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ndard DEA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7초

충남지역 밤나무 재배 임가의 경영 효율성 분석 (Management Efficiency of Chestnut-Cultivating Households in Chungnam Province)

  • 원현규;전준헌;유병일;이성연;이정민;지동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3호
    • /
    • pp.390-397
    • /
    • 2013
  • 본 연구는 비모수추정 방법인 자료포락 기법을 이용하여 청양, 공주, 부여 등 충남지역의 밤나무 재배임가를 대상으로 경영효율성을 평가하였다. 분석자료는 2012년 3월부터 10월까지 실시한 '|밤나무 경영에 관한 실태조사'결과 중에서 20개 임가의 투입요소(관리비, 수확비, 재료비, 간접비, 재배면적)와 산출요소(조수입액)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DEA 기법중 CCR 모형과 BCC 모형을 이용하여 기술효율성, 순수기술효율성, 규모효율성을 분석하였고 비효율성 임가의 개선방안도 제시하였다. 추가적으로 DEA 분석결과의 검증을 위하여 기술효율성과 표준진단표 결과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기술효율성은 평균값이 0.667로 전체적으로 비효율적으로 분석되었고 그 원인은 순수기술효율성이 평균 0.944, 규모효율성이 평균 0.703으로 나타나 재배기술적인 측면에서는 순수기술효율성이 높았지만 규모의 효율성에서는 비효율성이 존재하였다. 효율성이 1인 임가는 기술효율성 6개, 순수기술효율성 13개, 규모효율성이 6개 임가로 나타났고, 3개 모두 1인 임가는 6개로 나타났다. 표준진단표 점수와 비교한 결과 80점이상 고득점을 기록한 임가는 5개로 나타났고 이 중 기술효율성이 1로 분석된 임가는 3개로 나타났다. 또한 기술효율성과 표준진단표의 최저점수와 최고점수를 기록한 임가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것은 DEA를 이용한 경영 효율성 평가가 표준진단표와 함께 현장에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DEA 모형을 이용한 주업과 겸업 표고재배 임가의 경영효율성 비교 분석 (Management Efficiency of the Full-time and Part-time Oak Mushroom Farms using DEA models)

  • 이성연;전준헌;원현규;이정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4호
    • /
    • pp.639-645
    • /
    • 2014
  • 본 연구는 비모수추정 방법인 자료포락 기법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표고버섯 재배 임가를 대상으로 경영효율성을 평가하였다. 조사자료는 2013년 3월부터 10월까지 실시한 '표고버섯 경영 표준진단표' 적용 결과 중에서 20개 임가의 투입요소와 산출요소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DEA 기법중 CCR 모형과 BCC 모형을 이용하여 기술효율성, 순수기술효율성, 규모효율성을 분석하였고 비효율성 임가의 개선방안도 제시하였다. 추가적으로 주업과 겸업재배임가의 경영효율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표고버섯 재배 임가의 전체기술효율성은 평균 0.655로 나타나 전체적으로 비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비효율성의 원인은 순수기술효율성(0.830)보다는 규모효율성(0.747)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효율성 값이 1인 표고버섯 재배임가는 DMU2, DMU5, DMU6, DMU8, DMU10, DMU15, DMU20으로 7개 임가로 나타났다. 그리고 DMU7 재배임가의 경영효율성 진단 결과, 투입요소 중 신규접종비와 조성비에서 준거집단과 비교해 볼 때 과도하게 투입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업과 겸업임가의 효율성 비교 결과 겸업임가가 상대적으로 비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그 원인으로 규모효율성이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우리나라 서비스부문의 혁신효율성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alyzing Innovation Efficiency in Service Sector of Korea)

  • 최정인;권성훈;송성환;황석원
    • 산업공학
    • /
    • 제22권4호
    • /
    • pp.336-346
    • /
    • 2009
  • One of primary assumptions on DEA is that all DMUs for evaluation should be homogeneous. In comparative analysis among DMUs with relative efficiency measurement, it should be evaluated under identical conditions by ruling out external environmental influences. In this study, a measurement of innovation efficiency using the three-stage approach is performed. The approach employs DEA to measure relative efficiency and Tobit regressions to control external variables affecting innovation activity. The approach applied to firms in Korean Innovation Survey: Service Sector 2003 and 2006. Final efficiency scores of the approach represent net efficiency of the innovation. This study found that there is a increasing on technical efficiency of third stage, and it has difference with first stage significantly. Besides, a decrease on standard deviation of third stage is found. It means DMUs biased lower due to unfavorable condition and ones biased higher due to favorable condition are fallen into an identical operating environment through the approach. A measurement of net efficiency, excluding external effects, ensures the homogeneity of DMUs so that improves the reliability in terms of its analysis result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 direction and to be a valuable reference to further evaluation of innovation performance in Korean service sector.

