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rile medium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4초

Alternaria alternata에 의한 들깨 잎마름병 (Leaf Blight of Perilla Caused by Alternaria alternata)

  • 차외진;김철승;송주희;김현주;이영병;문병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708-714
    • /
    • 2002
  • 최근 들깨잎 주산지인 부산시 강동지역과 경남 밀양지역 하우스내의 들깨잎에 가장자리가 검게 변하고 마르는 증상을 띄는 병해가 발생되고, 심하면 잎 전체가 고사하는 병이 발생되었다. 이런 병반으로부터 병원성이 강하고 분생포자 형성이 많은 SD1 균주를 분리하여 병원균의 형태 및 배양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PDA 평판배지에서 $25^{\circ}C$, 암조건으로 배양할 경우 균사생장이 가장 왕성하였으며, 분생포자 형성량은 V8A 평판배지에서 가장 많았다. 또한 SD1 균주의 균사생장 적온은 $25^{\circ}C$, 분생포자 형성 적온은 3$0^{\circ}C$였으며, 분생포자 현탁액에 첨가한 영양원에 따른 분생포자 발아율과 발아관의 신장은 10% 토마토쥬스에서 가장 양호하였는데 24시간 후 발아율은 거의 100%였으며, 36시간 후 발아관 길이는 535.2$\mu\textrm{m}$로 PDB보다 1.4배정도 길었다. 또한 SD1 균주의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10% 토마토쥬스를 첨가한 분생포자 현탁액으로 접종할 경우 자연 발병된 병징과 동일하였으며 발병율도 100%로서 PDB 분생포자 현탁액에서는 60%, 살균수에서는 전혀 발병되지 않았다. 본 균주는 균총 형태와 색깔, 광학현미경을 이용한 형태적 특성과 몇 가지 배지 등을 이용한 배양적 특성 및 병원성 검정 결과에 따라 Alternaria alternata로 동정되었으며, 들깨 잎마름병으로 명명하였다.

질소고정균(Rhizobium)과 인산가용화균(Bacillus megaterium)의 동시배양을 위한 배양조건 탐색 (Effect of a Common Medium on the Growth of Nitrogen Fixer Rhizobium and Phosphate Solubilizer Bacillus megaterium)

  • ;;류정현;;정근욱;사동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8-14
    • /
    • 2005
  • 다양한 기능을 보유하고있는 농업용 유용미생물을 경제적으로 대량생산하기 위하여는 동시에 다양한 미생물이 상호간에 길항관계를 갖지않고 잘자랄수있는 배지의 선택이 필수적으로 요망된다. 본실험은 질소고정균 (Rhizobium)과 인산가용화균 (Phosphobacteria)을 yeast extract mannitol변형배지를 포함한 다양한배지에서 함께 배양시 각각의 성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접종시차를 규명하고 각 조건에서 생산된 미생물의 효능유지기간을 비교하였다. 인산가용화균과 질소고정균을 동시배양시 최대 수율을 얻기위한 조건은 인산가용화균을 먼저접종한 후 48시간후에 질소고정균을 접종한 후 60시간 배양하는것이었다. 이러한 조건으로 배양하였을 때 생산된 균의 효능유지기간은 각각의 균을 단독배양한것과 비교하여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이러한 조건에서 생산된 미생물의 개체수는 담체에 고정시킨후에도 60일까지 변화없이 유지되었다.

LABORATORY STUDIES ON MIC OF AISI TYPE 304 STAINLESS STEEL USING BACTERIA ISOLATED FROM A W ASTEWATER TREATMENT SYSTEM

  • Sreekumari, Kurissery R.;Kyozo, Hirotani;Katsuya, Akamatsu;Takashi, Imamichi;Yasushi, Kikuchi
    • 대한용접접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용접접합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Welding/Joining Conference-Korea
    • /
    • pp.260-265
    • /
    • 2002
  • Microbiologically influenced Corrosion (MIC) is one of the most deleterious effects of metal microbe interactions. When a fresh metal surface comes in contact with a non-sterile fluid, biofilm formation is ensued. This might result in the initiation of corrosion. The sites and materials where MIC is implicated are versatile. Industries such as shipping, power generation, chemical etc are reported to be affected. The rapid and unexpected failure of AISI type 304 stainless steel was investigated in the laboratory by simulation studies for a period of 4 months. Slime and water samples from the failure site were screened for corrosion causing bacteria. Both aerobic and anaerobic nora were enumerated and identified using PCR techniques. Pseudomonas sp. and Bacillus sp. were the most common aerobic bacteria isolated from the water and slime samples, whilst sulfate reducing bacteria (SRB) were the major anaerobic bacteria. The aerobic bacteria were used for the corrosion experiments in the laboratory. Coupon exposure studies were conducted using a very dilute (0.1%V/V) nutrient broth medium. The coupons after retrieval were observed under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for the presence of MIC pits. Compared to sterile controls, metal coupons exposed to Pseudomonas sp and Bacillus sp. showed the initiation of severe pitting corrosion. However, amongst these two strains, Psudomonas sp. caused pits in a very short span of 14 days. Towards the end of the experiment, severe pitting was observed in both the cases. The detailed observation of pits showed they vary both in number and shapes. Whilst the coupons exposed to Bacillus sp. showed widely spread scales like pits, those exposed to Pseudomonas sp. showed smaller and circular pits, which had grown in number and size by the end of the experiment. From these results it is inferred that the rapid and unexpected failure of 304 SS might be due to MIC. Pseudonwnas sp. could be considered as the major responsible bacteria that could initiate pits in the metallic structures. As the appearance of pits was different in both the tested strains, it was thought that the mechanisms of pit formation are different. Experiments on these lines are being continued.

