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m number

검색결과 1,375건 처리시간 0.027초

우리나라 식용유지 자원식물의 상관 및 유전력 (Heritability and Correlation Coefficients in Edible Oil Crops in Korea)

  • 이상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7
    • /
    • 1988
  • This experiment were carried out to study the heritability, genotypic, pheno-typic and environmental correlation in four edible oil crops. Heritabilities of flowering date, maturing date, plant height and weight of 1, 000 grains in rape were high. A high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flowering date and maturing date, plant hight and ear length, number of pods per ear and flowering date, maturing date and plant hight, The number of seed per pod showed also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flowering or maturing date as well a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weight of 1, 000 grains and plant height or ear length inrapeseed, respectively. Heritabilities of maturing date, length of stem with eapsule and number of seed per capsule were high, in sesame. Genotypic correlation between plant height and length of stem with capsule, length of stem with capsule and number of capsule per plant, number of capsule per plant and weight of 1, 000 grains, weight of 1, 000 grains and yield were highy positive in sesame. Heritabilities of flowering date, length of main stem, weight of 100 grains and number of shells per square meter in peanut were high, There was positive genotypic correlation between length of main stem and yield, number of shells per quare meter and matured seed ratio, number of shells per square meter and yield, 100 grains weight and yield. On the other h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appeared between flowering date and yield. Heritabilities of days to flowering, stem length, stem diameter and weight of 1, 000 grains in perila were high. There was positive genotypic correlation between stem length and stem diameter, number of pods per plant, stem weight etc, between number of internodes and number of pods per plant, stem weight, number of valid branches and number of pods plant as well, respectively. While,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number of valid branches and weight of 1, 000 grains, between number of pods per plant and weight of 1, 000 grains.

  • PDF

들깨 수량에 관여하는 주요 형질간의 상관관계와 그들 형질이 수량에 미치는 영향 (Relationship Between The Yield Components and Their Influence on the Yield of Perilla)

  • 유익상;최병한;오성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1권
    • /
    • pp.99-103
    • /
    • 1972
  • 들깨 수량에 영향하는 형질을 정확히 알기 위하여 형질상호간의 상관관계와 경로계수를 분석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경장은 경식경, 화방수, 경중과 유효분지수는 화방수와 높은 정의 상관을 그리고 유효분지수는 1,000입중과 화방수는 1,000입중과 각각 높은 부의 상관을 보였다. 2. 수량에 직접적으로 영향하는 형질은 경중, 화방수 1,000입중 유효분지수, 경직경등이다. 3. 간접적 효과는 경장대 경중, 유효분지수 대 화방수, 화방수 대 경중간에 높은 값을 보였다. 4. 들깨의 수량은 경장이 길고 유효분지수 및 화방수가 많으며 1,000입중과 경중이 무거운것일수록 수량이 많다는 사실을 알수 있다.

  • PDF

강원도지방(江原道地方) 소나무 동령임분(同齡林分)의 최대임목본수(最大林木本數) 및 고사(枯死)모델 (Maximum Stem Number and Mortality Model for Even-Aged Pinus Densiflora Stand in Kangwon-Province, Korea)

  • 이우균;서정호;배상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5호
    • /
    • pp.634-644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ha당 단면적이 최대가 되는 임목본수가 그 임분이 유지시킬 수 있는 최대임목본수라는 Sterba의 이론을 강원도지방 소나무의 임시표본점 조사자료에 적용시켜 강원도지방 소나무 동령임분의 최대임목본수 및 고사모델을 유도하였다. ha당 임목본수와 우세목수고를 변수로 하여 평균흉고직경을 추정하는 평균흉고직경식의 통계적 신뢰성은 매우 높았으며, ha당 임목본수 및 우세목수고에 따른 흉고직경생장의 변이를 잘 설명해 주었다. 또한, 이 평균흉고직경식으로부터 유도되는 ha당 흉고단면적식은 ha당 임목본수의 변화에 따른 ha당 흉고단면적의 변화를 우세목수고별로 잘 나타내 주었다. ha당 흉고단면적이 최대가 되는 임목본수로 부터 우세목수고 및 흉고직경별로 유도되는 최대임목본수곡선은 임목본수 관측치의 상부를 지나면서 임분의 최대임목본수를 잘 나타내 주었다. 또한, 평균흉고직경에 대한 최대임목본수식으로부터 추정되는 최대임분밀도지수는 임분의 최대잠재밀도를 나타내는 지수로 활용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최대임목본수식 및 최대임분밀도지수식은 최대밀도에 도달한 임분자료를 근거로 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밀도를 나타내는 임분으로부터 조사된 자료를 근거로 한다는 특징이 있으며, 이를 이용하면 고사량추정, 최대잠재생산량추정 둥 임분밀도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마련할 수 있다.

