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mphylium spp.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14초

마늘 및 기타 Allium속 식물에 발생하는 Stemphylium vesicarium (Stemphylium vesicarium on Garlic and other Allium spp. in Korea)

  • 조혜선;유승헌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567-570
    • /
    • 1998
  • More than 100 isolates of Stemphylium obtained form leaf blight lesions of garlic (Allium sativum), onion (A. cepa) and leek (A. fistulosum) were identified as Stemphylium vesicarium (Wallr.) Simm. based on variou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rather than S. botryosum Wallr. previously reported on those plants in Korea. In controlled inoculations, the pathogen induced the disease symptoms on leaves of garlic 7 days after inoculation. Onion and leek were also artificially infected by the fungus. This is the first report of S. vesicarium causing a leaf blight of garlic, onion and leek in Korea.

  • PDF

Stemphylium Leaf Blight of Garlic (Allium sativum) in Spain: Taxonomy and In Vitro Fungicide Response

  • Galvez, Laura;Gil-Serna, Jessica;Garcia, Marta;Iglesias, Concepcion;Palmero, Daniel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2권5호
    • /
    • pp.388-395
    • /
    • 2016
  • The most serious aerial disease of garlic is leaf blight caused by Stemphylium spp. Geographical variation in the causal agent of this disease is indicated. Stemphylium vesicarium has been reported in Spain, whereas S. solani is the most prevalent species recorded in China. In this study, Stemphylium isolates were obtained from symptomatic garlic plants sampled from the main Spanish production areas. Sequence data for the ITS1-5.8S-ITS2 region enabled assignation of the isolates to the Pleospora herbarum complex and clearly distinguished the isolates from S. solani. Conidial morphology of the isolates corresponded to that of S. vesicarium and clearly discriminated them from S. alfalfae and S. herbarum on the basis of the size and septation pattern of mature conidia. Conidial morphology as well as conidial length, width and length:width ratio also allowed the Spanish isolates to be distinguished from S. botryosum and S. herbarum. Control of leaf blight of garlic is not well established. Few studies are available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chemical treatments to reduce Stemphylium spp. incidence on garlic. The effectiveness of nine fungicides of different chemical groups to reduce Stemphylium mycelial growth in vitro was tested. Boscalid + pyraclostrobin (group name, succinate dehydrogenase inhibitors + quinone outside inhibitors), iprodione (dicar-boximide), and prochloraz (demethylation inhibitors) were highly effective at reducing mycelial growth in S. vesicarium with $EC_{50}$ values less than 5 ppm. In general, the effectiveness of the fungicide was enhanced with increasing dosage.

Phylogenetic analysis and biological characterization of Stemphylium species isolated from Allium crops

  • Chang-Gi Back;You-Kyung Han;Walftor Bin Dumin;Jong-Han Park;Ji-Won Han;Yeoung-Seok Bae
    • 농업과학연구
    • /
    • 제49권1호
    • /
    • pp.113-120
    • /
    • 2022
  • Leaf blight disease caused by Stemphylium species is an important disease in Allium crops, specifically onion, garlic and welsh onion. In 2018, leaf blight symptoms were severe and damaged onion and garlic in Jeonnam province in Korea. In addition, small purple spots on garlic burbs were observed in a post-harvest storage warehouse. Several Stemphylium isolates were isolated from diseased leaves from the field and from garlic bulb samples and were analyzed in terms of homology and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 based on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egion and calmodulin gene sequence. The results showed that among three Stemphylium species identified, S. vesicarium is most prevalent on onion and garlic. S. eturmiunum was for the first time identified as pathogenic to onion and garlic, whereas S. solani was found in welsh onion crops. Although these isolates grew well at the optimum temperature at 20 - 25℃, they could also grow at low temperatures of 10 - 15℃. A pathogenicity test was conducted using S. vesicarium and S. eturmiunum on onion and garlic respectively. These results showed that two Stemphylium species were highly virulent with cross pathogenicity in onion and garlic.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support the biological characterization of Stemphylium species in Korea. Moreover, further research will need to develop fungicide application strategies for onion and garlic crops.

멕시코와 네팔도입 고추 유전자원의 두 가지 점무늬병에 대한 저항성 (Resistance to Two Leaf Spot Diseases of Pepper Genetic Resources Introduced from Mexico and Nepal)

  • 조은형;김정훈;전수경;이지선;김병수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3권
    • /
    • pp.43-51
    • /
    • 2005
  • 멕시코와 네팔에서 수집한 고추 유전자원 50점과 이병성 및 저항성 대조품종에 Stemphylium solani와 S. lycopersici 의 혼합접종으로 흰별무늬병(gray leaf spot)에 대한 저항성을 검정하고, 살균제를 살포하여 회복시킨 다음 다시 Xanthomonas campestris pv. vesicatoria를 접종하여 더뎅이병에 대한 저항성을 검정하였다 더뎅이병에는 KC866, KC872, KC902, KC905이 이미 알려진 KC43, KC47, KC220, KC319, KC320, KC380 등과 함께 저항성으로 나타났다. 더뎅이병, bacterial spot)에는 KC897이 이미 저항성으로 보고된 KC177(PI163192)보다 발병이 적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어서 네팔에서 도입된 KC889, KC896, KC898이 저항성으로 나타났다.

  • PDF

고추 흰가루병에 대한 저항성 재료 탐색 (A Search for Sources of Resistance to Powdery Mildew (Leveillula taurica (Lév.) Arn) in Pepper (Capsicum spp.))

