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tic adsorption experiment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8초

낮은 분압의 VOCs의 흡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OCS Adsorption at Low Pressure)

  • 송헌택;강성원;민병훈;서성섭
    • 청정기술
    • /
    • 제9권4호
    • /
    • pp.153-161
    • /
    • 2003
  • 벤젠과 톨루엔을 활성탄에 흡착하는 공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실험을 수행하였다. 정적흡착실험은 온도와 압력의 변화에 따른 벤젠과 톨루엔의 흡착특성을 연구하였다. 흡착제로는 활성탄 12~20mesh와 20~40mesh를 사용하였으며 흡착질로는 벤젠, 톨루엔, 질소를 사용하였다. 실험결과는 Langmuir isotherm으로 fittimg하였고, 온도의존성을 계산하였고, 흡착열과 흡착상수를 얻었다. 이성분 정적흡착실험에서는 Langmuir isotherm parameter들이 Extended Langmuir isotherm에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지를 확인하였다. 이때 사용한 실험기법은 기존의 방법에서처럼 흡착 전후의 기상의 몰분율을 측정하여 실험하는 방법이 아닌 압력변화반을 측정하는 정용적법에 기초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동적흡착실험올 수행하여 실험결과를 전사모사로부터 얻어진 결과와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공정에서 흡착조건을 결정할 수 있는 기본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었다.

  • PDF

표면 처리 방법에 따른 타이타늄의 미세 표면 거칠기, 표면 젖음성, fibronectin 흡착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ARIOUS SURFACE TREATMENTS FOR TITANIUM ON SURFACE MICRO ROUGHNESS, STATIC WETTABILITY, FIBRONECTIN ADSORPTION)

  • 신화섭;김영수;신상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443-454
    • /
    • 2006
  • Purpose: This study aims to get the fundamental data which is necessary to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implant surface treatment hereafter, based on the understanding the surface structure and properties of titanium which is suitable for the absorption of initial tissue fluid by researching effects of additional surface treatments fir sandblasted with large git and acid-etched(SLA) titanium on surface micro-roughness, static wettability, fibronectin adsorption Materials and Method: In the Control groups, the commercial pure titanium disks which is 10mm in diameter and 2mm in thickness were treated with HCI after sandblasting with 50$\mu$m $Al_2O_3$. The experiment groups were made an experiment each by being treated with 1) 22.5% nitric acid according to SLA+ASTM F86 protocol, 2) SLA+30% peroxide, 3) SLA+NaOH, 4) SLA+ Oxalic acid, and 5) SLA+600$^{\circ}C$ heating. In each group, the value of Ra and RMS which are the gauges of surface roughness was measured, surface wettability was measured by analyzing with Sessile drop method, and fibronectin adsorption was measured with immunological assay. The significance of each group was verified by (SPSS, ver.10.0 SPSS Inc.) Kruskal-Wallis Test. (α=0.05) And the correlation significance between Surface micro-roughness and surface wettability. surface roughness and fibronectin adsorption, and surface wettability and fibronectin adsorption was tested by Spearman's correlation analysis. Result: All measure group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rface micro-roughness, surface wettability, and fibronectin adsorption. (p<0.05) There was no significance in correlation among the surface micro-roughness, surface wettability, and fibronectin adsorption. (p>0.05) Conclusion: Surface micro-roughness and surface wettability rarely affected the absorption of initial tissue fluid on the surface of titanium.

하수슬러지 활성탄의 벤젠 흡착특성 (A Study on the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Benzene using Activated Carbon from Sewage Sludge)

  • 김종문;정찬교;이택룡;민병훈;김형진;권영식
    • 청정기술
    • /
    • 제15권4호
    • /
    • pp.265-27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하수슬러지에서 만든 활성탄을 이용하여 벤젠에 대한 정지(static)흡착실험을 수행하였다. 7.999 kPa에 이르는 압력 범위 내에서 온도 조건을 변화시켜 가며 303.15, 318.15, 333.15 K에서 흡착실험을 진행하였다. 등온흡착곡선은 Langmuir isotherm, Freundlich isotherm, Toth isotherm을 적용하여 비교하였다. 벤젠의 흡착량(q)을 fitting한 결과 Langmuir isotherm과 Toth isotherm으로 fitting한 등온흡착 곡선의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Langmuir isotherm의 $q_{max}$ 값을 이용하여 흡착제의 흡착량을 비교하였다. 또한, 하수슬러지 활성탄과 상용활성탄의 세공 발달 여부를 비교하기 위해 SEM image를 관찰하였다. SEM image 관찰 결과, 국내외 상용활성탄(DARCO A.C., SPG-100 A.C.)이 하수슬러지 활성탄에 비해 세공발달 정도가 우수하며, 세공발달 정도가 우수한 국내외 상용활성탄(DARCO A.C., SPG-100 A.C.)이 하수슬러지 활성탄에 비해 벤젠흡착량(q)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실온조건인 303.15K에서 하수슬러지의 최대 벤젠흡착량($q_{max}$)은 국내 상용활성탄(SPG-100 A.C.)의 최대 벤젠흡착량($q_{max}$)과 대등한 수치로 나타났으므로 하수슬러지 활성탄의 상용화 가능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폐벌목 활성탄의 벤젠 흡착특성 (A Study on the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Benzene Using Activated Carbon from Waste Timber)