강합성 철도교량의 주행안전성 및 승차감 평가 (Evaluation for the Running Safety and Ride Comfort of Steel Composite Railway Bridge)

  • 김정훈;강영종;김대혁;한상윤;차경렬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1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814-2820
    • /
    • 2011
  • Railway bridge, contact of vehicle needs to design considering the running safety about the running train load of the railway bridge, ride comfort and dynamic safety. Also, upper structure of the railway bridge has to satisfy design standard about moving load(train). So, the railway bridge has to satisfy the requirement for vertical acceleration of the bridge deck,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bridge and face distortion, which is suggested railway design standard in Korea(2011.5.). In this study, it was investigated and evaluated to the running safety about the running train load of the railway bridge, ride comfort and dynamic safety with railway design standard for steel composite(Steel Box Girder) railway bridge considering KTX, freight train and standard train load.

  • PDF

다분류 SVM을 이용한 DEA기반 벤처기업 효율성등급 예측모형 (The Prediction of DEA based Efficiency Rating for Venture Business Using Multi-class SVM)

  • 박지영;홍태호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19권2호
    • /
    • pp.139-155
    • /
    • 2009
  • For the last few decades, many studies have tried to explore and unveil venture companies' success factors and unique features in order to identify the sources of such companies' competitive advantages over their rivals. Such venture companies have shown tendency to give high returns for investors generally making the best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For this reason, many venture companies are keen on attracting avid investors' attention. Investors generally make their investment decisions by carefully examining the evaluation criteria of the alternatives. To them, credit rating information provided by international rating agencies, such as Standard and Poor's, Moody's and Fitch is crucial source as to such pivotal concerns as companies stability, growth, and risk status. But these types of information are generated only for the companies issuing corporate bonds, not venture companie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for evaluating venture businesses by presenting our recent empirical results using financial data of Korean venture companies listed on KOSDAQ in Korea exchange. In addition, this paper used multi-class SVM for the prediction of DEA-based efficiency rating for venture businesses, which was derived from our proposed method. Our approach sheds light on ways to locate efficient companies generating high level of profits. Above all, in determining effective ways to evaluate a venture firm's efficiency,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major contributing factors of such efficiency. Therefore, this paper is constructed on the basis of following two ideas to classify which companies are more efficient venture companies: i) making DEA based multi-class rating for sample companies and ii) developing multi-class SVM-based efficiency prediction model for classifying all companies. First, the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is a non-parametric multiple input-output efficiency technique that measures the relative efficiency of decision making units(DMUs) using a linear programming based model. It is non-parametric because it requires no assumption on the shape or parameters of the underlying production function. DEA has been already widely applied for evaluating the relative efficiency of DMUs. Recently, a number of DEA based studies have evaluated the efficiency of various types of companies, such as internet companies and venture companies. It has been also applied to corporate credit ratings. In this study we utilized DEA for sorting venture companies by efficiency based ratings. The Support Vector Machine(SVM), on the other hand, is a popular technique for solving data classification problems. In this paper, we employed SVM to classify the efficiency ratings in IT venture compani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DEA. The SVM method was first developed by Vapnik (1995). As one of many machine learning techniques, SVM is based on a statistical theory. Thus far, the method has shown good performances especially in generalizing capacity in classification tasks, resulting in numerous applications in many areas of business, SVM is basically the algorithm that finds the maximum margin hyperplane, which is the maximum separation between classes. According to this method, support vectors are the closest to the maximum margin hyperplane. If it is impossible to classify, we can use the kernel function. In the case of nonlinear class boundaries, we can transform the inputs into a high-dimensional feature space, This is the original input space and is mapped into a high-dimensional dot-product space. Many studies applied SVM to the prediction of bankruptcy, the forecast a financial time series, and the problem of estimating credit rating, In this study we employed SVM for developing data mining-based efficiency prediction model. We used the Gaussian radial function as a kernel function of SVM. In multi-class SVM, we adopted one-against-one approach between binary classification method and two all-together methods, proposed by Weston and Watkins(1999) and Crammer and Singer(2000), respectively. In this research, we used corporate information of 154 companies listed on KOSDAQ market in Korea exchange. We obtained companies' financial information of 2005 from the KIS(Korea Information Service, Inc.). Using this data, we made multi-class rating with DEA efficiency and built multi-class prediction model based data mining. Among three manners of multi-classification, the hit ratio of the Weston and Watkins method is the best in the test data set. In multi classification problems as efficiency ratings of venture business, it is very useful for investors to know the class with errors, one class difference, when it is difficult to find out the accurate class in the actual market. So we presented accuracy results within 1-class errors, and the Weston and Watkins method showed 85.7% accuracy in our test samples. We conclude that the DEA based multi-class approach in venture business generates more information than the binary classification problem, notwithstanding its efficiency level. We believe this model can help investors in decision making as it provides a reliably tool to evaluate venture companies in the financial domain. For the future research, we perceive the need to enhance such areas as the variable selection process, the parameter selection of kernel function, the generalization, and the sample size of multi-class.