  • PDF

세포질적 유전자적 웅성불임을 이용한 벼 일대잡종 육성연구 I. 세포질적 유전자적 웅성불임계통 이용과 일대잡종 육성 (Studies on Breeding of F$_1$ Hybrid Rice Using the Korean Cytoplasmic and Genetic Male Sterile Rice I. Breeding of Hybrid Rice Using the Cytoplasmic-Genetic Male Sterility)

  • 서학수;이창은;허문회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31-435
    • /
    • 1985
  • 우리나라 수도 품종을 배경으로 한 세포질적 유전적 웅성불임계통들에 우리나라 품종의 임성회복친을 교잡시킨 HR1619A/남풍벼, HR1619A/가야벼, HR1619A/계통234, 통일A/남풍벼, 통일A/청청벼, 수원296A/계통209, 수원296A/계통237, 수원296A/계통252 및 계통201A/계통234 등 9개 Hybrid를 육성하고 이들의 수량 및 수량 구성요소, 흰빛잎마름병 저항성 및 미질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공시된 9개 Hybrid들 중 계통201A/계통234, 통일A/남풍벼 및 HR 1619A/남풍벼 등 3개 Hybrid의 수량성이 높았는데 각각 우수친에 비해 36%, 17% 및 10%의 증수(Heterobeltiosis)를, 표준품종인 청청벼에 비해 각각 19%, 17% 및 14%의 증수(Standard Heterosis)를 보였다. 2. 공시된 Hybrid중 HR1619A/가야벼와 수원296A/계통237의 수량은 양친보다 낮았다. 3. 수량구성요소 중 수당입수의 잡종강세가 현저하였고 주당수수, 천립중 및 임실율의 잡종강세는 인정되지 않았다. 4. Hybrid의 흰빛잎마름병 저항성은 양친 중 강한친과 같은 반응을 보였다. 5. Hybrid들의 Amylose 함량은 20.8%∼24.7%였고 딘백질함량은 9.3%∼10.0%, 알칼리 붕괴도는 3.7∼7.0으로서 각각 양친품종과 비슷하였다.

  • PDF

양질 다수성 일대잡종 벼 육성 연구 II. 새로 육성된 Japonica형 웅성불임 및 임성회복계통의 조합능력과 일대잡종 벼의 잡종강세 정도 및 미질 (Breeding Hybrid Rice with Good Quality and High Yield II. Combining Ability of the Cytoplasmic-Genetic Male Sterile and Restorer Lines with Backgrounds of Japonica Rice, and Heterosis for Yield and Grain Quality of the Hybrid Rices)

  • 송유천;서학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418-424
    • /
    • 1993
  • 우리나라 japonica형 품종을 배경으로 육성된 12개 웅성불임계통과 12개 임성회복계통들의 수량에 대한 조합능력을 조ㆍ중ㆍ만생군별로 검토하고 이들간 일대잡종들의 잡종강세정도와 미질특성을 검정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공시된 웅성불임계통 중 오대벼 A, 화성벼A, 이리 386벼, 낙동벼 A, 팔굉 A와 임성회복계통중 오대벼 R, 호성벼 R, 이리 386 R, 팔굉 R, 화청벼 R 등의 수량에 대한 조합능력이 우수하였다. 2. 웅성불임계통과 임성회복계통간의 일대잡종에서 수량에 대한 heterobeltiosis는 조생군에서 -17%~15%, 중생군에서 -4~22%, 만생군에서 -46%~30%였다. 3. 일대잡종에서 수량에 대한 standard heterosis는 조생군에서 표준품종 화진벼에 대해 0~26%, 만생군에서 표준품종 화정벼에 대해 -38~26%였다. 4. 잡종강세정도가 정인 조합군에서는 수당영화수, 수수 등이 수량과 상관이 높았고, 부인 조합군에서는 임실율, 천입중 등이 수량과 상관이 높았다. 5. 공시된 일대잡종벼의 amylose 함량은 대부분조합에서 20% 미만이었고, 알칼리붕괴도, 심복백, 투명도, 장폭비 미질 관련 형질도 양호하였다.

