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ndardization.

검색결과 4,988건 처리시간 0.03초

4차 산업시대 국가별 표준과 동향 (A Trend Analysis of Global Standards for the Era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 신완선;이성훈;김지원;조지훈;박수진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611-628
    • /
    • 2017
  • Purpose: This paper deals with establishing Korean national standardization policy through a comparative trend analysis of national standardization strategies and each nation's policy environment. It first investigates the standardization strategies including Korea, the United States, Japan and Germany which is currently lead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Methods: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national standardization policies that synthesize the determinants of national standard activities using the STEEP, PEST analysis used for policy environment analysis, and National Standardization Model Canvas(N-STD Model Canvas) applying business model canvas. Results: This study confirms the reasoning and operating system of establishing national standard strategy reflecting the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situation and the direction of national standard strategy.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mmarized the policy decision factors necessary for establishing the national standard policy and suggested the management plan in the midpoint of view.

국가 재난관리체계와 표준화의 필요성 (Disaster Management System and a Necessity of Standardization in Korea)

  • 류지협;김우혁;황의진
    • 한국재난관리표준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35-43
    • /
    • 2008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재난관리체계를 고찰하고 국제 재난관리표준화 동향, 선진국의 재난관리표준화 활동 및 국내 재난관리표준화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국제표준화기구(ISO)는 ISO/TC 223 Societal Security을 통하여 국제 재난관리규격을 개발하고 있으며, 미국, 영국 및 일본과 같은 선진국들은 자국의 재난관리표준을 국제 표준화 하기위해 경쟁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국가 재난관리표준이 제정되지 않아 재난관리 책임 기관별로 별도의 표준화를 추진하고 이에 따른 재난관리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재난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고 국제적인 재난관리표준화에 적극 대용하기 위해서 우리나라에서도 국가재난관리표준의 제정과 재난관리시스템의 표준화가 구축되어야 한다.

  • PDF

아세안 대상 ITS 표준화 협력 서비스분야 연구 (A Study on ITS Standardization Cooperation Service Field Study for ASEAN Countries)

  • 이상운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151-161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ITS 분야의 한국의 표준화 역량을 점검하였으며, 아시안 국가들의 ITS 표준화 참여 및 서비스 현황과 한국과의 협력 희망정도를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은 ITS 표준화 분야에서 국제적인 역량을 인정받고 있으며, 싱가포르를 제외한 아세안 대부분의 국가들은 ITS 표준화 참여도와 서비스 도입이 미진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아세안 대부분의 나라들이 한국과 ITS 표준화 협력을 희망하고 있으며, 우선적으로 ITS 표준화의 기반인 ITS 시스템 아키텍처 구축을 선호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표준화 도입 서비스분야로는 아세안 국가 간 물류운송 효율성 제고 등을 고려하여 화물 운송 분야가 우선 적용 서비스 분야로 제시되었다.

기록관리 표준화 전략의 재구축 방안 (Rebuilding Standardization Strategies for Records Management)

  • 설문원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81-96
    • /
    • 2009
  • 오랫동안 점진적이고 장기적으로 표준화를 추진해온 기록관리 선진국들과 달리 우리는 기록관리 전 영역에 걸친 표준화를 단기간에 성취하기 위해 종합적 표준화 전략을 수립 추진해왔다. 그러나 현재 기록관리 표준은 품질 및 실효성 측면에서 비판이 제기되고 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장기적이고 전략적인 표준화 정책이 요구된다. 이 연구는 표준화 전략 재구축을 위한 모형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현재 표준화 전략을 평가하고, 국내 GIS나 전자상거래 분야, 호주 빅토리아 주의 표준화 전략을 분석하였다. 전략 재구축 모형에는 전략목표, 재구축 원칙과 함께 표준화 대상 체계화, 우선순위 결정, 표준화 절차 정비, 표준화 정책 및 조직 정비 등 4개 영역별 정비과제를 포함하였다.

