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utum smear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21초

일차 항결핵제 치료 5개월 후 도말 양성 및 배양 음성을 보이는 폐결핵 환자의 임상 양상 (Clinical Manifestations of Persistent Smear Positive and Culture Negative Sputum Tests 5 Months after First-Line Anti-Tuberculous Chemotherapy)

  • 김도형;황수희;전두수;민진홍;강형석;박승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3권5호
    • /
    • pp.417-422
    • /
    • 2007
  • 연구배경: 일차 항결핵제 치료 5개월 이후 배양 음전되었으나 도말 양성을 보이는 폐결핵 환자들의 임상적 특성과 치료 후 경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2년 1월 1일부터 2003년 12월 31일까지 일개 결핵 전문 병원에 입원한 환자 중 일차 항결핵제로 치료를 종결하였고 약제감수성 검사상 일차 항결핵제에 모두 감성이거나 리팜핀을 제외한 단일 약제 내성이면서 추적관찰이 되었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적 특성과 재발여부와 이에 관련한 위험인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대상 환자는 60명이었고 모두 치료에 성공하였다. 객담 도말 검사상 음전은 평균 $8.3{\pm}2.3$개월이었고, 객담 배양 검사상 음전은 평균 $2.0{\pm}0.8$개월이었다. 당뇨는 14명(23%), 초치료는 46명(77%), 약제감수성 검사상 일차 항결핵제에 모두 감성인 경우가 37명(62%), 흉부방사선사진상 중증인 경우가 49명(81%)이었다. 재발률은 치료 1년 후 3.8%, 2년 후 10%, 5년 후 25.8%이었고 나이, 성별, 당뇨, 치료 2개월째의 배양검사 결과, 과거 치료력, 흉부방사선 사진 소견, 치료기간에 따라 재발률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 론: 일차 항결핵제로 치료시작 후 5개월에 객담 배양검사는 음전되었으나 도말검사는 양성인 환자들에서 치료약제의 변경 없이 모든 환자에서 치료가 성공되었다. 그러나 높은 재발률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후두결핵의 임상양상과 진단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Diagnosis of Laryngeal Tuberculosis)

  • 조현진;소윤경;손영익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3-46
    • /
    • 2008
  • Background and Objectives : Clinical suspicion and appropriate diagnostic procedures are essential for the timely management of extrapulmonary type of mycobacterial disease. In the hope of suggesting a suitable guideline for the early diagnosis of laryngeal tuberculosis, the authors reviewed their clinical pathways and th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laryngeal tuberculosis who were managed in the recent 10 years at a single tertiary referral hospital, Samsung Medical Center. Subjects and Method : Retrospective chart review was performed for the 25 adult patients with laryngeal tuberculosis. Among 25 cases, 12 were pathologically confirmed by laryngeal biopsy and the other 13 were clinically diagnosed by cumulative clinical information; definite laryngitis on laryngoscopy, positive AFB (acid fast bacillus) smear/culture or active pulmonary tuberculosis on chest X-ray, and substantial response to anti-tuberculosis medication. Results : Chest X-ray revealed active pulmonary tuberculosis in 72% of patients (N=18/25). Sputum AFB smear/culture was positive in 95% of all tested patients (N=21/22) and in 100% of the tested patients who have stable or no evidence of pulmonary tuberculosis (N=5/5). All patients except one who had coexisting laryngeal malignancy showed considerable improvement in their subjective symptoms and laryngeal findings within the first 2 months of anti-tuberculosis medications and they achieved complete response on subsequent sputum studies, chest X-ray and laryngeal findings after $7.0{\pm}2.3$ months of the medications. Conclusion : We suggest that chest X-ray and sputum AFB smear/culture to be the first step of work-up for the patients having laryngeal tuberculosis in suspicion since laryngeal tuberculosis is largely associated with active pulmonary tuberculosis and/or sputum AFB study offers high yield even in case of primary laryngeal tuberculosis. However laryngeal biopsy must be considered in case showing unsatisfactory response to the anti-tuberculosis medication for more than 2 months.

