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tic and dynamic figure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1초

NMR 분광법의 원리와 지구환경과학에의 응용 (Theory of NMR Spectoscopy and Its Application in Geoenvironmental Sciences)

  • 김영규
    • 암석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33-245
    • /
    • 2001
  • NMR분광법은 현재 화학에서 빼 놓을 수 없는 아주 중요한 연구방법의 하나지만 또한 지질학의 연구에 있어서도 초전도 자석의 발달과 함께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지질학에 있어서 NMR의 연구 대상 원소로는 광물의 주 구성 성분이며 여러 가지 구조적 정보를 갖고 있는 $^{29}Si$, $^{27}Al$ 등이 유용하게 사용되며 이들은 각각 다른 여러 정보들을 제공한다. 이 밖에도 $^{23}Na$와 같은 알칼리금속과 더불어 다양한 핵종들이 지질학에서 NMR로 연구되고 있다. NMR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면의 연구들이 가능한데 NMR은 XRD, TEM보다도 더욱 작은 미시적인 (분자적 관점에서의) 구조 연구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Al, Si 질서-무질서, 산소원자와의 배위수, 인근의 다른 양이온의 분포 등을 포함한 구조적 정보를 알 수 있다. 또한 NMR의 또 다른 장점은 정적인 미시 구조뿐만 아니라 분자들의 움직임(dynamics)에 대한 정보도 알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동적인 정보는 기존의 어느 방법으로도 알기 어려웠던 부분이고 NMR을 통하여 분자들의 상호 교환 속도와 활성화 에너지 등에 대한 폭 넓은 이해가 가능할 수 있다. 이 밖에 NMR을 이용하여 비정질 물질에 대한 구조와 더불어 지표면에서 산출되는 유기물에 대한 성분 및 구조도 아주 중요하게 연구될 수 있는 분야이다.

  • PDF

경기도 지역 초, 중, 고등학교의 외관 색채계획 경향에 관한 연구 - 현상설계 당선안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endency of Exterior Color Design for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Gyeonggi-do - Focused on the Prizewinner of the Competitions -)

  • 부윤선;윤희철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5권2호
    • /
    • pp.53-66
    • /
    • 2006
  • Recent color plans in school buildings are made by experts through public offerings for prizes for designs etc in relatively many cases. But it is necessary to review if such color plans are actually well conform to students' emotions and what trend the color plans made as such hav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and analyzed the exterior colors of the school buildings planned by public offerings for prizes for designs and reviewed the result comparing to the color preferences of students that had already been studied to figure out the differences between existing theories and the realities. And it was examined what differences were existing in the trends of color plans and color images examined between each of school levels. The result of the study compared to theories is as follows. First, when the color distributions were reviewed for each school level,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overall distributions moved from Y category to B category and whereas warm colors were more widely distributed and the number of colors were greater compared to cold colors in case of elementary schools, the distributions of warm colors gradually decreased as school level moves to high schools. Second, the color use distribu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revealed to be more diversified th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also the number of colors used was 9.5 in average in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were similar to each other with average 5.86 colors in middle schools and 6.33 colors in high schools showing a little differences in color use distributions among school levels of elementary schools,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Third, in case of elementary schools, except main colors, both of subsidiary colors and emphasizing colors had the distributions of warm colors of R, YR, Y categories and cold colors of B, PB categories and this is also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existing research results indicating that low grade students prefor for warm colors and high grade students prefer for cold colors. Fourth, in case of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although the distributions of warm colors decreased, the distributions of warm colors and cold colors were revealed to be similar. This is considered to be consistent with the existing research results indicating that girl students prefer for warm colors even if their ages go up. Fifth, as for the images of main colors, subsidiary colors and emphasizing colors resulted from the comparisons by solid color Image Scales and adjective Image Scales, first, in case of main colors, natural images or clear images appeared the most in all of elementary schools,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indicating that basically calmness is emphasized with soft images rather than hard images and static images rather than dynamic images. Also, in case of subsidiary colors or emphasizing colors, cheerful images or splendid images are also seen to decrease as school level goes from elementary schools to high schools in adjective Image Scales and this is considered to reflect the color sentiment differences between children and juveniles based on ages.

