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reotactic

검색결과 408건 처리시간 0.028초

원발 혹은 재발성 비소세포 폐암 환자에서 사이버나이프률 이용한 체부 방사선 수술의 치료 결과 (Treatment Results of CyberKnife Radiosurgery for Patients with Primary or Recurrent Non-Small Cell Lung Cancer)

  • 김우철;김헌정;박정훈;허현도;최상현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9권1호
    • /
    • pp.28-35
    • /
    • 2011
  • 목 적: 초기 비소세포성 폐암 환자에서 수술적 절제 이외의 국소 치료로 최근 방사선 수술의 사용이 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초기 혹은 재발한 비소세포성 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체부 방사선 수술의 치료 결과를 분석하여 그 유용성을 알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비소세포성 폐 종양에 대하여 방사선 수술이 시행되었던 24명의 환자, 28 lesion에 대하여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이 중 원발성 종양은 19명 재발한 환자는 5명이었고 재발한 환자 5명 중 3명이 이전 치료 부위에서 재발한 환자 이었다. 원발성 종양 19명 중에서 4명은 외부 방사선 치료 후 추가로 방사선 수술을 시행 받았다. 24명의 초기 병기는 IA, IB, IIA, IIB, IIIA, IIIB, IV가 각각 7, 3, 2, 2, 3, 1, 6명이었고, 방사선 수술 당시의 T 병기는 T1 lesion이 13곳, T2가 12곳, T3가 3곳이었다. 방사선 수술은 6 MV X-ray를 이용하였고 planning target volume 1 (PTV1)에 총 방사선량 15~60 Gy(median, 50 Gy)를 3회 혹은 5회에 걸쳐 처방하여 시행하였다. 중앙 추적관찰기간은 469일이었다. 결 과: 28곳의 GTV는 0.7~108.7 mL (median, 22.9 m L)이었고, PTV1 은 5.3~184.8 mL (median, 65.4 m L)이었다. 3개월 반응률은 complete response (CR) 14곳, partial response (PR) 11곳, stable disease (SD) 3곳이었고, 마지막 추적에서의 치료반응은 CR 13곳, PR 9곳, SD 2곳, progressive disease (PD) 4곳이었다. 원발종양으로 초기 병기 IA, IB 10명에서는 50일만에 1명이 폐렴으로 사망하였고 1명이 국소재발 하였으나 나머지 환자는 6개월에서 2년간 국소재발 없이 추적관찰 되고 있으며, IIA-IIB 환자는 4명으로 환자 수가 적어서 뚜렷한 결론을 내리기 어려웠고, 재발성 폐암 환자 5명을 포함하는 10명의 IIIA-IV 병기에서는 사망 3명, 국소재발 1명, loco-regional failure 1명, regional failure 2명으로 좋지 않은 치료 결과를 보였다. 이 중에서 방사선 수술을 시행한 장소에서 재발한 경우는 총 28 1esion 중 4곳으로 85.8%의 국소제어율을 보였다. 방사선치료 양은 biologically equivalent dose (BEd) 100 $Gy_{10}$ 이하인 8 lesion 중에서 3 lesion에서 국소 재발하여 100 $Gy_{10}$ 이상인 20 lesion 중에서는 1 lesion에서만 재발한 경우보다 나빴다. 또한 중앙부의 종양과 방사선수술 당시의 병기가 T2 이상인 경우가 재발이 많았다. 결 론: 비소세포성 폐암환자에서 사이버나이프를 이용한 체부 방사선 수술은 부작용이 적으면서 높은 국소제어율을 얻을 수 있는 치료이며, 주변부의 T1 병기의 폐암에 대해서 BED 100 $Gy_{10}$ 이상의 방사선 치료가 국소제어율을 높이는데 도움이 된다고생각된다.

방사선치료 시 자세와 device에 따른 호흡신호의 분석 (Statistical Study on Respiratory Signal Analysis according to Patient Position and Device in Radiation Therapy)