  • PDF

Duration of Pulmonary Tuberculosis Infectiousness under Adequate Therapy, as Assessed Using Induced Sputum Samples

  • Ko, Yousang;Shin, Jeong Hwan;Lee, Hyun-Kyung;Lee, Young Seok;Lee, Suh-Young;Park, So Young;Mo, Eun-Kyung;Kim, Changhwan;Park, Yong Bum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0권1호
    • /
    • pp.27-34
    • /
    • 2017
  • Background: A sputum culture is the most reliable indicator of the infectiousness of pulmonary tuberculosis (PTB); however, a spontaneous sputum specimen may not be suitabl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fectious period in patients with non-drug-resistant (DR) PTB receiving adequate standard chemotherapy, using induced sputum (IS) specimens. Methods: We evaluated the duration of infectiousness of PTB using a retrospective cohort design. Results: Among the 35 patients with PTB, 22 were smear-positive. The rates of IS culture positivity from baseline to the sixth week of anti-tuberculosis medication in the smear-positive PTB group were 100%, 100%, 91%, 73%, 36%, and 18%, respectively. For smear-positive PTB cases, the median time of conversion to culture negativity was 35.0 days (range, 28.0-42.0 days). In the smear-negative PTB group (n=13), the weekly rates of positive IS culture were 100%, 77%, 39%, 8%, 0%, and 0%, respectively, and the median time to conversion to culture-negative was 21.0 days (range, 17.5-28.0 days). Conclusion: The infectiousness of PTB, under adequate therapy, may persist longer than previously reported, even in patients with non-DR PTB.

한 개의 공동이 있는 활동성폐결핵 환자에서 객담도말검사 결과에 따른 흉부CT 소견의 차이 (Differences in CT Findings According to Sputum Smear Results in Patients with Active Pulmonary Tuberculosis Having a Single Cavity)

  • 송인섭;이화연;유승민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2권6호
    • /
    • pp.479-485
    • /
    • 2007
  • 배 경: 한 개의 공동이 있는 활동성 폐결핵환자에서 객담도말검사 결과와 관련된 흉부CT 소견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흉부CT에서 한 개의 공동이 있는 32명의 활동성 폐결핵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객담도말검사의 결과에 따라 객담도말검사 양성(n=19)과 음성(n=13)인 두 군으로 나누었다. 흉부CT 소견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흉부CT 소견은 공동의 크기, 공동 벽의 모양, 공동 벽의 최대 두께, 그리고 동반된 소견들을 분석하였다. 공동의 크기는 최대직경으로 하였다. 동반된 소견은 간유리음영, 폐경결 미세결절과 결절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각 소견의 유무와 소견이 보이는 폐엽의 수를 기록하였다. 두 군 간에 흉부CT 소견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결 과: 공동의 평균 최대직경은 객담도말검사 양성인 군은 $33.84{\pm}13.65mm$이었고, 음성인 군은 $27.08{\pm}9.04 mm$로 음성인 군에서 작은 경향이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p>0.05). 폐경결은 객담도말검사 양성인 군은 89.5%, 음성인 군은 30.8%에서 보였고(p=0.01), 폐경결이 보이는 폐엽의 수는 객담도말 양성인 군은 평균 $1.37{\pm}0.90$, 음성인 군은 평균 $0.31{\pm}0.48$개로 두 군 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p=0.0002). 두 개 이상의 폐엽에 폐경결이 동반된 예는 객담도말검사 양성인 군의 31.6%에서 있었고 음성인 군에서는 없었다(p<0.05). 다른 소견들은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p>0.05). 객담도말검사에 대한 폐경결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도, 그리고 음성예측도는 각각 89.5%, 69.2%, 73.9%, 81.8% 이었다.

The Value of Submitting Multiple Sputum Specimens for Accurate Diagnosis of Pulmonary Tuberculosis

  • Kisa, Ozgul;Albay, Ali;Baylan, Orhan;Doganci, Levent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0권4호
    • /
    • pp.301-304
    • /
    • 2002
  • Is a multiple number of sputum specimens necessary for the diagnosis of pulmonary tuberculosis? To answer this question, 6844 respiratory specimens obtained from previously untreated patients suspected of having pulmonary tuberculosis between 1998 and 2001 were evaluated retrospectively. All of the specimens were evaluated by acid fast bacilli smear and BACTEC 460 TB culture system. A total of 785 (11%) specimens from 353 patients were positive for Mycobacterium tuberculosis complex. For 76% (270/353) of these patients the organism was detected from sputum specimens collected sequentially for daily basis. Mycobacterium tuberculosis was isolated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samples of the majority (98%,195/199) of patients who had three or more sputum samples sent to the laboratory. Our results indicate that, we could carry out Mycobacterium tuberculosis isolation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sputum samples of the overwhelming majority of the patients and the diagnostic value of four or more sputum specimens submitted to the laboratory was very low (2%). We recommend that, for definitive and cost-effective diagnosis of pulmonary tuberculosis at least three sequential sputum specimens be collected for all patients suspected pulmonary tuberculosis.

