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reotactic Radiosurgery

검색결과 198건 처리시간 0.029초

QA용 두부 팬톰을 이용한 Hitchcoke CT 및 혈관조영 정위적 시스템에 대한 정확도 평가 (Evaluation of Accuracy on Hitchcoke CT/angio localization system using QA head phantom)

  • 김성현;서태석;윤세철;손병철;김문찬;신경섭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9권1호
    • /
    • pp.1-9
    • /
    • 1998
  • 정위적 방사선 수술과 신경외과적 수술분야 에서는 상호보완적인 영상정보를 얻기 위하여 컴퓨터 단층촬영 (CT), 자기공명영상 (MRI) 그리고 혈관조영촬영이 사용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여러 영상장치와 다목적 QA(Quality Control) 팬톰을 이용하면서, 정위적 방사선수술 및 신경외과적 수술분 야에서 두경부내의 병소에 대한 모양, 크기, 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하기 위한 3 차원 정위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목표물의 정확한 위치를 정의하기 위하여, Hitchcoke 정위 프레임과 컴퓨터 단층 촬영 (CT)/혈관 조영촬영용 위치측정 보조기구들을 3차원 공간상에 9개의 목표물을 가진 팬톰에 고정하였다. 컴퓨터 단층촬영과 혈관 조영촬영을 이용하여 얻은 기하학적 팬톰의 영상들을 이용하여, 목표물의 3차원 정위좌표를 얻기위한 알고리즘이 개발되었다. 개발된 알고리즘에 의해 계산된 목표물들의 위치는 팬톰의 절대 좌표와 비교 되었고, 각 CT 영상에서의 목표물들은 뇌혈관촬영 영상위에 상호 중첩될 수 있도록 개발 되었다. 512$\times$512 메트릭스와 2mm 슬라이스 두께를 가진 컴퓨터 단층촬영에 있어서는 1.02$\pm$0.17 mm의 평균거리오차를 보였고, 혈관 조영촬영인 경우에는 0.41$\pm$0.05mm 의 평균거리오차를 보였다. 목표물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결과로 나온 정확도는 개발된 시스템이 정위적 방사선수술과 신경외과적수술을 위해 충분히 신뢰성이 있음을 확인해주었다.

  • PDF

IBM Personal Computer를 이용한 3차원적 뇌정위 방사선 수술계획 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3-D Radiosurgery Planning System Using IBM Personal Computer)

  • 서태석;서덕영;박찬일;하성환;강위생;박승훈;윤세철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1권1호
    • /
    • pp.167-174
    • /
    • 1993
  • Recently, stereotactic radiosurgery plan is required with the information of 3-D image and dose distribution. A project has been doing if developing LINAC based stereotactic radiosurgery since April 199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3-D radiosurgery planning system using personal computer. The procedure of this research is based on two steps. The first step is to develop 3-D localization system, which input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patient, coordinate transformation, the position and shape of target, and patient contour into computer system using CT image and stereotactic frame. The second step is to develop 3-D dose planning system, which compute dose distribution on image plane, display on high resolution monitor both isodose distribution and patient image simultaneously and develop menu-driven planning system. This prototype of radiosurgery planning system was applied recently for several clinical cases. It was shown that our planning system is fast, accurate and efficient while making it possible to handle various kinds of image modalities such as angiography, CT and MRI. It makes it possible to develop general 3-D planning system using beam's eye view or CT simulation in radiation therapy in future.

  • PDF

Clinical Analysis of Novalis Stereotactic Radiosurgery for Brain Metastases

  • Gu, Hae-Won;Sohn, Moon-Jun;Lee, Dong-Joon;Lee, Hye-Ran;Lee, Chae-Heuck;Whang, C.-Ji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6권3호
    • /
    • pp.245-251
    • /
    • 2009
  • Objective : The authors analyzed the effectiveness and therapeutic response of Novalis shaped beam radiosurgery for metastatic brain tumors, and the prognostic factors which influenced the outcome. Methods :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analysis of 106 patients who underwent 159 treatments for 640 metastatic brain lesions between January 2000 and April 2008. The pathologies of the primary tumor were mainly lung (45.3%), breast (18.2%) and GI tract (13.2%). We classified the patients using Radiation Therapy Oncology Group Recursive Partitioning Analysis (RPA) and then analyzed the survival and prognostic factors according to the Kaplan Meier method and univariate analysis. Results : The overall median actuarial survival rate was 7.3 months from the time of first radiosurgery treatment while 1 and 2 year actuarial survival estimates were 31% and 14.4%, respectively. Median actuarial survival rates for RPA classes I, II, and III were 31.3 months, 7.5 months and 1.7 months, respectively. Patients' life spans, higher Karnofsky performance scores and age correlated closely with RPA classes. However, sex and the number of lesions were not found to b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ength of survival. Conclusion : This result suggests that Novalis radiosurgery can be a good treatment option for treatment of the patients with brain metastases.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뇌수막종의 뇌정위적 방사선수술 (Stereotactic LINAC Radiosurgery of Meningiomas)