  • 서정민;박명환;심재구;김찬형;박철수;김경근;조재환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5권4호
    • /
    • pp.179-187
    • /
    • 2011
  • 방사선 치료에서 일정한 호흡주기의 유지가 필요한 흉부 및 복부를 치료할 때 환자의 자세와 belly board device의 사용 여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호흡신호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임상적용에 관한 유용성을 검정하였다. 호흡주기유지는 supine 자세에서 비교적 양호하게 나타났으며, prone 자세에서 호흡주기 유지가 양호하지 않은 경우에 belly board를 적용하여 85%가 유의하게 다른 패턴의 호흡주기를 보였고, 57%는 호흡주기 유지가 양호하게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 피험자의 비만도와 체중에 따른 호흡주기유지 안정성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안정성의 상대적 비교지수로 분석한 시간의 흐름에 따른 호흡의 안정성 유지는 supine 자세에서 비교적 안정적이었으며, 호흡주기 유지의 검정통계결과와 일치하였다(p=0.044, kappa=0.607). 흉부 및 복부 심지어 골반의 방사선치료에서도 호흡에 의한 환자의 움직임은 중요한 고려사항 중 하나이다. 환자의 치료부위와 target의 위치, 예상되는 plan의 beam arrangement에 따라, 환자의 자세 및 device의 여부가 결정되지만, 본 연구와 같이 호흡신호의 통계적 분석과 이의 적용을 통해, 호흡유지에 최적의 자세, belly board와 같은 device 사용여부를 결정하여, 호흡주기의 유지 및 호흡의 안정도 유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호흡 동조 췌장 암 용적 세기조절 회전 치료 시 Inter-fraction Intra-fraction 분석 (Analysis of inter-fraction and intra-fraction errors during volumetric modulated arc therapy in Pancreas Ca)

  • 조영필;서동린;홍택균;강태영;백금문;홍동기;윤인하;김진산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47-256
    • /
    • 2014
  • 목 적 : 췌장 환자 방사선 치료 중 기점(Fiducial) 대상 내부 및 외부 종양 움직임의 오차를 정량화 하고자 한다. 또한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를 기반으로 호흡 시 췌장의 움직임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용적 세기변조 회전조사 (V-MAT)를 적용, 정위적 방사선 치료를 국소 진행성 췌장암 환자 1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CBCT 및 직교 투시이미지를 적용하여 기점(Fiducial Marker)의 Inter, intra-fraction 움직임 변화를 치료 전, 치료 진행 시 분석하였다. 결 과 : 치료 후 프로토콜을 오프라인 교정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CBCT 와 직교투시 간의 평균 오차(범위)는 0.0(-1.7~4.0), 0.3(-0.5~3.0) and 0.0(-4.1~6.6)mm 측방 (LR), 세로 (AP) 및 종 방향 (SI) 이였다. 무작위 Inter-fraction Setup 오차 결과는 -0.1, -2.3 and -1.1 mm: 95% Fiducial포함 마진은 각 9.9, 7.8, 12.5mm로 수식되었다. 결 론 : 위 분석으로 뼈 일치 정렬 후 잔류 불확실성이 있으며, SI 방향에 큰 임의의 움직임은 적합한 여백이 필요하다. 주변 내부 장기를 보호, 내부 장기 문제점을 최소화, 호흡편차를 고려, 치료 시 정기적으로 측정하여야 한다.

청신경초종에 대한 감마나이프 방사선 수술 (Gamma-Knife Radiosurgery for Vestibular Schwannoma)

  • 팽성화;김무성;심홍보;정영균;이선일;정용태;김수천;심재홍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0권11호
    • /
    • pp.1308-1313
    • /
    • 2001
  • Object : The goals of radiosurgery include preservation of neurological function and prevention of tumor growth. We document the results of gamma-knife radio-surgery for vestibular schwannoma. Method & Object : Eighty-two patients underwent stereotactic radiosurgery for an vestibular schwannoma from October, 1994 to December, 2000. Sixty-five of these patients were followed up for radiological and clinical evaluation. As pregamma-knife modality, surgical resection were done in 23 patients,and V-P shunt in 2 patients. Initial symptoms were headache(n=45), dizziness(n=16), tinnitus(n=17). While normal facial function(House-Brackmann grade 1) was present in 48 patients(73.8%), other patients showed grade 2 function in 8, grade 3 function in 7,and grade 4 function in 2. The Gardner/Robertson scale was used to code hearing function. Male to female ratio was 1:3. Mean tumor volume was $7.98cm^3$. Mean dose delivered to the tumor margin was 14.2Gy,and mean maximal dose was 28.3Gy. Results : Mean follow-up duration of 19.9 months. Thirty-five showed decrease(53.8%) in size, 19 patients(29.2%) stationary, 3(4.6%) initial decrease follow up increase, 5(7.6%) initial increase follow up decrease,and 59 patients (90.8%) were well controlled. Two patients experienced transient facial neuropathy, one transient trigeminal neuropathy, and one transient hearing deterioration. After gamma-knife radiosurgery, ventriculoperitoneal shunt was done in 4 patients. Conclusions : Gamma-knife radiosurgery can be used to treat postoperative residual tumors as well as in patients with concomitant medical problems in patients with preserved hearing function. Gamma-knife radiosurgery is safe and effective method to treat small, medium sized(less than 3cm in extracanalicular diameter), intracanalicular vestibular schwannoma, associated with low rate of cranial neuropathy.