Offshore Oil & Gas산업에서의 장비 국제표준화 추진에 관한 접근방법 및 추진 사례 (Approach and case study on promotion of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f equipment in offshore oil & gas industry)

  • 한성종;서영균;정정열;박범
    • 플랜트 저널
    • /
    • 제16권1호
    • /
    • pp.28-33
    • /
    • 2020
  • 본 연구는 Offshore Oil & Gas 산업에서의 장비 및 벌크자재 국제표준화 추진에 대한 접근방법에 대한 연구로 국제표준화를 위한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표준화 장비의 우선순위 선정 및 1단계 표준화 결과를 설명한다. 현재 국제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표준화활동은 크게 3개의 활동들로 구분할 수 있으며 첫째로 국내 대형 조선3사가 주도하여 진행하는 벌크자재 국제표준화활동, 둘째로 IOGP의 주도하에 진행되는 JIP33 장비표준화 활동 및 마지막으로 선급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UEJIP 장비표준화활동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연구는 Offshore Oil & Gas산업에서 적용되는 각종 국제표준을 분류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진행되고 있는 선급 주도의 장비 표준화 활동 및 실제 프로젝트의 적용사례를 소개한다.

신성장산업 활성화를 위한 국가 주도 기술 표준화 추진 방안 비교: 한국과 미국의 클라우드 컴퓨팅을 중심으로 (Technology Standardization Efforts of Government for Emerging Industry: The Case of Cloud Computing in South Korea and US)

  • 김홍범;신정우;박경국
    • 기술혁신연구
    • /
    • 제23권3호
    • /
    • pp.87-114
    • /
    • 2015
  • 치열한 글로벌 경쟁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하여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하려는 국가적인 노력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국가 주도 기술 표준화는 대표적인 방안 중 하나로 다양한 국가에서 추진되고 있다. 기술 표준화 추진 방안에 있어 각 국가별로 고유한 특징이 있으나, 미국과 같이 최근에는 기존 형태와는 다른 방식으로 기술 표준화를 추진하기 위한 노력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새롭게 부상하는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국가 주도로 추진하는 기술 표준화 방안에 대하여 살펴본다. 클라우드 컴퓨팅을 표준화 조직과 프로세스 관점으로 사례 분석하였고, 이와 관련한 미국과 한국의 국가 주도 표준화 노력을 비교하여 두 국가의 기술 표준화 추진 방안에 대하여 분석한다. 이를 통해 그간 알려져 있던 국가별 표준화 방안의 변화상을 살펴보고, 기술 표준화 정책을 통해 신성장산업의 활성화를 추진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융합 R&D 부문의 표준정책 이해 및 정책 방향성 고찰 (Understanding and the Orientation of the Standardization Policy in the Field of R&D Convergence)

  • 황광선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572-603
    • /
    • 2016
  • 본 연구는 일반적인 현상으로서의 표준정책을 과학기술 연구를 수행하는 과학자들의 입장에서 이해하고, 과학자들의 인식 및 행태 속에 투영 된 표준정책을 질적으로 탐구한다. (1) 융합 R&D 부문에서 표준정책의 방향성과 (2) 그러한 표준화 방향성을 위해 정부의 역할과 융합 R&D 연구자들의 역할을 탐색하였다. 15명의 융합 R&D 과학자들과의 인터뷰 분석 결과, 융합 R&D에서의 표준화는 분명 일반 R&D에서의 그것과는 차이가 있었고, 융합 R&D현장에서의 표준화 고민이 복합적이고 다양하다는 점을 엿볼 수 있었다. 융합 R&D와 표준의 관계에서 융합기술결과에 대한 낮은 예측가능성으로 인해, 기술의 경쟁력 및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R&D를 일정기간 수행한 다음, 기술의 표준화 업무가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인 융합 R&D와 표준의 관계로 해석해 볼 수 있었다. 우리나라의 국가표준정책이 취해야 할 정책 방향성은 "민간(시장) 주도의 표준 리드"로 압축된다. 정부는 공공부문에 대한 것은 정부 주도의 표준화를 진행하고 민간 부문에 대한 것은 최대한 민간 자율에 맡겨 자연스럽게 글로벌 표준을 선도하도록 환경을 조성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이렇듯, 국가표준정책에서 정부의 역할은 "조력자"의 역할로 요약된다.

