $22.62{\pm}2.84$세) 62명(남 50명, 여12명)을 대상으로 주시거리 40 cm에서 하웰시표(Howell card)와 개방형굴절력계(Nvision-K 5001, Shin nippon)를 이용하여 가입렌즈 도수 변화에 따른 반응 AC/A비를 측정하였고, CA/C비는 Wesson fixation card(WFC Bernell, USA) 이면의 DOG시표와 개방형굴절력계를 사용하여 프리즘 굴절력 변화에 따른 CA/C비를 측정하였다. 결과: 가입렌즈 도수 변화에 따른 조절반응량이 프리즘 굴절력 변화에 따른 조절반응량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동공간 거리와 반응 AC/A비의 설명변량 $R^2=0.025$으로 나타났으며, PD와 CA/C비는 설명변량 $R^2=0.009$으로 나타났다. 상대조절력과 반응 AC/A비의 설명변량 $R^2=0.064$으로 나타났으며 상대조절력과 CA/C비의 설명변량 $R^2=0.321$로 상대조절력과의 예측가능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응 AC/A비와 CA/C비의 설명변량 $R^2=0.126$으로 낮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0). 반응 AC/A비의 역수와 CA/C비 사이의 평균차이는 $0.12{\pm}0.06D/{\Delta}$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0). 결론: 상대조절력과 CA/C비의 상관관계는 상대조절력이 높은 사람일수록 폭주자극에 대한 폭주성 조절반응량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응 AC/A비의 역수와 CA/C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므로 독립적인 변수로 임상에서 낮은 AC/A비를 가진 환자라도 높은 CA/C비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양안시 이상에서 프리즘을 처방 할 경우 AC/A비가 정상범위라 하더라도 CA/C비는 다를 수 있어 반드시 조절반응량을 고려한 처방이 되어야 한다.

마르셀 반더스의 호텔 실내공간에 나타난 오브제의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Objets Appeared in Hotel Interior Space of Marcel Wanders)

  • 전민지;김정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131-142
    • /
    • 2016
  • Rapid economic development has played a big role in the formation of the values of pluralism. On that account, the importance of leisure life has grown substantially, Such phenomenon has allowed people to travel more frequently. Hence, there has been a growing demand for accommodation. In particular, the number of design hotels with a stylish design has grown exponentially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standardized chain hotels. As a result, a variety of objets have been utilized in hotel spaces for establishing a differentiated formativeness and offering a visual stimulus to users. An objet refers to an object of symbolic function. That is to say, it serves to increase cultural values by approaching arts in an ordinary environment. Distinctive objets are mainly expressed as new ideas by the emerging designers in Europe. In particular, Marcel Wanders designs hotel spaces on the basis of the emotional meaning and story of objets, thereby showing interesting elements. He brings human stories into a design by leveraging th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an objet, such as the place, fantasy and story-telling, in hotel interior spaces. This allows users, who reject the stereotypes of modern functionalism, to have exotic memories by stimulating their instinctive senses. Furthermore, this can complete users as a part of an artwork by creating a huge artwork on the basis of hotel interior spaces. In this regard, I hope that th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appeared in the hotel interior spaces of Marcel Wanders can be utilized as preliminary data for planning design hotels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