  • PDF

뇌동정맥기형 26예의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뇌정위다방향 단일방사선치료 (Stereotactic Radiosurgery of 26 Intracranial Arteriovenous Malformations with Linear Accelerator)

  • 윤세철;서태석;장홍석;최규호;김문찬;신경섭;박용휘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0권1호
    • /
    • pp.21-26
    • /
    • 1992
  • 가톨릭의대 강남성모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는 1988년 7월부터 1991년 11월 사이 40개월 동안에 26명의 수술 불가능한 뇌동정맥기형 환자에 대하여 6 MV선형가속기를 이용하여 뇌정위다방향 단일 방사선치료를 실시하였다. 환자연령은 6세부터 63세였고(중앙값 29세), 남녀의 비는 21:5였다. 치료 종료 후 추적기간은 4개월$\~$40개월 간이었다(중앙값 15개월). 뇌동정맥기형의 크기는 직경 1 cm부터 $43cm^3$까지였으며 환자 연영, 병소의 크기 및 뇌내 위치에 따라 4$\~$7회의 부분회전 조사를 실시하여 15$\~$30 Gy를 단일 조사하였다. 모든 환자는 임상적 그리고 CT또는 MRI나 뇌혈관조영술을 병행하여 방사선치료 전 및 후 6개월간격으로 뇌동정맥기형의 크기변화를 추적 분석하였다. 2년 이상된 예의 추적 검사를 분석한 결과 완전 관해 6($23\%$), 부분관해 8($31\%$), 무변화 1($4\%$)명 씩으로 분석되었다. 11($42\%$)명은 방사선치료한지 1년 미만의 무반응군으로 간주되었다. 이상으로 치료후 2년째 반응율은 $54\%$(14예)였다. 치료에 따른 부작용은 아직 관찰되지 않았다.

  • PDF

금속표지자를 이용한 다중호형 정위방사선치료와 입체조형 정위방사선치료의 회전중심점 비교 (Fractionated Stereotactic Radiotherapy (FSRT) Using Gold Markers : A Comparison of the Isocenter between Multiple Arcs and Static Conformal Beams)

  • 장지영;김기환;김재성;김준상;송창준;김선환;조문준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4권1호
    • /
    • pp.28-33
    • /
    • 2003
  • 본 연구는 무고정틀정위방사선치료의 다중호형 기법과 입체조형기법간의 회전중심점의 오차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1997년부터 2000년 12월까지 무고정틀정위방사선치료를 받은 4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다양한 종양형태와 크기를 고려하여 다중호형 또는 입체조형정위방사선치료를 선택하였다. 각 치료기법에 따른 회전중심점의 오차를 계산하였다. 다중호형과 입체조형정위방사선치료의 공간적 편차값($\Delta$r)은 각각 0.41 mm와 0.54 mm이었다. 다중호형정위방사선치료에서의 회전중심점의 정확도는 x, y, z 방향에서 각각 0.2 mm (SD 0.2 mm), 0.2 mm (SD 0.2), 0.3 mm (SD 0.2 mm)이었고, 입체조형정위방사선치료에서는 각각 0.2 mm (SD 0.2 mm), 0.3 mm (0.2 mm), 0.4 mm (SD 0.2 mm)이었다. 무고정틀 정위방사선치료를 이용한 회전중심점의 오차는 다중호형기법과 입체조형기법간에 차이가 없었다.