Comparative Performance of Line Probe Assay (Version 2) and Xpert MTB/RIF Assay for Early Diagnosis of Rifampicin-Resistant Pulmonary Tuberculosis

  • Yadav, Raj Narayan;Singh, Binit Kumar;Sharma, Rohini;Chaubey, Jigyasa;Sinha, Sanjeev;Jorwal, Pankaj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4권3호
    • /
    • pp.237-244
    • /
    • 2021
  • Background: The emergence of drug-resistant tuberculosis (TB), is a major menace to cast off TB worldwide. Line probe assay (LPA; GenoType MTBDRplus ver. 2) and Xpert MTB/RIF assays are two rapid molecular TB detection/diagnostic tests.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LPA and Xpert MTB/RIF assay for early diagnosis of rifampicin-resistant (RR) TB in acid-fast bacillus (AFB) smear-positive and negative sputum samples. Methods: A total 576 presumptive AFB patients were selected and subjected to AFB microscopy, Xpert MTB/RIF assay and recent version of LPA (GenoType MTBDRplus assay version 2) tests directly on sputum samples. Results were compared with phenotypic culture and drug susceptibility testing (DST). DNA sequencing was performed with rpoB gene for samples with discordant rifampicin susceptibility results. Results: Among culture-positive samples, Xpert MTB/RIF assay detected Mycobacterium tuberculosis (Mtb) in 97.3% (364/374) of AFB smear-positive samples and 76.5% (13/17) among smear-negative samples, and the corresponding values for LPA test (valid results with Mtb control band) were 97.9% (366/374) and 58.8% (10/17), respectively. For detection of RR among Mtb positive molecular results, the sensitivity of Xpert MTB/RIF assay and LPA (after resolving discordant phenotypic DST results with DNA sequencing) were found to be 96% and 99%, respectively. Whereas, specificity of both test for detecting RR were found to be 99%. Conclusion: We conclude that although Xpert MTB/RIF assay is comparatively superior to LPA in detecting Mtb among AFB smear-negative pulmonary TB. However, both tests are equally efficient in early diagnosis of AFB smear-positive presumptive RR-TB patients.

여러 개의 공동이 있는 활동성폐결핵 환자에서 객담도말검사 음성과 관련된 CT 소견 (CT Findings Related to Negative Results of Sputum Smear in Patients with Active Pulmonary Tuberculosis having Multiple Cavities)

  • 이화연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2권5호
    • /
    • pp.374-381
    • /
    • 2007
  • 배 경: 여러 개의 공동이 있는 활동성 폐결핵환자에서 객담도말 음성과 관련된 CT소견을 알아보고 진단 및 치료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방 법: CT에서 여러 개의 공동이 있는 38명의 활동성 폐결핵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객담도말검사의 결과에 따라 객담도말검사 양성(n=30)과 음성(n=8)인 두 군으로 나누었다. CT 소견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CT 소견은 공동의 크기와 수, 공동이 있는 폐엽의 수 그리고 동반된 소견들을 분석하였다. 공동의 크기는 최대내경으로 하였다. 공동의 최대내경이 20 mm 이하인 경우와 20 mm보다 큰 경우로 나누어 두 군의 빈도를 조사하였다. 동반된 소견은 간유리음영, 폐경결 미세결절과 결절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각 소견의 유무와 소견이 보이는 폐엽의 수를 기록하였다. 또한 폐경결 속에 동반된 공동이 있어 괴사성 폐렴의 양상을 보이는 빈도를 조사하였다. 두 군 간에 CT소견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결 과: 공동의 평균 최대내경은 1군은 $32.23{\pm}17.66mm$, 그리고 2군은 $15.50{\pm}11.12mm$로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42). 공동의 수도 1군은 $5.53{\pm}3.17$, 2군은 $2.43{\pm}1.13$로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p=0.0002). 공동의 개수가 3개 이상인 경우는 1군은 23예(23/30, 76.7%)가 있었고 2군은 1예(1/8, 12.5%)가 있었다(p<0.005). 간유리음영과 폐경결이 보이는 폐엽의 수는 1군과 2군에서 각각 $1.5{\pm}1.50$, $0.38{\pm}0.52$(p=0.0016) 그리고 $2.00{\pm}1.34$, $0.25{\pm}0.46$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괴사성 폐렴과 유사한 양상을 보인 예는 1군에서 43.3%(13/30)가 있었고 2군에서는 없었다. 다른 소견들은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p>0.05). 폐경결이 보이거나 3개 이상의 공동이 있거나 공동의 최대내경이 20 mm 보다 큰 경우에 객담도말검사에 대한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도, 그리고 음성 예측도는 각각 100%(30/30), 62.5%(5/8), 90.9%(30/33), 100%(5/5)이었다. 결 론: CT에서 폐경결이 없고 공동이 2개이면서 공동의 최대내경이 2 cm 이하인 다발성 공동 폐결핵은 객담도말 음성과 관련이 있다.

