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nting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32초

Clinical Efficacy of Endoscopic Pancreatic Drainage for Pain Relief with Malignant Pancreatic Duct Obstruction

  • Gao, Fei;Ma, Shuren;Zhang, Ning;Zhang, Yingchun;Ai, Meina;Wang, Bi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6호
    • /
    • pp.6823-6827
    • /
    • 2014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icacy of pancreatic drainage for pain relief in advanced pancreatic cancer. Method: Seventy-one patients with pancreatic carcinoma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dilated and non-dilated pancreatic ducts. All patients underwent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endoscopic biliary stenting and pancreatic stenting. Visual Analog Scale (VAS) scores, pain remission rates and survival time were evaluated during follow-up. Results: The post-ERCP VAS score of the dilated group was lower than that of the non-dilated group at 1 and 3 months post-ERCP. There was no difference at 6 months. The pain remission rate in the dilated duct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non-dilated duct group in 1 and 3 months post-ERCP. The median survival times were 8.17 and 8.22 months respectively. Conclusion: Endoscopic pancreatic drainage can relieve pain of advanced pancreatic cancer accompanied by safe dilation of the pancreatic duct.

중증 서맥성 전도장애 개에서 피부경유 심박 조절 하에 기관내 스텐트 장착 (Intratracheal Stenting Under the Aid of Transcutaneous Cardiac Pacing in a Dog with Severe Bradycardic Conduction Defect)

  • 이승근;현창백;장광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400-404
    • /
    • 2008
  • 10살된 암컷 요오크셔테리어(체중 3 kg)가 심한 호흡곤란 청색증, 간헐성 발작 증상으로 진료가 의뢰되었다 신체검사 결과 지속성 맥박결손을 동반한 불규칙 서맥이 부정기적으로 관찰되었다. 심전도 검사에서 고도의 방실차단이, 방사선검사에서 중증 기관허탈이 진단되었다. 피부경유 심박조절 하에 자동확장 기관내 스텐트를 성공적으로 장착할 수 있었다.

기도질환 환자의 치료기관지경술 (Bronchoscopic Intervention for Airway Disease)

  • 김호중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0-16
    • /
    • 2008
  • Surgical resection and reanastomosis has been the treatment of choice in patients with tracheobronchial stenosis. Recent development of bronchoscopic intervention has been replacing the role of surgery in these patients. After summarizing the upto date data of bronchoscopic intervention, the proper management of tracheobronchial stenosis will be presented. Bronchoscopic intervention would be much effective when performed under rigid bron- choscopy, due to the stable patients' condition and endoscopic view. The usual method of intervention includes ballooning, Nd-YAG laser resection, bougienation, mechanical airway dilatation, stenting and photodynamic therapy. Silicone stents are very effective in patients with tracheobronchial stenosis to maintain airway patency. Bronchoscopic intervention provided immediate symptomatic relief and improved lung function in most of patients. After airway stabilization, stents were removed successfully in 2/3 of the patients at a 12-18 months post-insertion. Less than 5% of patients eventually needs surgical management. Acute complications, including excessive bleeding, pneumothorax, and pneumomediastinum develops in less than 5% of patients but managed without mortality. Stent-related late complications, such as, migration, granuloma formation, mucostasis, and restenosis are relatively high but usually controlled by follow-up bronchoscopy. In conclusion, bronchoscopic intervention, including silicone stenting could be a useful and safe method for treating tracheobronchial stenosis.

  • PDF

심장 스텐트 시술과 의료사고 예방 (Cardiac Intracoronary Stenting vs CABG: Prevention of Medical Accident)

  • 김경례;박국양
    • 의료법학
    • /
    • 제18권2호
    • /
    • pp.163-194
    • /
    • 2017
  • 관상동맥 질환은 2017년 고령사회로 진입한 우리나라에서 앞으로 더 많은 관심을 가질 것이다. 고령화가 될수록 고혈압, 당뇨 등 복합적인 질환이 합병되어 혈관상태도 상대적으로 더 나빠져 관상동맥 질환에 걸릴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심혈관 질병은 심장외과와 심장내과와의 긴밀한 협진이 필요하다. 따라서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증환자를 먼저 진료하게 되어 있는 우리나라의 임상현장에서 객관적인 심장내과 의사의 치료방침에 대한 판단은 매우 중요하다. 최근 심장내과의 비수술적 중재술이 발전하고 있지만 무리한 스텐트 시술로 의료사고도 발생하고 있다. 특히 관상동맥 3개혈관이 모두 막힌 삼중혈관이거나 석회화가 심해 혈관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가 문제이다. 또한 심장외과 의사가 없는 병원에서 무리하게 경피적관상동맥중재술을 실시하다가 응급상황이 발생할 경우 관상동맥이식술 등 외과적 대처가 어려운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최근 2년간 한국소비자원(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 의료분쟁 조정결정 8사례를 분석한 결과, 심장 중재술을 시행한 병원 중 심장외과 의사가 상주한 곳은 2곳으로 확인됐다. 8사례 모두 심장내과 진료 후 풍선확장술 및 스텐트 삽입한 경우로 7명이 사망했고 이중 5명은 시술 당일에 사망했다. 8사례 중에 3중혈관 환자는 5건이고, 나머지도 석회화가 심하거나 완전폐쇄로 혈관상태가 좋지 않은 상태였다. 2017년 심장내과 스텐트 시술 건수 조사 보고에 의하면 3개 이하 약물 방출 스텐트 시술이 98%로 보고됐다. 2015년 스텐트 시술 건수가 38,922건으로 약800건(2%)은 스텐트가 4개 이상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무리한 스텐트 시술로 마지막 여명에 급사함으로써 신변정리 기회상실은 물론 여명단축에 따른 손해로서 '지도 설명의무' 책임을 물어 전 손해에 대한 배상을 신중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 최근 심평원 보험적용 스텐트 시술 개수 제한규제가 없어지면서 무리한 시술과 심장외과 의사 확충에 대한 문제가 있다. '다학제통합진료' 같은 병원차원의 해결방안은 물론 필수요원에 해당하는 심장외과를 공무원으로 확충하는 등 국가차원의 해결방안이 요구된다.

