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ndard Bedroom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17초

한중일의 조도기준 비교분석 : 주택조도기준을 중심으로 (Comparative Analysis on Recommended Levels of Illumination in Korea·China·Japan: Focused on Recommended Levels of Illumination for Housing)

  • 송대선;강혜경;조영미;안옥희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8권4호
    • /
    • pp.1-8
    • /
    • 2014
  • This study compared the recommended levels of illumination for housing. KS Recommended Levels of Illumination (KS A 3011) in Korea, Recommended Levels of Illumination (GB 50034-2004) in China and Recommended Levels of Illumination (JIS Z 9110) in Japan are compared. The results are as below. First, recommended levels of illumination used in Korea China Japan are suggested by different locations and activities. However, classification for application scope is set differently. There are 10 areas for classification used in Korea, 5 areas in China, and 13 areas in China. When medium levels for classification are included as classification level, total of 15 areas are used for classification in China. Second, when considering there are 15 areas of application scope in China for recommended levels of illumination, there are 7 areas that are commonly used in Korea China Japan. 7 areas include stadium, factories, hospitals, office, shopping center, houses and hospitals. Third, working surface is considered as the height for recommended levels of illumination in Korea China Japan. Korea and Japan consider all working positions, standing and sitting position, when deciding the height. However, China only considers the standing position. Fourth, application scope for recommended levels of illumination for housing are classified in 16 areas in Korea, 5 in China and 18 in Japan. Thus, the application scope for recommended levels of illumination in housing in Korea is similar to Japan. However, there are only 5 areas used in China such as living room, bedroom, dining room, kitchen and sanitary room. Fifth, recommended levels of illumination is classified in 3 levels such as Lowest-Moderate-Highest while China and Japan only have standard recommended levels of illumination. Sixth, when observing recommended levels of illumination by type of activities, Japan classified the activities in greatest detail followed by Korea and then China. Seventh, Recommended levels of illumination differs by each country.

긴급치료격리병동의 평면유형 (A study on the Types of Urgent Isolation Ward)

  • 이현진;권순정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8권4호
    • /
    • pp.61-69
    • /
    • 2022
  • Purpose: In response to the rapid spread of COVID-19 in 2020, the government supported facilities and equipment through the 'Urgent Isolation Ward Expansion Project'. Design and remodeling of efficient negative pressure isolation facilities had to be done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the performance gap between facilities was very large because the types of hospitals and wards of existing medical facilities were diverse. In order to secure the stability of isolation wards between medical facilities and reduce the facility gap, guidelines for planning isolation wards considering the diversity of each hospital should be appropriately presented. In consideration of these points,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future remodeling guidelines for each plan type of the negative pressure isolation ward first. Methods: We analyzed the plans before and after the change of 13 case hospitals that performed the urgent care bed expansion project for COVID-19 confirmed patients. Before the remodel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facility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type of corridor, the location of the nursing station, and the location of the elevator. After remodeling, the flow of medical staff and patients, the flow of entry and exit of clean and contaminated items, and the space of negative pressure and non-negative pressure areas. Results: The ward type was divid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 corridor type and room arrangement: double loaded corridor type with two side wards, race track type with one side ward, and race track type with two side wards. Based on these three types, the standard floor plan type of the isolation ward was proposed in terms of the location of the elevator bank and Nurse station. Implications: When the existing general ward is converted into a negative pressure isolation ward, this study can be a basic data to present customized guidelines for each ward type.