  • PDF

Candida magnoliae에 의한 erythritol 생산을 위한 유가식 공정의 개발

  • 박창열;서진호;유연우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53-56
    • /
    • 2000
  • 효모를 이용하여 높은 생산성으로 고농도의 erythritol을 생산하기 위하여 ‘세포 성장단계’와 ‘erythritol 생성단계’로 나누어 2 단계 유가식 배양을 수행하였다. 세포 성장 단계에서는 pH-stat 유가식 배양을 수행하여 3.62 g/L-H의 생산성으로 76 g/L의 균체 농도를 얻을 수 있었다. pH-stat 유가식 배양을 수행하여 고농도의 균체 농도를 얻은 후에 멸균되지 않은 분말형태의 glucose를 발효조에 400 g/L가 되도록 공급하여 세포에 osmotic stress를 가해준 결과 41%의 수율로 187 g/L의 erythritol을 생산할 수 있었으며, 이때의 생산성은 2.79 g/L-h로서 기존에 보고된 어느 결과보다도 높은 값을 얻을 수 있었다. Production phase에서 erythritol 생산에 대한 삼투압의 영향을 알아 본 결과 glucose의 농도가 증가할 수록 생성되는 erythritol 농도가 증가하였으며 세포 농도에 따른 erythritol 생산 수율은 큰 차이는 없었으나 세포 농도가 증가할수록 이에 비례하여 erythritol 생산성이 크게 증가하였다. Erythritol 생산에서 용존 산소량에 관계없이 butyric acid가 생성되었으며 40%의 DO 미만에서는 citric acid가 생성되고, 40% 이상의 DO에서는 gluconic acid가 생성되어 용존 산소량에 의하여 metabolic shift가 유도되었다. 고 농도의 glucose 첨가 후 용존 산소량을 20%로 조절하면서 pH를 3.0으로 낮춘 결과 citrate synthetase의 활성이 억제되어 citric acid가 생성되지 않았으며 gluconic acid 농도는 $KH_2PO_4$에 의하여 증가하고 $MgSO_4{\cdot}7H_2O$ 또는 $(NH_4)_2SO_4$에 의하여 감소되었다. Butyric acid 농도는 $KH_2PO_4$ 또는 $(NH_4)_2SO_4$에 의하여 감소되었으며 synergic effect에 의하여 억제되었다

  • PDF

Oligotrophic Media Compared with a Tryptic Soy Agar or Broth for the Recovery of Burkholderia cepacia Complex from Different Storage Temperatures and Culture Conditions

  • Ahn, Youngbeom;Lee, Un Jung;Lee, Yong-Jin;LiPuma, John J.;Hussong, David;Marasa, Bernard;Cerniglia, Carl 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10호
    • /
    • pp.1495-1505
    • /
    • 2019
  • The Burkholderia cepacia complex (BCC) is capable of remaining viable in low-nutrient environments and harsh conditions, posing a contamination risk in non-sterile pharmaceutical products as well as a challenge for detection. To develop optimal recovery methods to detect BCC, three oligotrophic media were evaluated and compared with nutrient media for the recovery of BCC from autoclaved distilled water or antiseptic solutions. Serial dilutions ($10^{-1}$ to $10^{-12}CFU/ml$) of 20 BCC strains were inoculated into autoclaved distilled water and stored at $6^{\circ}C$, $23^{\circ}C$ and $42^{\circ}C$ for 42 days. Six suspensions of Burkholderia cenocepacia were used to inoculate aqueous solutions containing $5{\mu}g/ml$ and $50{\mu}g/ml$ chlorhexidine gluconate (CHX) and $10{\mu}g/ml$ benzalkonium chloride (BZK), and stored at $23^{\circ}C$ for a further 199 days. Nutrient media such as Tryptic Soy Agar (TSA) or Tryptic Soy Broth (TSB), oligotrophic media (1/10 strength TSA or TSB, Reasoner's $2^{nd}$ Agar [R2A] or Reasoner's $2^{nd}$ Broth [R2AB], and 1/3 strength R2A or R2AB) were compared by inoculating these media with BCC from autoclaved distilled water and from antiseptic samples. The recovery of BCC in water or antiseptics was higher in culture broth than on solid media. Oligotrophic medium showed a higher recovery efficiency than TSA or TSB for the detection of 20 BCC samples. Results from multiple comparisons allowed us to directly identif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SA or TSB and oligotrophic media. An oligotrophic medium pre-enrichment resuscitation step is offered for the United States Pharmacopeia (USP) proposed compendial test method for BCC detection.