  • PDF

고려인삼과 미국삼의 형질특성 및 형질간 상관관계 (The Characteristics and Correlation Coefficients of Characters in Panax ginseng, Violet-stem Variant and Yellow. berry Variant, and Panax quinquefolium.)

  • 최광태;안상득;박규진;양덕조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7권2호
    • /
    • pp.133-147
    • /
    • 198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new ginseng varieties. The two variants (violet-stem variant and yellow-berry variant) of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and American ginseng (Panax quinquefolium L.) of one to four-year were used for this study. All of the characteristics, such as leaf length, leaf width, petiol length, number of leaves per plant, number of leaflets per plants, stem diameter, stem length, number of stems per plant, root length, primary root length, root diameter, root weight were determined and correlations among them were estimated.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Leaf length, petiol length, number of leaves per plant, and number of leaflets per plant of Panax ginseng, violet-stem variant and yellow-berry variant, were larger than those of Panax quinquefolium at all of the plant ages, while leaf width was wider in Panax quinquefolium. 2. The length of stem of Panax quinquefolium was shorter than that of Panax ginseng, and the frequency of multi-stem plants at 4-year-old ginseng was larger in violet-stem variant than in Panax quinquefolium and yellow-berry variant. 3. In the characteristics of ginseng root, the primary root length of Panax ginseng, violet-stem variant and yellow-berry variant, were less than that of Panax quinquefolium, while root weight, root diameter, and umber of secondary root related to yield were larger in Panax ginseng. 4. The root weight per plant related to the yield had positive and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stem diameter, leaf length, leaf length, leaf width, number of compound leaves and leaflets in Panax ginseng and Panax quinguefolium. 5. The root weight related to the wield of ginseng had been influenced to stem diameter, leaf length, and leaf width directly, and number of compound leaves and leaflets indirectly. 6. The number, total area and activity of stomate per mm2 of Panax quinquefolium were more, larger and stronger than those of Panax ginseng.

  • PDF

인삼에 있어 단경 및 다경개체의 잠아형태별 수량 및 홍삼 품질 비교 (Comparison of Yield and Quality of Red Ginseng on Bud type of Single and Multiple stem Plant in Panax ginseng C. A. Meyer)

  • 정찬문;신주식;정열영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0권3호
    • /
    • pp.132-136
    • /
    • 2006
  • 인삼에 있어 다경 및 잠아 발생형태가 원료삼 및 홍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지하부 특성 및 품질요인을 조사하였다. 단경개체는 1-3개의 잠아를 갖는 형태이고 2경개체는 2-3개 그리고 3경개체는 3개의 잠아를 갖는 형태이었다. 또한 단경개체는 62.9% 그리고 2경 이상의 다경개체는 37.1%의 분포를 나타냈다. 원료삼의 등급은 단경개체에 비하여 다경개체가 될 수록 저하하였고 단경개체와 다경개체 모두 잠아수가 많은 개체에서 등급이 낮았다. 경수에 따른 홍삼수율은 대체로 30% 내외로 단경이나 다경개체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본삼수율은 다경개체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홍삼 등급은 다경개체에 비해 단경개체가 양호하였으며 다경개체는 양삼과 잡삼이 많았다. 그리고 잠아수가 많을수록 홍삼등급은 저하하였다.

한국재래생강(韓國在來生薑)에 있어서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의 유전변이(遺傳變異), 상관(相關) 및 경로분석(經路分析) (Genetic Variability, Correlation and Path Analysis for Yield Components in Korea Domestic Ginger)

  • 장원석;김정선;최재을
    • 농업과학연구
    • /
    • 제24권1호
    • /
    • pp.6-10
    • /
    • 1997
  • 초장, 엽수, 경수, 경직경, 엽장, 엽폭, 근경생산량을 평가하기위하여 수집 한 94 clone은 경수와 근경생산량에서 유용한 변이를 보여주었다. 초장, 엽수, 엽장, 엽폭, 경직경은 약간의 변이가 관찰되었다. 작물학적 특성간의 단순상관은 근경생산량과 정의 상관을 보여주었고 엽수, 초장, 경직경은 근경생산량과 고도의 정의 상관을 보여주었다. 경로계수분석을 통하여 경수, 엽수, 경직경순으로 근경생산에 직접효과를 준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엽수를 통한 초장의 간접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고, 엽수를 통한 엽장, 엽폭과 경직경을 통한 초장, 엽장, 엽폭에서도 간접효과가 관찰되었다. 선발의 관점에서 볼 때, 초장, 엽수, 경수와 같은 특성들은 좋은 유전형을 선발하기에 적합하다고 여겨진다.

  • PDF

토천궁(土川芎)의 재식밀도(栽植密度)가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Planting Density on the Growth and Yield of Ligusticum chuanxiong Hort.)