Usefulness of Sputum Induction with Hypertonic Saline in a Real Clinical Practice for Bacteriological Yields of Active Pulmonary Tuberculosis

  • Seong, Gil Myeong;Lee, Jaechun;Lee, Jong Hoo;Kim, Jeong Hong;Kim, Miok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6권4호
    • /
    • pp.163-168
    • /
    • 2014
  • Background: Mycobacterial identification in active pulmonary tuberculosis (APTB) is confirmative, even though successful rates using self-expectorated sputum are limited. Sputum specimens collected by hypertonic saline nebulization showed higher bacteriologic diagnostic sensitivities over those of self-expectoration, mostly studied in smear-negative or sputum-scarce patients. The efficacy of induced sputum was rarely assessed in real clinical settings. Methods: A prospective randomized case-control study was performed in one hospital. The subjects highly suspicious of APTB were asked to provide 3 pairs of sputum specimens in 3 consecutive days. The first pairs of the specimens were obtained either by self-expectoration (ES) from the next day of the visit or sputum induction with 7% saline nebulization in clinic (SI), and the other specimens were collected in the same way. The samples were tested in microscopy, culture,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The outcomes of the bacteriological diagnosis were compared. Results: Seventy six patients were assigned to either ES (38 subjects, median age of 51, 65.8% male) or SI (38 subjects, median age of 55, 52.6% male). APTB was clinically confirmed in 51 patients (70.8%), 27 in ES and 24 in SI. Among the APTB, more adequate specimens were collected from SI (41/65, 63.1%) than ES (34/80, 42.5%) (p=0.01). Bacteriological confirmation was achieved in 14 (58.3%) patients in SI, and 13 (48.1%) in ES (p=0.46). In the same-day bacteriological diagnosis with microscopy and PCR, there were positive results for 9 patients (37.5%) in SI and 7 patients (25.9%) in ES (p=0.37). Conclusion: Sputum induction improves sputum specimen adequacy. It may be useful for the same-day bacteriological diagnosis with microscopic examination and PCR.

폐결핵 재치료에서 Ofloxacin, Prothionamide, Cycloserine, Streptomycin(Kanamycin or Tuberactinomycin) 4제요법의 임상 효과 (A Clinical Effect of Ofloxacin, Prothionamide, Cycloserine Streptomycin(Kanamycin or Tuberactinomycin) in Retreatment of Pulmonary Tuberculosis)

  • 송주영;유민규;홍재락;정재만;김영준;김문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3호
    • /
    • pp.295-301
    • /
    • 1995
  • 연구배경: 우리나라에서 1979년까지의 초치료는 INH + SM + PAS(또는 EMB)의 18개월 요법이 표준처방으로 이용되었고 1980년대에 들어와서 INH + EMB + RFP의 9개월 요법을 설시하다가 INH + RFP + PZA + EMB(또는 SM)의 6개월 표준 단기요법이 정착되었다. 그후 폐결핵의 초치료 성적은 매우 괄목할만한 결과를 보여 주었으나 초치료 실패 및 재치료 실패 환자들의 경우 약제 내성균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사용 가능한 약제가 매우 제한될 수 밖에 없었다. 1980년대에 개발된 Quinolone 계통의 Ofloxacin(OFX)은 광범위 항생제로서 호흡기 절환을 비롯한 여러 감염성 질환에 널리 사용되어 오고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폐결핵의 치료에도 일부 사용되고 있으며 그 효능 또한 입증된 바 있다. 이에 재치료 처방으로 PTA + CS + OFX와 주사제로서 Streptomycin(SM), Kanamycin(KM), Tuberactinomycin(TUM) 중 하나를 첨가한 4제 요법으로 치료받았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임상효과를 조사하였다. 방법 1991년 3월부터 1994년 6월까지 국립 공주 결핵병원에 입원하였던 도말양성 환지중 초치료 또는 재치료에 실패한 환자 92명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과: 1) 객담도말 양성환자 92명중 67명(73%)에서 균음전되었다, 2) 균음전시기는 치료시작후 1개월 이내에 24명(36%)로 제일 많았고 4개월 이내에 85%의 균음전율을 보였다. 3) 흉부 엑스선 사전의 호전은 전체적으로 49% 이였고 균음전율은 흉부 엑스선상 경증, 중등증, 중증에서 각각 100%, 93%, 68% 이었다. 4) 균음전율은 1년미만, 1년에서 3년미만, 3년에서 5년미만, 5년이상의 질병기간에서 각각 87%, 76%, 65%, 그리고 55% 이었다. 5) PTA의 부작용은 위장장애가 대부분 이었으며 간기능장애, 경련이 각각 7%, 1% 나타났다. CS의 부작용은 신기능장애, 정신병, 경련이 각각 2%, 1%, 1% 이었고, KM에 의한 이명은 1%, OFX에 의한 설사는 4% 이었다. 결론: 환자의 병력이 짧을수록, 흉부 엑스선상 경증와 중등증 일수록 좋은 성적을 보여 주었다. 초치료 실패환자에서 흉부 엑스선상 중증으로 이행되기전에 재치료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균음전은 물론 흉부 엑스선성 호전도 보여줄 수 있다. 소수 2차 항결핵제가 부작용으로 중단된 경우도 있었지만, 2차 항결핵제의 부작용은 대부분 위장장애을 호소하기 때문에 환자의 협조하에 규칙적으로 복용토록 하여 완치 퇴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 PDF