Fruiting Body Formation of Cordyceps militaris from Multi-Ascospore Isolates and Their Single Ascospore Progeny Strains

  • Shrestha, Bhushan;Han, Sang-Kuk;Sung, Jae-Mo;Sung, Gi-Ho
    • Mycobiology
    • /
    • 제40권2호
    • /
    • pp.100-106
    • /
    • 2012
  • Interest in commercial cultivation and product development of Cordyceps species has shown a recent increase. Due to its biochemical and pharmacological effects, Cordyceps militaris, commonly known as orange caterpillar fungus, is being investigated with great interest. Cultivation of C. militaris has been practiced on a large scale in order to fulfill a demand for scientific investigation and product development. Isolates of C. militaris can be easily established from both spores and tissue. For isolation of spores, ascospores released from mature stromata are trapped in sterile medium. Multi-ascospore isolates, as well as combinations of single ascospore strains, are used for production of fruiting bodies. Progeny ascospore strains can be isolated from artificial fruiting bodies, thus, the cycle of fruiting body production can be continued for a long period of time. In this study, we examined fruiting body production from multi-ascospore isolates and their progeny strains for three generations. $F_1$ progeny strains generally produced a larger number of fruiting bodies, compared with their mother multi-ascospore isolates; however, $F_2$ and $F_3$ progeny strains produced fewer fruiting bodies. Optimum preservation conditions could help to increase the vitality of the progeny strains. In order to retain the fruiting ability of the strains, further testing of various methods of preservation and different methods for isolation should be performed.

고추 갈색점무늬병원균 (Cercospora capsici)의 배양특성과 다량 포자형성법 (Sporulation of Cercospora capsici causing Cercospora leaf spot of Pepper)

  • 임양숙;김병수
    • 식물병연구
    • /
    • 제9권3호
    • /
    • pp.162-165
    • /
    • 2003
  • 고추 갈색점무늬병(Cercospor capsici)병원균의 균사특성과 포자형성 방법 조사하였다. C. capsici 병원균의 균사생장 적온은 $25^{\circ}C$이였고 $5^{\circ}C$ 이하와 $35^{\circ}C$ 이상에서는 균사생장이 일어나지 않았다. pH 4.0~pH 8.0의 넓은 범위에서 균사생장에 차이가 없었고 일장도 균사생장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생포자 다량 형성 시키기는 배지로는 0.5% 고추잎배지가 가장 좋았으며 배지 상에서 포자를 다량으로 형성시키는 방법은 고추잎배지에 균사현탁액을 도말 한 후 2,3일간 $20^{\circ}C$에서 배양한 후 1ml/접시 살균수를 첨가하여 배지표면을 긁어 자극을 준 후 2, 3일정도 배양을 하면 포자형성이 양호하였다.

수도권 지역의 초음파 프로브의 미생물 오염도와 소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icrobial Contamination and Disinfection of Ultrasonic Probe in Metropolitan Area)

  • 이현경;김삼수;허영철;한동균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1권5호
    • /
    • pp.427-435
    • /
    • 2018
  • There was a shortage of research reports on sterilization criterion and contamination of ultrasonic probes. Therefore, in this study, we were going to provide a basic study to measure the level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ultrasonic probes and to investigate the radiographer's awareness of infection. After the scan,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rubber part of the probe by opening a sterile swab (Transport Medium AM608-1S) for medical bacteria collection with the remaining gel removed with a paper towel. Also, the collected samples of bacteria were grown for seven days and then the laboratory was analyzed. Among the total 29 types of microorganisms, Micrococcus luteus 21(26%), Moraxella species 16(20%), 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us 8(10%), Bacillus species 5(7%), Bicillus circulans 3(5%), Acinetobacter lwoffii 2(2%), and 1 other Candida parapsilosis (1%) a number of bacteria and fungus, was detected. In a disinfectant experiment using LuciPac Pen on the Lumitester PD-30s, we cultured the rubber part of the probe two to three times to measure the bacteria. Bacteria decreased to 97% with Aquanax (alkaline reduced water 100%), 99% with Klarion wash (0.01% sodium hydroxide), 94% with Klarion disinfection (0.01% nitrous acid water), Sterilization was best with Klarion wash (0.01% sodium hydroxide). Therefore, guidelines for cleaning and disinfection of ultrasonic probes was required, and further development of probe-only disinfectants is requi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