  • 이옥희;황희숙;김주영;한정혜;유영신;김병수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9권1호
    • /
    • pp.7-11
    • /
    • 2001
  • 1998-1999년도에 걸쳐 총 238점의 고추 유전자원에 대하여 흰가루병에 대한 저항성을 검정한 결과, Capsicum baccatum에 속하는 KC604, 605, 606, 608, C. chinense에 속하는 KC616, C. pubescens에 속하는 KC638, 640, 641, 642, 643, 644가 발병하지 않을 정도로 고도의 저항성을 나타내었으며 C. annuum에 속하는 KC47-1(PI244670), KC319-1, KC545, KC320는 경미하게 발병하여 다소 저항성으로 나타났다. KC47-1, KC319-1, KC320은 Stemphylium spp.에 의한 고추 잎점무늬병에 저항성이며, 그 중 KC 47-1은 더뎅이병(Xanthomonas campestris pv. vesicatoria)에도 저항성이어서 이들 병에 복합저항성 육성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고추 잎점무늬병.역병 복합 저항성 계통육성 (Breeding Lines with Multiple Resistance to both Gray Leaf Spot and Phytophthora Blight in Pepper(Capsicum annuum L.))

  • 김주영;한정혜;황희숙;김병수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8권
    • /
    • pp.19-25
    • /
    • 2000
  • 1999년도에는 KC47${\times}$KCB14, KC220${\times}$KC268 조합의 $F_2$ 및 여교배 집단과 KC47-1${\times}$KC263(AC2258), KC47-1${\times}$KCB13-2-1, KC47-1${\times}$KCB13-4-2 조합의 $F_3$집단에 대하여 잎점무늬병과 역병을 차례로 접종, 복합저항성 개체를 선발하여 차세대를 육성하였다. 2000년도에는 같은 조합의 $F_3$$F_4$세대에 대하여 잎점무늬병과 역병에 대한 저항성을 검정하여 복합 저항성인 개체로부터 차세대 종자를 확보하였다. 선발세대의 경과에 따라 두 가지 병에 대한 저항성에서 현저한 진전이 관찰되었다.

  • PDF

벼 이삭마름병해에 관여하는 균류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Fungi Associated with Ear Blight of Rice)

  • 강창식;김장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01-107
    • /
    • 1972
  • 벼 이삭마름병해에 관여하는 균류와 이들 균류에 대한 약제별 살균효과를 알고저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일반 장려품종 및 통일품종의 변색된 벼알에서 균류를 조사한 결과 일반 장려품종에서는 Pyricularia oryzae, Helminthosporium oryzae, Epicoccum purpurascens, Curvularia lunata, Cladosporium cladosporoides, Alternaria tenuis균 등이 주로 많이 검출되었고 통일 품종에서는 Trichoconis padwickii, Fusarium dimerum, Nigrospora oryzae균 등이 많이 검출되었다. 2. 벼 이삭도열병에 이병된 이 삭의 각 부위로부터 균류를 조사한 결과 이삭목에서는 Pyricularia oryzae, Nigrospora oryzae, Curvularia lunata 균등이 이삭가지에서는 Helminthosporium eryzae, Trichoconis padwickii, Stemphylium sp., Cladosporium cladosporoides, Alternaria tenuis균 등이 많이 검출되었으며 벼알에서는 Phema spp. 균이 주로 많이 검출되었다. 3. 각종 균류에 이병된 이삭가지 및 벼 알에서의 Difolatan 수화제, Dithane M-45 수화제의 살균효과를 실내에서 시험한 결과 Difolatan 800배 액은 Helminthosporium oryzae, Cladosporium cladosporoides, Alternaria tenuis 균 등에 살균효과가 좋았고 Dithane M-45 500배 액은 Pyricularia oryzae, Trichoconis padwickii, Curvularia lunate 균등에 비교적 효과가 좋았다. 4. 약제 방제시기는 유숙기살포구, 출수개화기살포구의 순으로 효과가 좋았으며 약제별 방제효과는 본 시험포장에 이삭도열병 발생이 많았던 관계로 도열병 방제 약제인 히노산유제, 가스가민유제가 Difolatan 수화제, Dithane M-45 수화제에 비하여 다소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독도의 벼과식물로부터 분리된 Enterobacter spp.에 의한 고추의 흰별무늬병에 대한 전신유도저항성 (Induced of Systemic Resistance against Gray Leaf Spot in Pepper by Enterobacter Species Isolated from Family Gramineae Plants in Dok-do)

  • 손진수;마릴린 수마요;강현욱;김병수;권덕기;김사열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35-143
    • /
    • 2012
  • 본 연구는 독도에 자생하는 개밀의 야생군락지의 근권으로부터 분리된 균 중 식물의 생장을 촉진하고, 식물의 병원균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Enterobacter 속 세균에 초점을 맞추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개밀 근권으로부터 총124종의 세균을 분리하였으며 16S rDNA sequence를 이용하여 부분 동정한 결과, 13종의 Enterobacter 속 세균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리된 Enterobacter 속 세균들의 식물생장촉진 근권 세균으로서의 특징을 밝히기 위해 식물의 생장호르몬인 auxin의 생산능력과 난용성인의 가용능, siderophore 생산능을 측정하였다. 식물생장호르몬인 auxin을 형성하는 균주12종, 난용성 인을 분해할 수 있는 균주 12종, siderophore를 형성할 수 있는 균주 11종이 각각 확인되었다. 분리된 균주들은 대표적인 식용작물인 고추에 직접 적용하여 식물의 생장촉진 효과와 병원균에 대한 전신유도저항성을 확인하였다. 그 중 KUDC5002와 KUDC5013의 경우 식물의 생장을 촉진시키는 균주로 확인되었다. 특히 KUDC5007, KUDC5008 및 KUDC5010의 경우, 지금까지 보고된 바 없었던 고추 유묘의 흰별무늬병에 대한 식물의 저항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어 새로운 생물학적 제재로서 매우 가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