  • 류경식;손병철;김문찬;서태석;계철승;윤세철;강준기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29권3호
    • /
    • pp.317-323
    • /
    • 2000
  • Objective : To evaluate the role of stereotactic LINAC radiosurgery in treatment of meningiomas, the authors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result of radiosurgery in our institute. Method: During last ten years, twenty patients underwent stereotactic LINAC radiosurgery(LINAC SRS) for meningioma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51 years(22-78 years). The most common tumor location for radiosurgery was parasagittal, sphenoid wing and tentorial area. With regards to indications of radiosurgery for meningiomas, LINAC radiosurgery was done for primary treatment in six patients, for postoperative residual tumors in eleven patients, for postoperative regrowth in three patients. Mean tumor volume was $5.14cm^3$($0.28-15.1cm^3$), mean field diameter was 2.01cm(1.2-3cm). The mean marginal dose was 20.55Gy(13-30Gy). The follow-up evaluation was done annually with radiologic findings and clinical statu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46.8(24-120) months. Result : In the radiologic response, the tumor volume was reduced in five(25%) of twenty patients, fourteen showed arrested growth(70%), but one patient showed increased growth(5%). In the clinical response, nine patients improved clinically(45%), ten patients was stable(50%) and one patient worsened during follow-up period. With regards to correlation with radiologic and clinical response, in nineteen patients who showed radiologic response to radiosurgery(decreased and arrested growth after radiosurgery), nine patients(47.4%) improved and ten patients (52.6%) showed no change, one patient(5%) had symptomatic radiation necrosis at four years after SRS, which needed craniotomy. Conclusion : The overall control rate of meningiomas with LINAC radiosurgery was 95% in radiologic follow up and 95% clinically. The radiation complication rate was 5%.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INAC radiosurgery can be considered as safe and effective method for meningiomas.

  • PDF

고에너지 선형가속기에 의한 입체방사선수술의 선량특성 (Dose Characteristics of Stereotactic Radiosurgery in High Energy Linear Accelerator Proton Beam)

  • 최태진;김옥배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0권2호
    • /
    • pp.137-145
    • /
    • 1992
  • 전산화단층촬영에 근거를 둔 3차원선량계산은 소형의 뇌종양에 대한 방사선수술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된다. 본 연구의 방사선수술 프로그램은 전산화단층촬영을 통해 표적 위치, 크기와 모양을 3차원공간에서 결정하고 최적조사면적을 구할 수 있었다. 방사선수술의 선량은 선형가속기의 6메가볼트 고에너지 광자선을 이중 비공면의 회전조사를 가상두부에 실시하여 계산된 3차원적 선량분포와 필름선량계의 실측선량을 비교한 바 거의 일치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방사선수술에서 $80\%$에서 $50\%$까지 선량곡선의 기울기는 전회전각이 1120도 일때 10 mm 조사면적에서 약 $16.7\%$/mm 였고 30 mm 에서 는 $13.0\%$/mm를 보였다. 또한 표적 주위의 선량분포는 표적내 최대선량값이 $90\%$ 에서 $50\%$ 까지 선량분포의 최대폭은 직경 10 mm조사면에서 2.3 mm를 나타내었으며, $90\%$에서 $20\%$까지의 거리는 5.6 mm를 나타내었으며, 30 mm직경의 조사면에서는 각각 3.5 mm와 9.8 mm를 보였다. 이러한 선량분포의 급격한 기울기는 방사선수술시 표적주위의 치명부위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선량최적화 작업에 지침이 될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방사선수술방법의 차이에 따라 비교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LINAC 뇌정의적 방사선 수술시 새로운 최적 선량분포계획 시스템의 개발 (New Techniques for Optimal Treatment Planning for LINAC-based Stereotactic Radiosurgery)

  • 서태석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0권1호
    • /
    • pp.95-100
    • /
    • 1992
  • LINAC 뇌정위적 방사선 수술은 multiple noncoplanar arc, 3 차원 선량 계산 및 많은 조사 변수들이 사용되기 때문에 간단한 경우에도 최적 선량분포를 얻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실험적 방법과 분석적 방법을 통한 유용한 방법을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한 방법 및 내용은 앞으로의 발표 논문에서 다루게 된다. 실험적 방법으로 2가지 방법에의하면, 첫번째 방법은 multiple isocenter를 이용하는 것이고, 두번째 방법은 beam's eye view와 field shaping을 이용한 conformal therapy이다. 분석적 방법은 최적 조사조건을 찾기 위하여 computer-aided design optimization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다.