APT의 지역 표준화기구 운영과 현안 이슈 (Operation and Current Issues of Asia-Pacific Regional Standardization Organization)

  • 김영태;손홍;박기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0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129-134
    • /
    • 2000
  •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정보통신 관련 업무를 관장하고 있는 APT(아·태 전기통신협의체)는 1998년 ASTAP(APT 표준화 프로그램)이라는 지역 표준화기구를 설려 및 운영하고 있다. 지역 표준화기구로서의 ASTAP은 매년 1회씩 정기적 포럼을 통해 표준화 활동 방향 등을 정립하고 있으며, 2000년 6월에 개최된 제3차 ASTAP Forum을 통해서는 보다 실질적인 결과물 창출과 산업체의 참여 활성화 유도를 위한 조직의 개편이 단행된 바 있다. APT의 이러한 지역 표준화기구 운영은 효율적 정보통신표준화를 위한 지역 국가간의 긴밀한 협력 체계를 유도하고, 나아가 정보통신표준화 활동을 통한 지역의 공동 이익 및 세계 시장에서의 위상 강화를 추구해 나아갈 수 있는 기반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아·태 지역 표준화기구(ASTAP)의 운영 방안과 현안 이슈들을 분석함으로써, 우리 나라가 동 지역에서의 정보통신표준화 활동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역점을 두었다.

  • PDF

원격조종항공기 드론 조종기모드 표준화 연구 : 드론 조종기모드 선호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Standardization on the Flight Controller Mode in Remotely Piloted Aircraft Drone : Focused on Drone Controller Mode Preference)

  • 박원태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69-75
    • /
    • 2019
  • Remotely Piloted Aircraft (RPA) controls as a type of unmanned aerial vehicle (drone) is growing rapidly and its flight controller stick disposition is required standardization. We should standardize RPA drone flight control disposition because the flight pilot of RPA is hard to be trained so the flight controller stick differences impairs safety and wastes time and effort of flight controller industry. So this study researches the on-going standardization of RPA drone flight control disposition i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Also this paper analyzes and researches of expert about RPA drone flight controller function and application of flight control mode. I accomplished expert research about standardization plan of unmanned flight control mode and confirm the necessity. Nowadays mode1 and 2 are mostly used in Korea so I carried out preference investigation for two modes. There were 4 preferences choices of RPA drone control mode necessity (importance) and recommendation of standardization modes. They answered that necessity of standardization is important considering pilot training, flight safety and positive development of drone industry. The result of standardization mode preference is that they prefer mode 2 (drone maker 86%, training facilities and research facilities 58%, government bureau 60%). Overall preference result shows that mode 1 24%, mode 1&2 16%, mode 2 60%. So they preferred mode 2 by 60%. The differences between two modes are the direction of throttle and pitch. Direction of throttle and pitch operate opposite way. They prefer mode 2 because mode 2 has similarities of manned flight control mod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showed the necessity of standardization and flight control preference in a quantitative way. It will help drone standardization in related industries and development direction near future.

미래 e-러닝 시나리오에 기반을 둔 e-러닝 표준화 로드맵 (E-learning Standardization Roadmap Based on the Future E-learning Scenarios)

  • 최현종;조용상;박웅규;김태영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27-38
    • /
    • 2007
  • 이 연구는 미래 e-러닝 모습에 기반을 둔 e-러닝 표준화 로드맵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선 IT 기술, 교육, 표준화 기관 전문가로 구성된 e-러닝 표준화 위원회를 구성하였고, 이 위원회는 본 연구의 진행 과정과 연구물을 검토해 주었다. 연구의 첫 단계로 국내외 e-러닝 현황과 관련 연구를 조사한 다음, 이를 바탕으로 e-러닝 시나리오를 먼저 작성하였다. e-러닝 시나리오는 탑다운 방식의 로드맵 개발 방법론을 채택하여 2015년의 초중등 교육 대학 교육, 평생 교육 세 개의 e-러닝 시나리오를 작성하였다. 두 번째 단계로는 이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현재 e-러닝 표준화 요소와의 차이 분석을 통해 e-러닝 표준화 로드맵 v2를 작성하였다. 작성된 미래 e-러닝 시나리오와 e-러닝 표준화 로드맵은 교사, 교육 전문가 등 e-러닝 수혜자들이 미래의 e-러닝을 대비하고, e-러닝 표준화를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