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ge IV EGC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6초

위암의 시대적 변화 (Chronological Changes in the Clinical Features of Gastric Cancer)

  • 이천환;이선일;류근원;목영재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권3호
    • /
    • pp.161-167
    • /
    • 2001
  • Purpose: Although gastric carcinomas occur throughout the world and the incidence is on the decrease, they remain the most common type of carcinoma in Korea. Significant advancements in the diagnostics and the surgical treatment of gastric carcinomas have been achieved during the last three decades. The present retrospective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chronological changes in the clinical features, including clinicopathological findings, operative treatment, and prognosis of gastric carcinoma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973 patients with a primary gastric adenocarcinoma who had been treated surgically during the period from 1983 to 1998 at the Department of Surge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o evaluate chronological changes: 1007 patients had been treated during the period from 1983 to 1992 (early period) and 966 patients during the period from 1993 to 1998 (late period). Chronological changes in age, sex, ratio of early gastric cancer (EGC), and resectability were analyzed in all 1973 cases. For the 1755 resected cases, we also studied the chronological changes in the clinicopathological and treatment factors between the early-period (n=894) and the late-period (n=867) groups.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periods with regard to age and ratio of EGC: EGC was more frequent in the late period. Univariate analysis of resected cases showed that gross type, tumor size, depth of invasion, UICC stage, and histological typ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analysis of the treatment factors revealed that total gastrectomies and extended lymphadenectomies were more frequent during the late period. The number of lymph nodes dissected was $26.0\pm12.7$ in the early period and $33.4\pm14.1$ in the late period (p<0.01). The 5-year survival rate in all cases was $51.4\%$ in the early period and $55.9\%$ in the late period. The stage-related survival rates (UICC 4th Ed., 1987) in the early vs. the late periods were $92.9\%\;vs.\;95.5\%$ in stage IA, $82.1\%\;vs.\;91.1\%$ in stage IB, $76.5\%\;vs.\;73.1\%$ in stage II, $46.5\%\;vs.\;52.1\%$ in stage IIIA, $14.5\%\;vs.\;33.6\%$ in stage IIIB, and $2.8\%\;vs.\;8.8\%$ in stage IV.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urvival between stage IIIB and IV.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ifferences in the clinicopathological findings are related primarily to the increased number of early gastric cancer cases in the late period and that the improved survival noted during the late period for in stage IIIB and IV cancers might be related to extended surgery.

  • PDF

IV기 조기위암의 임상병리학적 특성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Stage IV Early Gastric Cancer)

  • 김민국;안지영;최민규;노재형;손태성;김성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8권3호
    • /
    • pp.136-140
    • /
    • 2008
  • 목적: 조기위암이 림프절 전이에 의해 IV기로 진단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어 거의 보고된 바가 없다. 이에 저자들은 수술적 치료 후 IV기로 진단된 조기위암 환자들의 임상, 병리학적 특성과 예후를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7년 1월까지 삼성 서울병원에서 위암으로 위 절제술을 시행 받은 뒤 IV기 조기위암으로 확진된 10명의 환자들의 임상 병리학적 소견을 분석하였다. 결과: 10명의 환자들 중 남녀 비는 5:5였고 수술 당시 평균연령은 61세였다. 8예에서 근치적 위 아전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2예에서는 근치적 위 전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절제된 위의 병리 검사에서 10예 모두 점막하층까지 종양이 침윤되어 있었고, 9예에서 림프관 침윤이 있었으며, 평균 45.5개의 절제된 림프절 중 평균 22.2개에서 전이가 있었다. 종양의 크기의 중간값은 5.3 cm이었고, 6예에서 암세포가 Lauren형 조직 분류로 미만형을 보였으며, 이들은 WHO 분류로 저분화형 선암과 인환세포암종을 보였다. 10명 중 9명은 수술 후 항암화학요법을 시행 받았다. 추적 관찰 기간의 중간값은 31개월이었고, 보조 항암화학요법을 시행 받지 않은 1명은 뇌혈관질환으로 사망하였다. 보조 항암화학요법을 시행받은 9명 중 한 명은 암의 재발로 사망하였으며, 추적 검사에서 골 전이를 보인 한 명을 제외한 나머지 7명의 환자들은 현재까지 재발 없이 추적 관찰 중이다. 결론: IV기 조기위암은 점막하층의 침윤 깊이를 보이고, 비교적 큰 종양의 크기, 림프관 침윤 등의 특징을 보인다. 적극적인 수술적 치료 및 보조항암 화학요법을 통해 재발을 줄이고, 향후 이들 위암의 특성에 대한 연구 및 장기적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

