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tachyurus praecox

Search Result 2, Processing Time 0.015 seconds

Discover New Natural Habitat of Unrecorded Species (Stachyurus praecox) in Korea (국내 미기록종 통조화(Stachyurus praecox) 자생지 최초 발견)

  • Cho, Ji-Woong;Oh, Chan-Jin;Jang, Kyoung-Soo;Son, Seong-Won;Oh, Deuk-Sil;Kim, Jong-Gi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04a
    • /
    • pp.39-39
    • /
    • 2018
  • 지금까지 통조화(Stachyurus praecox)는 일본특산식물로 알려져 있으며, 일부 수목원 식물원에서만 식재된 국내 미기록종이다. 본 조사에서는 전남 완도군 생일면 일대 무인섬에서 통조화 자생지를 최초 발견하였다. 이 일대 해발고 50m 이하의 지점에서 불규칙적으로 최대 H8.0m, R24cm 등 150여 개체 이상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사지 식생의 교목층은 생달나무(Cinnamomum japonicum), 아교목층은 통조화(Stachyurus praecox), 관목층은 참식나무(Neolitsea sericea), 초본층은 두루미천남성(Arisaema heterophyllum)이 우점하고 있었다. 국내에서는 통조화(Stachyurus praecox)에 대한 기초자료가 부족하여 그간 암수딴그루, 낙엽활엽관목으로 여겨왔다. 그러나 이번 자생지 발견을 통해 암꽃만 있는 단성화 개체뿐만 아니라 암술과 수술이 함께 있는 양성화 개체가 더 많이 자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단성화(암꽃)에서만 전년도에 결실한 종자가 달려있다는 점과, 양성화에서는 화기의 탈락이 빈번하고 수정된 개체를 발견할 수 없었던 점으로 보아 이 지역에서 자생하는 통조화는 암꽃양성화딴그루로 사료된다. 향후, 이 지역 통조화의 정확한 동정을 위해 동일한 속의 유사분류군과의 유연관계를 비교하고, 관찰 및 조사가 필요하다.

  • PDF

Stachyurus praecox (Stachyuraceae), first report in Korea (한국 미기록종 식물: 완도술꽃나무 (완도술꽃나무과))

  • OH, Chan-Jin;SHIN, Soon-Ho;CHO, Ji-Woong;KIM, Hyoun-Woo;HAN, Sang-Sub;KIM, Ji-Won;CHUNG, Jae-Min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51 no.4
    • /
    • pp.372-377
    • /
    • 2021
  • We report a previously unrecorded woody species, Stachyurus praecox Siebold & Zucc. (Stachyuraceae), in Korea. This species is considered to be endemic to Japan. Stachyurus praecox was collected for the first time in an evergreen forest on an uninhabited island of Bongsun-ri, Saengil-myeon, Wando-gun, Jeollanam-do in Korea. The inflorescence of the species was racemose and pendulous on the axils of the previous year's branches. Flowers bloomed from March to April. They were functionally dioecy but morphologically hermaphrodite. This woody species was named 'Wan-do-sul-kkot-na-mu' in Korean based on the shape of its inflorescenc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illustrations of this woody species have been provided with a distribution map and photographs of the natural habit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