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nd Inventory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1초

Modelling Growth and Yield for Intensively Managed Forests

  • Burkhart, Harold E.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4권3호
    • /
    • pp.119-126
    • /
    • 2008
  • Growth and yield prediction methods, ranging from whole-stand models to individual-tree models, have been developed for forest types managed for wood production. The resultant models are used for a host of purposes including inventory updating, management planning, evaluation of silvicultural alternatives, and harvest scheduling. Because of the large investment in developing growth and yield models for improved genotypes and silvicultural practices for loblolly pine (Pinus taeda) in the Southern United States, this region serves to illustrate approaches for modelling intensively managed forests. Analytical methods and computing power generally do not restrict development of reliable growth and yield models. However, long-term empirical observations on stand development, which are time consuming and expensive to obtain, often limit modelling efforts. Given that growth and yield models are used to project present volumes and to evaluate alternative treatment effects, data of both the inventory type and the experimental type are needed. Data for developing stand simulators for loblolly pine plantations have been obtained from a combination of permanent plots in operational forest stands and silvicultural experiments; these data collection efforts are described and summarized. Modelling is essential for integrating and synthesizing diverse information, identifying knowledge gaps, and making informed decisions. The questions being posed today are more complex than in the past, thus further accentuating the need for comprehensive models for stand development.

  • PDF

국가 온실가스 통계 산정을 위한 임목축적 재계산 (Recalculation of Forest Growing Stock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y)

  • 이선정;임종수;손영모;김래현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485-492
    • /
    • 2016
  • For reporting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y in forest sector, the forest growing stock from the National Forest Inventory (NFI) system has used as activity data sources. The National Forest Inventory system was changed from rotation system by province to annual system by 5 years across the country. The forest growing stocks based on the new inventory system produced a different trend compared to the previous estimations. This study was implemented to recalculate previous forest growing stocks for time series consistency at a national level. The recalculation of forest growing stock was conducted in an overlap approach by the IPCC guideline. In order to support the more consistency data, we used calibration factors between applied stand volumes in 1985 and 2012,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time series of recalculated forest growing stock was to be consistency using the overlap approach and the calibration factor with the lower middle/middle site index. According to the applied overlap period, however, we will recalculate activity data using more complete data from national forest inventory system.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와 임상도를 이용한 경기지역 산림의 임분재적 공간분포 추정 (Estimat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Forest Stand Volume in Gyeonggi Province using National Forest Inventory Data and Forest Type Map)

  • 김은숙;김경민;김종찬;이승호;김성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6호
    • /
    • pp.827-835
    • /
    • 2010
  • 기후변화협약 대응을 위한 산림의 임목축적량과 변화량 탐지의 측면에서 국가산림자원조사는 신뢰성있는 산림통계량을 산출하기 위한 기반자료로서의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정보들이 아직 행정구역단위 통계로만 산출되고 있어 산림 통계량의 공간적 분포와 같은 정보를 제공해주지는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이용해 임상특성별 임분재적 추정모델을 개발하고, 임상도와 통합하여 임분재적의 공간분포를 추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산림의 임분재적 추정모델 개발을 위해 연구대상지에 포함된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표본점별 임분재적과 흉고단면적합을 산출하고, 표본점의 임황정보(수종, 경급, 영급, 소밀도)를 모델개발에 활용했다. 결과적으로 수종, 영급, 소밀도 기준에 따른 임분재적 모델이 구축되었으며, 본 모델을 임상도에 적용해 임분재적 주제도와 불확실성 주제도를 제작했다. 임분재적 주제도에 의한 연구대상지의 평균 임분재적은 85.7 $m^3$/ha이며, 95% 신뢰구간을 고려했을 때 약 79.7~91.8 $m^3$/ha 구간에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소나무림의 입지환경과 임분구조 (The Site Characteristics and Stand Structure of Pinus densiflora Forests in the Republic of Korea)

  • 권기철;한성안;이돈구;정인권;서용진;홍의표;최환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4호
    • /
    • pp.496-503
    • /
    • 2021
  • 소나무는 우리나라 자생수종 중 모든 지역에서 가장 넓은 분포를 보이고 있다. 소나무림의 입지환경 및 임분구조 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제7차 국가산림자원조사(2016년~2020년)를 수행하며 얻은 자료를 활용하여 흉고단면적 기준으로 소나무가 50% 이상인 조사구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총 15,139개 표본점 중 소나무림으로 분류된 원형조사구(400 m2) 수는 3,665개소이다. 소나무림은 해발 600 m 이하의 낮은 지역의 산림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다(평균 출현율 25%). 해발 800 m 이상에서는 주로 남사면과 서사면에 분포했고(57%), 해발고가 낮은 지역에서는 모든 사면에 분포하는 경향을 보였다. 소나무림의 토성은 대부분 사양토(33%), 양토(29%), 미사질양토(24%)였고, 양분 수준은 다소 척박했다. 소나무와 함께 중요도가 높게 나타난 수종은 신갈나무, 굴참나무, 졸참나무, 잔털벚나무, 밤나무 등의 순이었다. 소나무, 곰솔, 리기다소나무 등은 소나무림에서 대경급으로 많이 분포하고 있었다. 신갈나무, 굴참나무, 졸참나무, 떡갈나무, 물푸레나무 등은 중경급의 주요 수종이며, 노간주나무와 때죽나무는 소경급으로 많이 분포하고 있었다. 소나무림에서 하층을 주로 점유하는 수종은 진달래, 졸참나무, 생강나무, 쇠물푸레나무, 개옻나무, 철쭉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TIMBER AGE ESTIMATION OF COMMERCIAL TIMBERLAND IN TENNESSEE, USA USING REMOTELY SENSED DATA

