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reoscopic display

검색결과 227건 처리시간 0.031초

STEREOSCOPIC EYE-TRACKING SYSTEM BASED ON A MOVING PARALLAX BARRIER

  • Chae, Ho-Byung;Lee, Gang-Sung;Lee, Seung-Hyun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9년도 IWAIT
    • /
    • pp.189-192
    • /
    • 2009
  • We present a novel head tracking system for stereoscopic displays that ensures the viewer has a high degree of movement. The tracker is capable of segmenting the viewer from background objects using their relative distance. A depth camera is used to generate a key signal for head tracking application. A method of the moving parallax barrier is also introduced to supplement a disadvantage of the fixed parallax barrier that provides observation at the specific locations.

  • PDF

Time Series Evaluation of Visual Fatigue and Depth Sensation Using a Stereoscopic Display

  • Kim, Sang-Hyun;Kishi, Shinsuke;Kawai, Takashi;Hatada, Toyohiko
    • Journal of Information Display
    • /
    • 제10권4호
    • /
    • pp.188-194
    • /
    • 2009
  • Conventional stereoscopic (3D) displays using binocular parallax generate unnatural conflicts between convergence and accommodation. These conflicts can affect the observer's ability to fuse binocular images and may cause visual fatigue. In this study, time series changes in visual fatigue and depth sensation when viewing stereoscopic images with changing parallax were examined. In particular, the physiological changes, including the subjective symptoms of visual fatigue, when viewing five parallax conditions, were examined. Then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2D and 3D conditions was performed based on the visual function. To obtain data regarding the visual function, the time series changes in the spontaneous-blinking rate before and during the viewing of 3D images were measured. The time series change results suggest that 2D and 3D images cause significantly different types of visual fatigue over the range of binocular disparity.

A Method to Compensate a Luminance Distortion of a Time-multiplexing Spatially Interlaced Stereoscopic Three-dimensional Display

  • Park, Minyoung;Choi, Hee-Jin
    •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 /
    • 제2권5호
    • /
    • pp.436-442
    • /
    • 2018
  • In a spatially interlaced stereoscopic (SIS) three-dimensional (3D) display to be realized by providing the observer a part of left-eye/right-eye images, a loss of information can be perceived due to the un-shown part of each image. In order to resolve that problem, an improved SIS 3D display is proposed to deliver the images without loss of information to the observer using a time-multiplexing scheme. However, that time-multiplexing SIS also has a problem of luminance distortion when the desired luminance is not shown due to an insufficient response of the liquid crystal cell.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method by optimizing the image data to show correct luminance with minimum distortion.

체적 홀로그래픽 메모리를 이용한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Sequential Stereoscopic Display System based on a Volume Holographic Memory)

  • 이승현;선광철;김은수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37권2호
    • /
    • pp.22-27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체적흘로그래픽 메모리를 이용한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각다중화된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페어의 다중 홀로그램들이 방대한 저장 능력과 실시간 랜덤 엑세스의 장점을 갖는 동일한 광굴절 매질에 기록되었다. 브래그 조건을 만족하는 입사파는 기록된 회절 격자에 의해 산란되어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페어의 방향을 따라 회절된다. 디스플레이 평면으로 회절되어 투사된 연속적인 좌안과 우안 영상으로부터 입체 비디오 영상을 관찰할 수 있다.

  • PDF

비가시성 인터랙션 표면 생성을 통한 인터랙티브 입체영상 시연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Interactive Stereoscopic Image Display System using Invisible Interaction Surface Generation)

  • 이동훈;양황규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371-379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환경 하에서 다중의 사용자가 입체 영상 내의 사물과 상호작용이 가능한 입체 인터랙티브 콘텐츠 시스템 개발 방법을 제안한다. 상호작용을 위한 방법으로는 최근 대중적으로 많이 보급된 멀티터치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제스쳐 정보를 입체 영상 환경 하의 사물에 적용한다. 기존 멀티터치 방식은 디스플레이 표면과의 직접적 접촉을 통해 상호작용이 발생하나, 입체 영상의 경우 디스플레이 표면과 참여자 간의 적정 거리가 떨어져야 한다는 제약조건으로 기존 방법을 적용하기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공간 상에 상호작용을 위한 비가시성 표면을 생성하고, 생성된 표면과 참여자의 신체와의 접촉을 상호작용의 이벤트로 간주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상호작용이 가능한 입체 영상 저작을 위해 게임 엔진 기반의 입체 영상 생성 및 편집 기법을 제시한다.