  • PDF

방사선 치료의 국내 현황과 미래 (Present Status and Future Aspects of Radiation Oncology in Korea)

  • 허승재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4권4호
    • /
    • pp.211-216
    • /
    • 2006
  • 목 적: 최근 국내 방사선 치료의 발전 경향, 시설 장비와 인적 현황 등 인프라와 특징을 조사하고, 국내 방사선종양학분야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려 한다. 대상 및 방법: 2006년도 방사선종양학과 전공의 지도 감독에 관한 실태 조사를 위하여 2006년 7월, 전문의, 전공의, 의학 물리사, 간호사, 방사선사 등 인력 및 치료 장비 인프라 조사와 함께 향후 확장 계획에 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국내 61개 기관의 치료 시설 등급 결정은 IAEA 조사연구에서 사용한 기준에 따라서 분류하였다. 결 과: 2006년 7월 현재 한국에 설치된 방사선종양학과는 61개 병원이며, 132명의 전문의와 50명의 전공의를 포함하여 선량계산사 및 의학물리사 64명, 방사선사 369명 간호사 130명 등 745명의 인력이 2004년도 기준으로 28,789명 신환의 방사선치료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방사선치료기는 메가볼티지 치료기가 104대 설치되어 있고 선형가속기가 96대, 코발트 원격치료기 2대, 토모치료기 3대, 사이버나이프가 2대, 한 대의 양성자 치료기가 설치되어 있다. 강내치료 장치는 41개 병원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 중 35개 병원에서 고선량률 강내치료기, 6개 병원에서 저선량률 강내치료 장치가 설치 운영되고 있다. 국내 61개 병원의 IAEA기준에 따른 분류에서는 level 0이 2곳, level 1이 15곳, level 2가 19곳이고, level 3 즉 강도조절 방사선치료, 정위적 방사선치료, 수술 중 방사선치료가 가능한 시설이 25곳으로 매우 높은 질의 치료를 시행함을 보여준다. 결 론: 최근 치료시설과 방사선치료 관련 인적 인프라는 현저한 증가 추세에 있다. 즉, 선형가속기의 증가와 함께 코발트 치료기는 현격한 감소를 보이며 토모치료기, 사이버나이프 등 첨단 치료 장치가 증가하는 경향이다. 한국의 메가볼티지 치료기의 숫자는 인구 백만 명당 2.1대로서 향후 방사선치료의 필요성과 적응증이 계속 증가되는 추세에 있어서 치료기의 증가가 필요한 실정이다.

파킨슨환자의 자기공명영상과 미세전극기록을 이용한 담창구 파괴술 (Pallidotomy Guided by MRI and Microrecording for Parkinson's Disease)

  • 이경진;손형선;박성찬;조경근;박해관;최창락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0권1호
    • /
    • pp.41-46
    • /
    • 2001
  • Objective : The exact position of the lesion during the pallidotomy is critical to obtain the clinical improvement of parkinson's disease without damage to surrounding structure. Ventriculogrphy, CT(computed tomograpy) or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have been used to determine the initial coordinates of stereotactic target for pallidotomy.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microelectrode recording significantly improves the neurophysiologic localization of the target obtained from MRI. Methods : Twenty patients were studied. They underwent a unilateral pallidotomy. Leksell frame was applied and T1 axial images parallel to the AC-PC(anterior commissure-posterior commissure) plane using a 1.5 Tesla MRI with 3mm slice thickness were obtained. Anteroposterior coordinate of target was chosen at 2mm in front of the midcommissural point and lateral coordinate between 19 and 22mm from the midline. The vertical coordinate was calculated on coronal slice using a fast spin echo inversion recovery sequence(FSEIR) related to the position of the choroidal fissure and ranged over 4-5mm below the AC-PC plane. Confirmation of the anatomical target was done on axial slices using the same FSEIR sequence . Microrecording was done at the pallidum contralateral to the symptomatic side using an electrode with a tip diameter of $1{{\mu}m}$ diameter tip and 1.1-1.4 mOhm impedance at 1000Hz. Electrophysiologic localization of the target was also confirmed intraoperatively by macrostimulation. Results : Microrecording techniques were reliable to define the transition from the base of the pallidum which was characterized by the disappearance of spike activity and by the change of the audible background activity. Signals from high amplitude neurons firing at 200-400Hz were recorded in the pallidal base. X, Y and Z coordinates of target obtained from the MRI were within 1mm from the X, Y, Z coordinates obtained with microrecording in 16 patients (80%), 15 patients(75%), 10 patients(50%) respectively. The difference of Y coordinate between on MRI and on microrecording was 4mm in only one patient. Conclusion : The MRI was accurate to localize the target within 1mm of the error from microrecording target in 70% of the patients. 4mm discrepancy was observed only once. We conclude that MRI alone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target for pallidotomy in most patients. However, microrecording technique can still be extremely valuable in patents with aberrant anatomy or unusual MRI coordinates. We also consider physiologic confirmation of the target using macrostimulation to be mandatory in all cases.