  • Lee, Jung-Bin;Kim, Sung-Hoon;Jayakumar, S.;Heo, Joo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7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7
    • /
    • pp.449-451
    • /
    • 2007
  • In the commercially managed timber lands, the information such as height, age, stand density, canopy closure and leaf area index need to be collected periodically. Stand volume is the most fundamental information in the valuation of timber, however, stand age information is the primary element of forest inventory and these two are highly correlated. Conventional method of collecting stand age information by field surveys such as ring count method is accurate; however, it is expensive, labor-intensive and time consuming. In the present study it was aimed to collect stand age information using modem techniques in a commercially managed timberland situated in Tennessee, USA. The Landsat Thematic Mapper (TM), Enhanced Thematic Mapper (ETM+) of three different periods, Shuttle Radar Topography Mission (SRTM), National elevation dataset (NED) and field inventory data were used.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and Tasselled Cap (TC) transformation techniques were applied on the TM and ETM+ data. Th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stand age and NDVI, TC. In the present study about 2,469 datasets were analyzed. The $R^{2}$ value for stand age estimation was 0.713. The NDVI, TC2 and TC3 were found to produce accurate timber age information.

  • PDF

피나무의 임지생산력지수 및 임분수확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 Site Productivity Index and Yield Prediction Model for a Tilia amurensis Stand)

  • 김소라;임종수;이선정;송정은;이혜림;손영모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2권2호
    • /
    • pp.209-216
    • /
    • 2023
  • 본 연구는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피나무림의 임지생산력지수와 수확예측모델을 도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피나무의 임지생산력을 알 수 있는 지위지수는 Schumacher 모델로서 파라미터를 도출하였으며, 이 결과로서 지위지수분류곡선도를 작성하였다. 국내 피나무림 지위지수 분포는 8~16 범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령을 설명변수로하여 흉고직경과 수고를 추정하는 생장모델은 Chapman-Richards 모델과 Weibull 모델을 이용하여 각각 도출하였다. 추정 모델의 적합도는 각각 0.32, 0.11로 나타나 일반적으로 볼 때 낮은 값이었으나, 추정식의 잔차가 "0"을 중심으로 고르게 분포하여 식을 적용하는데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피나무림의 임분축적 변화에는 흉고단면적과 지위지수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두 가지 인자를 적용시켜 피나무림의 수확모델을 도출하였으며, 모델에 대한 설명력은 약 94%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이들 수확모델의 잔차에 대한 정규성 및 자기상관 등에 대해서도 검증한 결과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피나무림의 생장모델과 수확모델을 이용하여 임시로 활용할 수 있는 임분수확표를 제작하였으며, 이 자료에 의하면 피나무림이 70년생이 될 때, ha당 축적은 약 208 m3 이 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밀원자원 및 목재로서 활용가치가 높은 피나무림에 대한 경영의사결정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임분(林分) 공간구조(空間構造) 분석(分析)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의 개발(開發) (Development of a Computer Program for Stand Spatial Structure Analysis)

  • 신만용;오정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3호
    • /
    • pp.389-399
    • /
    • 1999
  • 본 연구는 개체목의 위치를 포함하는 정밀 임분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임분의 3차원 공간구조 분석이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의 개발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임분의 ha당 통계량 계산 등 양적 정보뿐만 아니라 직경, 수고, 재적분포, 그리고 3차원 임분 공간구조와 수관투영도 등의 시각적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컴퓨터 상에서 가상 시업 시뮬레이션을 통해 시업후의 임분구조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의 통계분석 부분은 SAS의 분석결과와 비교하였고, 그래픽 정보의 표현 능력은 유사한 3차원 수관도 프로그램인 TreeDraw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은 자료분석 시간이나 결과의 요약 등 실용성 측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프로그램을 이용할 경우 해당 임분에 대한 적합한 조림조치와 합리적인 경영에 필요한 다양한 임분 공간정보를 얻을 수 있어 사용자의 의사결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한국 신갈나무림의 입지환경과 임분구조 (Site Characteristics and Stand Structure of Quercus mongolica Forests in the Republic of Korea)