폐결핵 재치료 환자에서 Prothionamide, Cycloserine, Paraminosalicylic acid, Ofloxasine을 이용한 경구 4제 요법의 임상 효과 (Clinical Effects of Prothinoamide, Cycloserine, Para-Aminosalicylic Acid, Ofloxasine in Retreatment of Pulmonary Tuberculosis)

  • 홍재락;유민규;정재만;김영준;손말현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5호
    • /
    • pp.693-700
    • /
    • 1996
  • 연구배경: 1980년대 들어서 폐결핵의 치료는 INH, RFP, EMB(또는 SM)의 6개월 표준 단기 요법이 정착되었고 치료 성적 또한 괄목한 만한 향상을 보여왔으나 초치료 실패 및 재치료 실패 환자에서는 약제 내성 및 약제 부작용으로 인한 치료 중단이 큰 문제가 되었다. 1980년대 개발된 Quinolone 계통의 항생제인 OFX은 감영성 호흡기 질환 치료제로서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결핵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저자들은 PTA, CS, PAS, OFX을 사용하여 폐결핵 환자들의 재치료 또는 재재치료의 임상효과를 알아보았다. 방법: 1993년 3월부터 1995년 8월까지 국립 공주 결핵병원에 입원하였던 객담내 결핵균 양성 환자중 초치료및 재치료에 실패한 환자로 추척이 가능한 66명을 대상으로하여 후향적 조사를 하였다. 결과: 1) 객담내 균음전 객담 도말 양성 환자 66명 중 42 명(64%)이 15개월내에 객담내 균음전되었다. 2) 흉부 X-선상의 호전은 경증에서는 3명(75%), 중등중에서는 23명(64%), 중증은 12명(46%)이었고, 전체적으로는 38명(58%)에서 호전되었다. 4) 질병 기간에 따른 균 음전율은 각100%(병력이 1년미만), 88%(1-3년), 80%(3-5년) 그리고 52%(5년이상)이었다. 5) 부작용 PTA의 부작용은 위장판 장애(소화불량, 구역, 구토, 복통등)와 경한 간기능 장애를 보여주었고, CS은 정신상태 이상(주로 불면과 감정장애)이 8명(12%)에서 있었으며, 경련은 없었다. PAS에 의한 위장 장애는 오심, 구토, 복부 불쾌감과 같은 위장장애가 대부분으로 41명(62%)에서 관찰되었다(Table 5). 결론: 폐결핵 치료 역시 다른 모든 질환과 마찬가지로 환자의 병력이 젊을수록, 흉부 X-선상의 병변이 적을수록 좋은 성적을 보였으며, 38명(58%)의 경우에는 X-선상의 호전을 보였으나 일부에서는 매우 제한적이고 더 이상의 호전을 기대하기가 어려울 것으로 생각되는 예도 있었다. 부작용으로는 위장장애(소화장애, 오심, 구토, 변비, 설사)가 주가 되었으며, 위장장애는 대부분의 경우에서는 규칙적인 증상 치료로 많은 호전을 가져 왔다. 또한 무엇보다도 전문가에 의한 적절한 치료약제의 결정과 지속적인 항결핵제 복용을 위한 정기적인 의사와의 면담 및 추후검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