  • PDF

데크놀로지 미학으로서의 사진 (The Photography as Technological Aesthetics)

  • 진동선
    • 조형예술학연구
    • /
    • 제11권
    • /
    • pp.221-249
    • /
    • 2007
  • 오늘날 사진은 새로운 테크놀로지 형태인 디지털 이미지 프로세싱 앞에 심각한 정체성 위기와 존재론적 딜레마에 봉착했다. 사진은 그동안 우리에게 세상을 새롭게 바라보는 방법을 제공하고, 또 우리 스스로 주변을 돌아볼 수 있는 자각을 주었으며, 나아가 삶의 리얼리티의 본질을 재인식시키는데 크게 기여했다. 그런 사진의 기능이 오늘날 무력화되고 있다.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출현으로 사진은 더 이상 사실의 기록, 결백의 증거, 그리고 리얼리티의 거울로서 간주되지 않는다. 오히려 유희의 도구 혹은 우리가 사는 세계의 환영과 기쁨을 창조하는 수단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출현은 이제 비로소 사진의 존재론적 당위성과 정체성의 문제를 냉정히 돌아보게 한다. 본 논고는 전자시뮬레이션 시대 새로운 이미지 생산의 첨병으로 등장한 디지털 이미지의 존재론적 측면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인류의 첫 번째 프로그램 미학으로 말해지는 사진과 첨단테크놀로지 미학으로 말해지는 디지털 이미지와의 관계를 기계미학적 관점에서 살펴보려 한다. 특히 올드미디어(사진)와 뉴미디어(디지털) 사이에 갈등 구조를 자본주의 역사관과 물질적 관점에서 살펴보려 한다. 본 논고는 이를 위해 우선 사진의 정체성 위기와 존재론적 위협이 어디로부터 발현된 것인지를 살피고, 또 지금까지 생산된 매체 미학적 담론들이 어떤 비평적 쟁점 속에 놓였는지를 살피고자 한다. 특히 사진이 강점으로 여긴 존재론적 인덱스와 생성론적 텍스트에 주목하여 사진 재현의 기반인 사실적 기록, 명료한 증거, 그리고 기술적 정교성이 어떤 기계미학의 층위에 있는지를 디지털 이미지를 대척에 두고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최근 일고 있는 사진의 죽음, 사진의 종말에 관한 담론들이 심각한 오류가 있음을 지적하고자 한다. 올드 테크놀로지로서 사진이 당면한 위기, 즉 현재 사진이 안고 있는 존재론적 위기(컴퓨터화 된 디지털 이미지 출현) 그리고 인식론적 위기(윤리, 지식, 가치관 등 급격한 문화 변동)는 매체미학의 본질상 당연한 위기임을 정당화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이 같은 주장을 위하여 역사적으로 사진술이 어떤 생성과 소멸의 과정을 거쳤으며, 또 어떻게 지금의 디지털 이미지에 이르게 되었는지 테크놀로지 미학 안에서 자동생성주의로서 색인 이미지, 디지털 코드로서 수치 이미지의 생성, 기원, 본질 그리고 정체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특히 본 논고는 논지의 정당성을 위해 다양한 매체미학자들의 주의주장 및 이론적 쟁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 분석틀을 통해서 테크놀로지 미학의 근간인 기계, 기술성을 바탕으로 한 사진의 생성적 측면과 문화 안에서 변형된 프로그램에 의해 창조되는 디지털 이미지의 변형적 측면의 본질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렇게 사진과 디지털 이미지의 양자의 비교를 통해서 테크놀로지 미학 안에서 올드 미디어(사진)와 뉴 미디어(디지털 이미지)의 자리바꿈은 정당한 것이라는 사실과, 이런 역설적인 구조야말로 기계, 기술을 바탕으로 삼는 테크놀로지 매체의 숙명성이라는 사실을 강조함으로써 논문의 정당성을 강화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본 논고는 하나의 얼굴, 하나의 정체성으로 자리할 수 없다는 사실을 역사로서 확증하고, 또 사진에서 부동의 존재론과 인식론의 모습은 애초부터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지적함으로써 오늘날 제기되고 있는 '사진의 죽음,' '사진의 종말'은 쟁점의 정당성에도 불구하고 매체미학의 역사를 간과하는 오도된 비평이라는 사실을 결론으로 도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