  • PDF

전신 정위 방사선 치료시의 적정 조사면 크기 (Optimum Field Size for the Whole Body Stereotactic Radiosurgery)

  • 이병용;민철기;정원규;최은경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3권1호
    • /
    • pp.15-20
    • /
    • 2002
  • 전신 정위 방사선 시술 시 적정 치료 조사면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치료표적 직경이 1cm에서 7cm까지 1cm 간격인 경우에 다양한 크기의 치료 조사면 크기에서 만들어낸 선량 분포를 분석하였다. 치료조사면은 표적 크기에서 -1cm~2cm를 각각 더한 크기로 하였다. 치료 계획의 성적은 TCI(Target Conformity Index)로 표현하였다. 모든 표적 크기에서 -0.5cm~0.5cm를 더한 치료 조사면에서 가장 높은 TCI를 보였다. 6cm 이상의 표적 크기에서는 -0.5cm 또는 0cm를 더한 조사면에서 우수한 성적을 보였으며, 표적 크기 2cm 이하에서는 0cm 또는 0.5cm를 더한 조사면이 좋은 결과를 보였다. 표적 크기와 관계없이 동중심점 선량의 80%~90%에 처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으로 나타났다.

  • PDF

정위적 방사선 수술에서 물팬텀을 이용한 목표점 및 전달 선량확인 (Target Localization and Dose Delivery Verification used a Water Phantom in Stereotactic Radiosurgery)

  • 강영남;이동준;권수일;권양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7권2호
    • /
    • pp.19-28
    • /
    • 1996
  • 정위적 방사선수술 (Stereotactic radiosurgery) 은 병소(region)의 위치를 정확히 결정하고 치료에 요구되는 방사선량이 정확히 전달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이를 실험적으로 확인할 목적으로 특별히 고안된 물팬텀 (water phantom)을 개발하여 Leksell 정위기구 (Leksell Stereotactic Frame; LSF)에 부착하여 방사선수술을 시행하였다. 방사선 수술에는 Leksell 감마나이프 (Gamma Knife Unit; GKU) 와 LSF를 사용하였으며 실험을 위해 개발된 팬텀은 1mm 두께 플라스틱의 직경 160mm의 구형으로 물을 채울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측정장치로서는 목표점 설정(target localization)을 위한 필름과 전달 선량(dose delivery) 측정을 위해 이온 전리함(ionchamber) 을 사용하였으며 이를 팬텀의 목표점에 각각 위치시킬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 목표점 확인은 허용 오차범위인 $\pm$0.5 mm 이내에서의 값을 보였으며 선량전달값은 $\pm$3% 정도의 오차로 허용값내에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팬텀으로 측정된 값이 모두 허용 오차범위 내에 있음을 보여주었고 이로인해 GKU 및 LSF의 주기적 QA(Quality Assurance)에 계속적으로 사용할수 있게 되었다.

  • PDF

정위적 방사선 수술시 치료위치에서의 정위적 표적점 확인을 통한 자기공명영상 획득의 정확도 연구 (Verification of Stereotactic Target Point Achieved by Acquisition of MR Image in Actual Treatment Position of Radiosurgery)

  • 윤형근;신교철;김영식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9권2호
    • /
    • pp.89-94
    • /
    • 1998
  • 자기공명영상을 정위적 방사선 수술에 이용하기 위한 우선 과제로 비교적 균일한 phantom에서 자기공명영상으로 구한 정위적 표적점이 실제 방사선수술시의 방사선 빔의 isocenter와 일치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무 속에 임의의 표적점이 표시된 선량측정용 필름을 끼우고 head ring 을 고정시킨 다음 자기공명영상올 얻어 방사선 수술용 planning computer 로 표적점의 정위적 좌표를 구한 다음 실제 치료와 같이 무 phantom 을 테이블에 고정한 후 구해진 표적점의 좌표를 isocenter로 하여 방사선을 조사하고 필름을 현상하여 필름에 표시한 표적점과 실제 방사선이 조사된 부위의 선량분포의 중심을 비교하였는데 오차가 0.5 mm 이내였다. 따라서 무와 같은 비교적 균일한 phantom 에서는 표적점과 실제 방사선이 조사된 부위의 선량분포의 중심이 잘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자기공명영상의 왜곡의 정도를 직접 확인하기 위해서 아크릴에 1 cm 간격으로 구멍을 뚫고 오일방울을 넣어준 후 아크릴 phantom을 무 속에 수평과 수직방향으로 삽입한 뒤 자기공명영상을 얻은 후 각각의 좌표를 구하여 자기공명영상의 수평과 수직방향에서 왜곡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균일한 물질 내에서는 7 cm 거리에서 0.4 mm 이내의 오차를 보여서 비교적 잘 일치하였다. 그런데 이 측정과정에서 device 자체와 digitizing 과정의 오차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므로 더 정교한 device 의 제작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