국내 손해보험회사의 효율성 및 결정요인에 대한 Static and Dynamic 분석 (A Study on the Efficiency and Determinants of Static and Dynamic in Korean property casualty insurance Company)

  • 김태혁;박춘광;김병철
    • 재무관리연구
    • /
    • 제25권4호
    • /
    • pp.183-212
    • /
    • 2008
  • 본 논문은 $2001{\sim}2005$사업 연도까지 5년간 패널자료로 국내 10개 손해보험회사를 대상으로 비모수적 방법인 DEA-CCR, BCC 모형과 DEA/Window 모형을 이용하여 정태적, 동태적 효율성 변화를 살펴보고, 효율성 결정요인과 관련 다양한 방법으로 비교하기 위해 가중최소자승추정법(GLS), 토빗 모형(Tobit model), 고정효과 모형(Fixed effect model), 확률효과 모형(Random effect model)을 이용한 정태적 패널 모형, 일반화적률추정법(GMM)을 이용한 동태적 패널모형으로 살펴 보았다. 첫째, 정태적 효율성 분석결과 평균 기술효율성은 15.5%의 비효율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비효율성은 규모비효율성에 더 큰 원인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안정성 여부를 판단하기위한 동태적 효율성 분석결과 기간에 따라 각 손해보험회사별로 표준편차, LDP, LDY 값이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셋째, 기술효율성 결정요인 분석 결과 고정효과 모형의 설명력이 다른 모형들보다 높았고, GMM은 모든 결정요인들에 대해 유의적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술효율성 증대를 위해서는 토지, 건물같은 부동산 비중 축소를 통한 수입보험료 증대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차분진화 알고리즘을 적용한 터널 지보패턴 최적화 (Optimization of tunnel support patterns using DEA)

  • 강경남;안준상;김병찬;송기일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211-224
    • /
    • 2018
  • 터널의 지보패턴 설계는 터널의 안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터널에 작용하는 다양한 하중들을 적절히 고려하여야 한다. 국내에서는 프로젝트에 따라 암반분류법을 기반으로 표준 지보패턴을 정의하고 있으며, 시공 시 터널거동을 고려하여 적절히 수정되어야 한다고 기술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내공변위제어법, 토압, 록볼트의 축력 및 숏크리트의 모멘트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지보패턴을 최적화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차분진화알고리즘(DEA)을 적용하여 터널 심도에 따라 록볼트의 길이 및 간격, 숏크리트의 두께를 최적화하였으며, 도출된 결과를 철도터널의 표준지보패턴(3등급)과 비교하였다. 천층지반에서 록볼트의 길이는 표준지보패턴보다는 짧아질 수 있으며, 간격은 넓어질 수 있다. 터널의 심도가 깊어질수록 숏크리트의 두께는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숏크리트의 두께는 심도가 깊어질수록 표준지보패턴보다는 두꺼워져야 터널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l_{2}O_{3}$ Crystal Capacitor를 이용한 유전손실 측정 (Dielectric Loss Tangent Measurement Using the $Al_{2}O_{3}$ Crystal Capacitor)