  • 김종문;정찬교;민병훈
    • 청정기술
    • /
    • 제19권4호
    • /
    • pp.430-43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대표적으로 버려지는 폐벌목 중 잣나무에서 만든 활성탄을 이용하여 벤젠에 대한 정지(static)흡착 실험을 수행하였다. 7.999 kPa에 이르는 압력 범위 내에서 온도 조건을 변화시켜 가며 303.15, 318.15, 333.15 K에서 흡착실험을 진행하였다. 등온흡착곡선은 Langmuir 등온흡착식, Freundlich 등온흡착식, Toth 등온흡착식을 적용하여 비교하였다. 벤젠의 흡착량(q)을 측정한 결과 Langmuir 등온흡착식과 Toth 등온흡착식으로 적용한 등온흡착곡선의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Langmuir 등온흡착식의 $q_{max}$ 값을 이용하여 흡착제의 흡착량을 비교하였다. 또한, 폐벌목 활성탄과 상용활성탄의 세공 발달 여부를 비교하기 위해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사진을 관찰하였다. SEM 사진 관찰 결과, 폐벌목 활성탄이 국내 외 상용활성탄(DARCO A.C., SPG-100 A.C.)에 비해 세공발달 정도가 우수하며, 벤젠흡착량(q)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폐벌목 활성탄의 상용화 가능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다성분 혼합 기체로부터 수소 분리를 위한 4-bed PSA 실험과 전산 모사 (Experiment and Simulation of 4-bed PSA for Hydrogen Separation from Multi-Component Mixture Gases)

  • 양세일;박주용;장성철;최도영;김성현;최대기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6권2호
    • /
    • pp.414-422
    • /
    • 2008
  • 활성탄과 제올라이트에 대한 $H_2$, $CH_4$, CO, $CO_2$에 대한 흡착평형 실험을 정적부피법에 의해 수행하였다. 활성탄과 제올라트를 이용한 4탑 PSA 공정을 통하여 다성분 혼합기체($H_2$ 72.2%, $CH_4$ 4.06%, CO 2.03%, $CO_2$ 21.6%)로부터 수소를 분리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흡착평형 실험결과 각각의 기체들에 대하여 dual-site langmuir(DSL) 모델이 잘 예측을 하였으며, 활성탄과 제올라이트의 충전비율에 따른 파과특성을 살펴본 결과 최적의 활성탄 층의 높이는 전체 탑 길이 80 cm 중 55 cm로 나타났다. PSA 공정에서 공정 변수인 총 주기시간($T_c$), 세정기체 공급압력차(${\Delta}P$) 그리고 흡착압력이 공정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과 전산모사를 통해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Imidazoline 양이온 계면활성제의 계면 특성 (Interfacial Properties of Imidazoline Cationic Surfactant)

  • 김지성;임종주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7권1호
    • /
    • pp.38-45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섬유 유연제, 분산제, 대전방지제, 표백 활성제, 유화제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이미다졸린 양이온 계면활성제의 계면 특성을 측정하였다. 계면활성제의 CMC는 약 $6{\times}10^{-5}mol/L$ 이고 CMC에서의 표면장력은 약 32 mN/m이며, 또한 이미다졸린 계면활성제의 표면장력은 계면활성제 농도에 관계없이 비교적 일정하고, 일정한 계면활성제 농도 조건 하에서 수용액의 pH가 증가하면 표면장력은 감소하였다. 1 wt% 계면활성제 수용액과 n-dodecane 오일 사이의 계면장력은 약 0.01 mN/m이고 평형에 도달하는 시간은 pH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하였다. $30{\sim}60^{\circ}C$ 의 온도 범위에서 계면활성제 수용액은 pH에 관계없이 마이셀 수용액의 $L_1$만을 형성하였고 계면활성제-물-오일로 이루어진 3성분 시스템은 lower phase 마이크로에멀젼을 포함한 2상 영역만이 존재하였다. 1 wt% 계면활성제 수용액의 거품 안정성은 수용액의 pH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며, 이러한 결과는 pH가 증가함에 따라 1 wt% 계면활성제의 표면장력이 감소하는 결과와 일관된 경향을 나타내었다. QCM(quartz crystal microbalance) 측정에 의하면 계면활성제 흡착은 농도 증가에 따라 증가하며, pH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또한 마찰 계수 측정으로부터 수용액의 pH가 알칼리 조건 하에서 이미다졸린 양이온 계면활성제의 섬유 유연 효과가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