  • 권기철;한성안;이돈구;정인권;서용진;신구택;전창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1권1호
    • /
    • pp.100-107
    • /
    • 2022
  • 신갈나무는 우리나라의 활엽수 중 가장 많은 분포를 보이고 있는 중요한 수종이다. 우리나라 전 지역에 분포하는 신갈나무림에 대한 입지환경 및 임분구조의 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제7차 국가산림자원조사(2016년~2020년)를 수행하면서 출현임목의 흉고단면적 기준으로 신갈나무가 50% 이상 우점하고 있는 임분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신갈나무림으로 분류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된 원형조사구(400 m2) 수는 총 1,421개소이다. 우리나라의 산림에서 신갈나무림은 해발 800 m 이상에서 가장 높은 점유율(평균 35%)을 보이고 있어 해발고가 높은 지역에서 주로 우점하고 있었다. 사면방향을 보면, 해발 600 m 이하에서는 주로 북사면에서, 그 이상부터는 남사면 비율이 점차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갈나무림의 토성은 주로 미사질양토(34%), 양토(33%), 사양토(26%)이며, 토양양분 수준은 보통이었다. 신갈나무림에서 신갈나무 외 중요도가 높게 나타난 수종은 소나무, 굴참나무, 당단풍나무, 물푸레나무, 졸참나무 등의 순이었다. 소나무와 굴참나무는 신갈나무림에서 대경급으로 많이 분포하고 있었다. 졸참나무는 중경급의 주요 수종이며, 당단풍나무와 물푸레나무는 소경급으로 비교적 많이 분포하고 있었다. 신갈나무림에서 하층을 주로 점유하는 수종은 조릿대, 생강나무, 진달래, 철쭉, 신갈나무, 쇠물푸레나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Some Peculiarities of Structure and Growth of Larch Stands in Western Mongolia

  • Tsogtbaatar, J.;Battulga, P.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8권2호통권23호
    • /
    • pp.107-107
    • /
    • 2004
  • In this paper we have introduced some results of study on stand growth pattern and stand structure of larch forest which are located in selected forest sites of Khangai and Gobi-Altai mountain ranges of Mongolia. Our investigations showed that growth intensity and stand structure in western Mongolia are very specific from the other forest vegetation zones of Mongolia. Studies on the stand structure and growth trend indicate that tree types of stand structure and different types of growth of Larix sibrica are very common in Western Mongolia. These peculiarities of stand structure and growth of larch stands in Western Monolia could be used for inventory work and an improvement of the forest management in Western Mongolian region. The larch tree is the dominant tree species in Western Mogolia. Forest cover of the region is about 15%, which is two times higher than the country's average. In this region forest area is divided into 4 forest sub-regions: the Central Khangai, Western Khangai, North Eastern Khangai and South Easterun Khangai sub-regions including taiga, pseudo taiga, sub taiga, sub-alpine and forest steppe belts. Silviculture practices and forest research management request to study forest growth trends in local and general conditions, which means to indicate a change of taxonomic characteristics of stand from time to time including diameter, height, basal area, growth stock etc. The forest management practice mostly uses tables of forest growth and yield based on the results of long term research on forest growth. Forest yield tables and other relevant forest standards of Russia are used for the forest inventory and forest management. They are not able to determine forest structure and growth peculiatities of Mongolian forests. Studies on forest resource assessment in Mongolia indicate that after logging operations and forest fires the natural regeneration of desired species such as pine and larch often does not succeed. This situation forces to take a different approach of forest management and silviculture practice depending on the stand structure and growth rate of the forest stands. According to our investigation in last years, forest growth pattern of larch forest depends mostly on stand structure, stand age and growth condition including forest soil, climate and location in different slopes. Due to improve environmental function of forest ecosystem in the region, it is needed to conduct very comprehensive study of high mountain forest ecosystem in selected sub-regions.

  • PDF

Spiegel Relaskop를 이용(利用)한 임분조사(林分調査) 방법(方法) (Method of Stand Inventory Using Spiegel Relaskop)

  • 신만용;고영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2권2호
    • /
    • pp.207-219
    • /
    • 1993
  • 본(本) 연구(硏究)는 임분조사(林分調査)에 필요(必要)한 표본(標本) 조사법중(調査法中)에서 조사(調査)의 효율성(效率性)을 유지(維持)하면서 시간(時間)과 경비(經費)를 절약(節約) 할 수 있는 Spiegel Relaskop를 이용(利用)한 점조사법(點調査法)의 이론(理論)과 실제(實際) 현장(現場)에서의 사용(使用) 방법(方法)을 논(論)하고 실제(實際) 임분(林分)에 대한 조사(調査) 자료(資料)를 이용(利用)하여 흉고단면적(胸高斷面績), 생육(生育) 본수(本數), 재적(材積)의 계산(計算) 예(例)를 제시(提示)함으로서 우리나라의 임분(林分) 조사(調査) 실무(實務)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개인용 Computer를 이용(利用)한 자료(資料)의 분석을 위하여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의 프로그램과 사용(使用)하기 손쉬운 계산기에 의한 계산법(計算法)을 제시(提示)함으로서 이론상(理論上)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임분조사(林分調査) 실무자(實務者)가 손쉽게 사용(使用)할 수 있는 방법(方法)을 제안(提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