열탈착/저온농축-GC/MS에 의한 실내공기 중 휘발성 유기화합물 정량용 기체상 및 액체상 표준물질 첨가한 고체 흡착관의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gas and liquid phase standard spiked solid sorbent tubes for the determina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indoor air by TD-GC/MS)

  • 임현우;정성운;강철호;박진숙;박병무;최용욱
    • 분석과학
    • /
    • 제26권4호
    • /
    • pp.287-297
    • /
    • 2013
  • 본 연구는 고체 흡착관과 TD-GC/MS를 이용하여 7종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에 대한 열탈착 분석조건을 최적화하였고, 기체상 및 액상 표준물질 첨가한 고체 흡착관을 사용하여 얻어진 검정곡선으로부터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비교 정량하였다. 대응표본 t-검정 결과, 스타일렌을 제외하고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o-, m- 및 p-자일렌을 포함한 6종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에 대해서는 액상 표준물질에 의한 표준 흡착관법이 기체상에 의해 제작된 표준 흡착관법이 유의수준 (${\alpha}=0.01$)에서 일치한 반면, 스타일렌에 대해서는 기체상 및 액체상으로 작성된 검정곡선에서 감응인자가 15.6% 차이가 발생하였는데 이것은 두방법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였다. 따라서 BTEX를 포함한 스타일렌을 정량하는데 오차를 감소시키기 위해 액상 표준물질을 이용한 고체상 흡착관법을 사용하였다. 바로 그 점이 이 논문의 핵심내용임. 즉, 고가의 표준가스 대신에 저가의 액상 표준물질을 사용하여 정량하더라도 스타일렌 이외에 거의 동일한 값을 나타내기 때문임. 액체상 표준물법 조건에서 7종의 VOCs의 회수율은 $100{\pm}5%$, 재현성은 0.3~7.7%, 검출한계는 o-자일렌의 $0.01{\mu}g/m^3$에서부터 톨루엔의 $0.27{\mu}g/m^3$까지 범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최적화된 분석방법을 신축 기숙사, 원룸 아파트 및 신차의 실내공기 중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정량하는데 적용하였다.

동궐도에 보이는 궁궐정원의 조영수법 (A Study on Design Techniques of Palace Gardens presented in Donggwoldo)

  • 진상철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6-37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동궐도" 에 담겨있는 모든 정원 요소를 각 원(院)별로 나누어 세밀하게 살펴봄으로써 궁궐정원의 조영특성 및 수법을 파악 하여 전통계승을 통해 현대 정원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동궐도에 나타나 있는 궁궐정원의 모습을 정원 요소별로 관찰하여 특성을 파악하는 방법을 택하였다. 동궐도에 나타나는 정원 요소로 괴석과 연못, 건물과 마당, 경계와 영역, 수목 등이 있으며. 공간에서 확인되는 각 구성요소의 배치특성을 파악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입기의 경우 동궐도내의 원(院)은 명당 내부의 최적지를 선택하여 각각의 대지를 기존의 지형과 건물의 용도에 따라 적극적으로 자연을 변형하는 방식을 선택하였다. 식재는 궁궐을 조성하면서 기존 수목을 그대로 활용하여 원칙적인 식재 방법이나 수종의 선택 기준은 확인되지 않았다. 대칭식재를 한 점이 특징으로, 이러한 대칭식재 방법은 음양 표시의 작정관(作庭觀)으로 보인다. 수종의 선정에 있어서는 상징적 의미가 강한 수종을 선택하여 식재하였다. 지당은 궁궐정원에서 대부분 관념적, 추상적 형태를 상징하는 원형으로 나타나며, 중락(衆樂)의 장소로 빈번하게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정자를 만드는 형식은 일정하지 않았고, 형태적으로는 삼각, 사각, 오각, 육각, 팔각 등에서 십자모양에 이르기까지의 다양하게 조성되었다. 괴석과 석함은 주로 침전 주위와 동궁처소 그리고 후원에 배치되어 있었다. 화계(花階)는 주로 침전의 후면 및 동궁전, 공주의 처소 등 주로 부녀자의 거처에 나타난다. 취병(翠屛)은 자연과 단절하는 장벽이 아니라 선택적 인입을 하는 체와 같이 자연의 기를 안도하는 의도로 설치하였다. 우리나라의 정원은 구성방식에 있어서 서구나 중국의 경우와 매우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전반적으로 조선시대 궁궐정원은 형식에 있어서는 엄격한 유가적 규범이 적용되었고, 작정 수법은 신선사상을 많이 차용하였다. 그러면서도 소탈한 측면을 가지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