  • 김광수;허인성;이종찬;박대희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2년도 제4회 영호남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9-122
    • /
    • 2002
  • The standard capacitor must have not only precise value of the capacitance but also the basic properties of low dielectric loss tangent. In the reforming process of capacitors, the dielectric loss tangent must be also reformed. In this paper, the development of standard capacitors of 10 and 100pF for the dielectric loss tangent standard using $Al_{2}O_{3}$ Crystal and the measurement of dielectric loss tangent are discussed. The dielectric loss tangent depends upon the surface between electrode and dielectric in capacitor. With using the Electric Field Simulator, precise design values of electrode are simulated. For the purpose of measuring capacitance effect just in the dielectric, 3-Terminal and 4-Terminal Pair configuration are applied respectively at the electrode and the connector for the measuring equipment. As stated above method, the standard capacitors of 10 and l00pF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dielectric loss tangent standard using the $Al_{2}O_{3}$ Crystal are made with low dielectric loss tangent less than 10-4.

  • PDF

Structural damage detection using a multi-stage improved differential evolution algorithm (Numerical and experimental)

  • Seyedpoor, Seyed Mohammad;Norouzi, Eshagh;Ghasemi, Sara
    • Smart Structures and Systems
    • /
    • 제21권2호
    • /
    • pp.235-248
    • /
    • 2018
  • An efficient method utilizing the multi-stage improved differential evolution algorithm (MSIDEA) as an optimization solver is presented here to detect the multiple-damage of structural systems. Natural frequency changes of a structure are considered as a criterion for damage occurrence. The structural damage detection problem is first transmuted into a standard optimization problem dealing with continuous variables, and then the MSIDEA is utilized to solve the optimization problem for finding the site and severity of structural damage. In order to assess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for damage identification, an experimental study and two numerical examples with considering measurement noise are considered. All the results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for accurately determining the site and severity of multiple-damage. Also, the performance of the MSIDEA for damage detection compared to the standard differential evolution algorithm (DEA) is confirmed by test examples.

자료포락분석(DEA)을 이용한 사회복지관의 효율성 평가에 관한 연구 : 부산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Utilizing DEA in Efficiency Evaluation of Social Welfare Agencies)

  • 손광훈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2권
    • /
    • pp.117-141
    • /
    • 2003
  • 본 연구는 부산지역 사회복지관의 투입 요소와 산출 요소간의 효율성의 관계를 분석한 연구이다. 사회복지관의 효율성 평가를 위해 비영리기관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자료포락분석(DEA)을 사용하였으며, 자료는 2001년 부산광역시에 제출한 사업보고 자료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4가지 다른 모델을 설정하여 부산지역 전체 45개 기관을 전수조사 하였다. 4가지 모델을 보면, 전 모델의 산출은 연간 프로그램 이용자의 연인원을 중심으로 투입의 변수에 따라 모델을 구분하였다. 모델 1; 투입에 사회복지사의 인력 수와 사회복지사 인건비, 모델 2; 투입에 총 직원 수, 연간 총 운영비, 모델 3; 투입에 총 직원 수, 연간 자원봉사자 수, 운영기간, 모델 4; 투입에 총 직원 수, 연간 자원봉사자 수, 운영기간, 연간 총 운영비를 설정하여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체 45개 사회복지관에서 35-55%만이 상대적으로 효율적인 사회복지관으로 평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모델별로 평균 효율치를 살펴보면, 모델 1은 .8735, 모델 2는 .7048, 모델 3은 .4941, 모델4는 .5097로 나타났다. (2) 모든 기관이 효율이 가장 높은 효율점수 1이 되기 위해서 어떻게 변화되어야 하는가를 산출물을 기준으로 하여 모델 1, 2, 3, 4로서 살펴보았다. 사회복지기관에서 주요한 투입변수인 인력과 예산부분에 있어서 어느 정도의 변화가 필요한지를 모델 1, 2, 3, 4를 전체적으로 살펴본 결과 인력과 예산부분에 있어서 변화가 필요한 기관이 전체 45곳 중 41곳이었으며 이 기관은 모두 현재보다 인력이나 예산부분의 증가를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도 인력적인 부분과 예산부분의 증가가 모두 필요한 기관은 보강이 필요한 41기관 중 60%에 해당하는 25곳이었으며, 예산의 증액만 요청되는 기관은 6곳, 인력의 보강만 필요한 기관은 10곳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산지역의 대부분의 사회복지기관이 현재의 산출량에 대해 가장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개별기관별로 예산과 인력의 보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