  • 김충국;임대준;유홍섭;이승택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6-31
    • /
    • 1994
  • 토천궁(土川芎)의 재식밀도(栽植密度)가 생육(生育) 및 수양(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 분석(分析)하여 재배기술개선(栽培技術改善)을 위한 자료(資料)로 이용(利用)하고자 시험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주당(株當) 경수(莖數)와 엽수(葉數), 주경분지수(株莖分枝數)는 밀식(密植)할 수록 감소되었지만 단위면적당 경수(莖數)와 엽수(葉數), 주경분지수(株莖分枝數)는 증가되었다. 2. 경장(莖長)은 밀식(密植)할 수록 커졌으나 $50{\times}10cm$에서는 약간 작아졌으며 경태(莖太)는 재식밀도간(栽植密度間)에 큰 차이가 없었고 지표면에서 1차분지(分枝)까지의 높이는 밀식(密植)할 수록 높아졌으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3. 지상부(地上部)와 지하부(地下部) 생육특성(生育特性)은 $m^2$당 경수(莖數)가 많으면 주당(株當) 엽수(葉數)와 주경분지수(株莖分枝數)가 적어지고, $m^2$당 경수(莖數)와 엽수(葉數), 주경분지수(株莖分枝數)가 많아지면 지표면에 서의 1차분지착생(分枝着生)높이가 높아졌다. 4. 10a당 근경수양(根莖收量)은 주당(株當) 경수(莖數)와 엽수(葉數)와는 유의적인 부(負)의 상관(相關)이 인정되었으며, $m^2$당 경수(莖數)와 엽수(葉數), 주경분지수(株莖分枝數)와는 유의적인 정(正)의 상관(相關)이 인정되었다. 5. 개체당(個體當) 근경중(根莖重)과 세근중(細根重)은 밀식(密植)할 수록 작아졌으며 10a당 근경(根莖)과 세근(細根)의 수양(收量)은 오히려 밀식(密植)할 수록 증가되었다.

  • PDF

경흔적 수에 의한 수삼의 연근판별 (Identification of the Age of Fresh Ginseng Root According to Number of Stem Vestiges in Rhizome)

  • 이장호;안인옥;김영창;방경환;현동윤;이성식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1권3호
    • /
    • pp.142-146
    • /
    • 2007
  • 본 시험은 경흔적수 측정법으로 수삼의 연근을 판별하기 위하여, 4, 5, 6년근의 경흔적수 발생실태를 조사하였다. 경흔적수를 이용한 연근판별법은 3년근 경흔적부터 식별가능하여 경흔적수에 2를 더하면 년근판별이 가능하였다. 년근별 경흔적수가 4년생에서 2개 발생율이 89.5%, 5년생에서 3개 발생율이 79.7% 6년생에서 4개 발생율이 46.3%로, 4, 5년근의 판별은 가능하였으나, 6년근 판별은 정확도가 낮아 보조자료로 활용함이 타당하였다. 경흔적을 이용한 연근 판별의 제한요인으로 뇌두파손과 다경발생임을 확인하였고, 뇌두파손율과 다경발생율은 년근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되었다.

수종의 한국산 자작나무과 식물에 있어서 뿌리와 줄기의 이기목부의 비교해부 (Comparative Anatomy of the Secondary Xylem in the Root and Stem of Some Korean Betulaceae)

  • 소웅영;한경식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8권2호
    • /
    • pp.127-140
    • /
    • 1985
  •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자작나무과 식물 5속 6종의 뿌리와 줄기의 이기목부를 비교해부학적으로 연구하였다. 뿌리와 줄기의 이기목부에 있어서 해부학적 특징은 도관 및 섬유의 직경은 줄기에 비해 뿌리에서 더 넓은 반면 단위면적당 도관 및 섬유의 분포수는 뿌리에서 더 적었으며, 도관요소의 길이는 줄기에서 더 긴 반면 섬유의 길이는 뿌리에서 더 길었다. 천공판상의 횡대수는 뿌리보다 줄기에서 더 많았고, 단위면적당 방사조직의 수는 뿌리에서 더 많았다.

  • PDF

경(줄기)흔을 중심으로 한 재배인삼의 연근판별 (Identification of Age of Cultivated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based on Stem Vestige of Rhizome)

  • 이장호;이명구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0권1호
    • /
    • pp.72-77
    • /
    • 199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an identification method age for cultivated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based on counting the stem vestige at rhizome. Weight, diameters of body and lateral roots, and ratios of those diameters were overlapped with those of other ages, so these are not enough as a criterion for identification of ginseng age. Since the stem vestige at rhizome was remained clearly from the 3rd-year age, root age can be the number of stem vestige +2. The number of stem vestige should be counted at the one side of rhizome with abundant vestige for multi stewed plant. It is necessary that the number of year-ring in root is investigated for rhizome damaged plant, but it must be considered that the new year-ring can be shown clearly after around loth of June. All dormant roots had damaged rhizome by some reas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