  • PDF

접수의 채취부위 및 접수와 대목의 고정법에 따른 장미 접삽묘의 생육 특성 (Effect of Topophysis and Uniting Method of Rootstock and Scion on Rooting and Subsequent Growth of Stenting-propagated (Cutting-grafted) Roses)

  • 박유경;정병룡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3호
    • /
    • pp.456-461
    • /
    • 2010
  • 본 실험은 국내 육성 절화 장미의 효율적인 접삽목 방법을 확립하고자 국내에서 육성된 절화장미($Rosa$ $hybrida$ Hort.)를 사용하여 접수의 채취 부위와 접수와 대목의 고정법에 따른 접삽묘의 발근과 그 이후의 생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스탠다드 계통의 'Sweet Yellow'와 'Hanmaum' 품종과 스프레이 계통의 'Chelsi'와 'May' 품종을 사용하였다. 대목은 $Rosa$ $indica$ 'Major'를 사용하여 접삽목하여 암면큐브($50{\times}50{\times}50mm$, Delta, Grodan, Denmark)에 식재한 후 온실에 옮기기 전에 접목활착실에서 5일간 저장하였다. 대목의 가시와 잎을 제거하고 상부와 하부의 구분을 위해 마디 사이의 눈을 남기고 한 마디씩 절단하였다. 접삽묘의 활착률을 높이기 위해 굵기가 유사한 접수와 대목을 골라 두 개를 동시에 잡고 날카로운 칼을 이용하여 $45^{\circ}$로 절단하였다. 접수로는 3매엽과 7매엽 마디를 제외하고 5매엽 마디를 사용하였다. 접수의 채취부위는 줄기의 하단에서부터 상(7-9마디), 중(4-6마디), 하(1-3마디)의 3등분 하여 처리하였다. 접수와 대목의 고정법은 튜브, 튜브+파라필름, 튜브+클립 및 클립 고정법을 사용하였다. 채취부위와 품종에 따라 접삽묘의 발근과 생장에 영향을 미쳤다. 발근은 상(7-9마디) 부위에서 좋았다. 채취부위에 따라 발근율, 발근수, 최대근장에서 유의성이 있었으나 신초와 뿌리의 생체중과 건물중, 신초장, 접목활착율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접삽묘의 발근과 생장은 접수와 대목의 고정법과 품종에 따라 영향을 받았다. 튜브 고정법은 다른 고정법과 비교 시 대체적으로 접목활착율, 발근율, 발근수에서 높았다. 하지만 접수와 대목의 접목부위가 완벽하게 융합하지 못해 이상비대 하였다. 전체적으로 접삽묘의 발근과 생장에 가장 좋은 고정법은 튜브+클립 고정법으로 나타났다. 클립 고정법은 'Sweet Yellow' 품종을 제외하고 다른 세 품종에서는 생육이 좋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 튜브+클립 고정법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생각되며 시간과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어 기존의 방법인 튜브+파라필름 고정법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Surgical Treatment of Ruptured Renal Artery Aneurysm: A Report of 2 Cases

  • Seo, Pil Wo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6권6호
    • /
    • pp.467-470
    • /
    • 2013
  • The rupture of a renal artery aneurysm is a rare disease that is difficult to diagnose. Although we usually consider the appropriate treatment to be open laparotomy with aortic aneurysm surgery or stenting with graft insertion through intravascular intervention, thus far, there is no general consensus on the treatment protocol for renal artery aneurysm. Notably, ruptured renal artery aneurysm is a true critical emergency that may result in a fatal outcome. We are reporting two renal artery aneurysm patients who had ruptured and underwent emergency laparotomy.

`Y-stenting` for Endovascular Coiling of Small Basilar Tip Aneurysm

  • Cho, Chun-Sung;Kim, Young-Joon;Lee, Sang-Koo;Cho, Maeng-Ki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0권1호
    • /
    • pp.31-34
    • /
    • 2006
  • This 58-year-old woman was transferred from a local hospital due to symptoms of acute headache and decreased consciousness. Computed tomography revealed a subarachnoid hemorrhage with blood clot in prepontine cistern. On the first day in the hospital, diagnostic cerebral angiography revealed a basilar tip aneurysm. We performed basilar artery to bilateral posterior cerebral artery[PCA] stent placement to reconstruct the basilar artery ap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