VHLS 광학판 기반의 다시점 스테레오스코픽 3D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현 (Implementation of Multiview Stereoscopic 3D Display System using Volume Holographic Lenticular Sheet)

  • 이상우;이맹호;김은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5C호
    • /
    • pp.716-725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VHLS 광학판 기반의 새로운 다시점 3D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시하였다. 즉, VHLS 광학판을 체적 홀로그램의 각 다중화 기록 특성을 이용하여 다시점 영상의 방향벡터를 회절격자 형태로 기록한 일종의 광방향 변조기로 제작한 다음, 제작된 VHLS을 LCD 공간광변조기에 부착되어 패널에 입력되는 다시점의 스테레오 영상을 각 시점에 해당하는 특정방향으로 분리해 줌으로써 다시점 3D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실현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VHLS 광학판의 원리와 특성을 분석한 다음 상용 포토폴리머를 이용하여 최적화된 4시점의 VHLS 광학판을 설계 제작하고 이를 이용하여 4시점의 스테레오스코픽 3D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그리고 적응적 변위 추정 알고리즘으로 합성된 4시점의 테스트 영상을 이용한 광학실험을 통해 VHLS 기반의 다시점 3D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3차원 내시경술을 위한 양안 입체 영상처리 및 디스플레이 방법 (Method of Display and Processing of Binocular Stereoscopic Image for 3D Endoscopy)

  • 송철규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531-538
    • /
    • 1998
  • 본 논문은 내시경 수술시 입체영상을 제공하여 수술의 편리성과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고화질 3차원 내시경 영상의 처리와 디스플레이 방법을 연구하였다. 기존의 3타원 내시경 수술을 위한 디스플레이 방법은 안경 차용의 무게감과 플리커가 심한 전자셔터 방식으로 사용의 불편함이 많았다 된 연구에서는 기존 내시경 영상의 3D 디스플레이 방식인 전자셔터식에 대한 입체 영상의 특징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편광방식의 입체 영상처리와 재현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설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성능 평가를 수행하여 기존 방식인 CRT방식에 의한 영상재현 방법에 비해 화질과 시야각 특성에서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 PDF

Recent LCD driving technologies for stereoscopic FHD 3D display system

  • Choi, Hee-Jin;Lee, Jun-Pyo;Kim, Jung-Won;Kim, Seon-Ki;Kim, Nam-Deog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9년도 9th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438-440
    • /
    • 2009
  •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latest LCD driving technology which helps to realize the stereoscopic 3D display system with FHD resolution by using the 240Hz LCD panel. The 240Hz LCD system has two times more data than current 120Hz and can cover the crosstalk due to the progressive scan.

  • PDF

다중스크린의 연속적인 배치를 지원하는 몰입형 가상환경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an Immersive VR Display System Supporting Continuous Arrangement of Multiple Screens)

  • 남상훈;채영호;강재훈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18-26
    • /
    • 2002
  • The suggested modular projection system can have flexible arrangements of screens. Modular and continuous arrangements of the display system enable us to modify the screen configuration easily, so that the system can be used in various applications. The image of each screen is calculated automatically by using window projection and the tracked position of the viewer. This system also uses the off-axis stereoscopic projection for the seamless stereoscopic edge blending of multiple connections of screens. The system has been successfully tested for the general navigation model and the CAU driving simulator with motion platform.

Resolution of Temporal-Multiplexing and Spatial-Multiplexing Stereoscopic Televisions

  • Kim, Joohwan;Banks, Martin S.
    •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 /
    • 제1권1호
    • /
    • pp.34-44
    • /
    • 2017
  • Stereoscopic (S3D) displays present different images to the two eyes. Temporal multiplexing and spatial multiplexing are two common techniques for accomplishing this. We compared the effective resolution provided by these two techniques. In a psychophysical experiment, we measured resolution at various viewing distances on a display employing temporal multiplexing, and on another display employing spatial multiplexing. In another experiment, we simulated the two multiplexing techniques on one display and again measured resolution. The results show that temporal multiplexing provides greater effective resolution than spatial multiplexing at short and medium viewing distances, and that the two techniques provide similar resolution at long viewing distance. Importantly, we observ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olution at the viewing distance that is generally recommended for high-definition telev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