  • PDF

파킨슨병 모형 흰쥐의 줄무늬체에서 Apomorphine 투여 방법에 따른 도파민 D2 수용체의 발현 (Expression of Dopamine D2 Receptor in Response to Apomorphine Treatment in the Striatum of the Rat with Experimentally Induced Parkinsonism)

  • 최승진;성재훈;손병철;박춘근;권성오;김문찬;이상원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29권7호
    • /
    • pp.868-876
    • /
    • 2000
  • Objective : Parkinsonian rat models have generally been characterized by unilateral destruction of both the nigrostriatal pathway and the mesolimbic pathway using the neurotoxin 6-hydroxydopamine. The induction of contraversive turning by apomorphine in these models is thought to reflect the stimulation of supersensitive dopamine D2 receptor or receptor-mediated mechanisms in denervated neostriatum.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of dopamine D2 receptor in denervated striatum according to modalities of apomorphine(dopamine agonist) treatment after creating a hemiparkinsonian rat model in which there is 6-hydroxydopamine induced destruction of the unilateral dopaminergic nigrostriatal pathway. Methods : After making complete lesion in left side substantia nigra pars compacta(SNpc) by stereotactic injection of 6-hydroxydopamine into medial and lateral areas of SNpc, and confirming successful animal model by apomorphine induced contraversive turning behavior without recovery and complete destruction of ipsilateral SNpc with tyrosine hydroxylase immunostaining in 7th day after operation, 15 rats of parkinsonian model were studied with or without administration of apomorphine at varying doses and durations. According to the modalities of apomorphine treatment for 4 days, these ra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as not-treated group, intermittently treated group and constantly treated group. For investigating the extent of the expression of dopamine D2 receptor in denervated striatum,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by dopamine D2 receptor antibody and Western blot were performed. Results : In the D2 receptor antibod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the mean number of positive stained neurons was highest in not-treated group($20.5{\pm}1.14$) of 3 groups. In constantly treated group, the mean number of positive stained neurons was less($3.9{\pm}1.79$) than intermittently treated group(p<0.05). The Western blotting with the D2 receptor antibody revealed that expression of receptors was also highest in not-treated group and less in constantiy treated group than intermittently treated group. Conclusion : Dopamine D2 receptors in denervated striatum of parkinsonian rat models, which were not treated with apomorphine, revealed to be most highly expressed. And, according to doses and durations of apomorphine administration, desensitization of the receptor was more apt to develop with constant treatment than intermittent treatment. In clinical setting, the authors believe that, in long-term treated parkinsonian patients, desensitization of dopamine receptors due to chronic dopaminergic stimulation seems to be partially related to mechanisms of drug tolerance.

  • PDF

선형가속기 방사선 수술을 이용한 뇌동정맥기형의 치료 (Linac Based Radiosurgery for Cerebral Arteriovenous Malformations)

  • 이성열;손은익;김옥배;최태진;김동원;임만빈;김인홍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29권8호
    • /
    • pp.1030-1036
    • /
    • 2000
  • 본 논문에서 뇌동정맥기형에 대해 포톤나이프로 정위적 방사선 수술을 시행한 후 방사선학적으로 10명의 환자중 6례에서 완전 폐색, 4례에서 부분적 폐색을 보였으며, 특히 3cm이하의 작은 뇌동정맥기형 7례중 6례에서 완전 폐색을 보였다(완전 폐색율 : 85.7%). 모든 환자에서 방사선 수술로 인한 방사선학적 합병증의 발병은 없었다. 신경학적으로도 모든 환자에서 방사선 수술 전에 보이던 증상들이 호전을 보였다. 포톤나이프 방사선 수술 시스템은 이미 실험적으로 안정성이 검증된 것으로 이 논문에서 임상적으로 방사선 수술의 안정성 및 정확성을 다시 확인할 수 있었다. 정위적 방사선 수술은 지금까지 치료 불가능했던 부위에 생긴 병소, 수술이나 다른 치료방법으로 완전 제거에 실패한 경우, 노인환자나 다른 내과적 질환으로 수술이 어렵거나 수술적 치료를 거부하는 환자에서도 좋은 치료 방법으로 사용되어지며, 특히 뇌 중요부위나 심부병변에 위치한 경우 또는 최대직경이 3cm 이하의 소 동정맥기형으로 발견 당시 출혈량이 많지 않고 신경학적 결손이 경미한 환자에서 좋은 적응증이 되리라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