  • PDF

pT1N3 위암 (pT1N3 Gastric Cancer)

  • 안대호;권성준;윤효영;송영진;목영재;한상욱;김욱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6권2호
    • /
    • pp.109-113
    • /
    • 2006
  • 목적: 위내시경의 보급으로 조기위암의 빈도가 증가하고 축소치료가 활성화되고 있다. 이러한 치료는 장점도 있으나 림프절 곽청의 측면에서 제한점이 있다. 림프절 전이를 동반하는 조기위암의 대부분은 UICC-TNM 분류의 N1 또는 N2이지만 드물게 N3의 보고도 있다. pT1N3 위암은 증례보고는 있지만 review논문은 없어서 특성을 이해하거나 치료방침을 세우기가 어렵고 UICC-TNM에서 4기로 예후가 나쁜 위암으로 분류되어 있으나 객관적인 증거는 없다. 저자들은 국내 6개 대학에서 9예의 pT1N3 위암 치험예를 모아서 문헌 고찰과 함께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분당차병원,한양의대,충북의대,고려의대 구로병원, 아주의대, 가톨릭의대 성가병원의 6개 병원에서 기간은 서로 다르지만 의무기록 분석이 가능하였던 기간동안 수술을 받았던 2,772예의 조기위암 중에서 UICC-TNM의 pT1N3 위암 9예를 분석하였다. 비교 대조군은 분당 차병원에서 수술을 받은 210예의 조기위암 환자이다. 결과: 9예는 전체 조기 위암 2,772예의 0.32%이며 남자는 3명, 여자는 6명이었고 평균연령은 57세였다. 점막암이 2예, 점막하층암이 7예이고 전이된 림프절의 수는 18에서 52개로 평균 27개였다. 5예는 표층 팽창형으로 대조군에 비해서 많았고 종양의 크기도 N3군이 N0, N1, N2군보다 컸다. 7예에서 림프관 침윤이 있었으며 대조군에 비하여 높았다. 1예는 대동맥주위 림프절 전이가 있어서 비치유 절제가 되었고 2예에서 조기재발이 있는 등 예후가 불량하였다. 결론: pT1N3 위암의 위험 인자로는 여성, 점막하층암, 종양의 크기, 림프관 침윤을 들 수 있다. pT1N3 위암의 존재는 조기위암의 축소 치료 시 주의를 요하며 예후가 불량하기 때문에 적극적인 항암 보조 요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위암환자에서 임상적 양상 및 치료에 따른 혈청 CEA치의 변화에 관한 연구 (Serum CEA Related to Clinical Status and Outcome of Treatment in Stomach Cancer)

  • 장세호;이삼철;김건용;이원주;최성란;이종석;정순일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67-273
    • /
    • 1990
  • Serum carcinoembryonic antigen (CEA) levels were measured by radioimmunoassay in 82 patients with stomach cancer and were related to their clinical status and to the response to therapeutic modalities. Serum CEA in patients over 40 years of age was higher (p < 0.05) than that of younger age group and was higher (p 앞 0.0025) in patients with advanced stages (IIII and IV) than in patients with earlier stages (EGC and stage II).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rum CEA levels were seen between the tumor cell types. In 9 patients who underwent successful radical resection of the cancer, serum CEA decreased significantly (p < 0.05) after surgery, whereas the changes in serum CEA levels after palliative surgery in other 7 patients wer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p > 0.01). Eleven patients who were given chemotherapy were followed up until death, the changes in their serum CEA levels were significant reverse-correlation (r=-0.72) with duration of surviva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