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ring flowering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26초

The Effect of Soil Textures on the Flowering characteristics and Green Manure Yield of Crimson Clover (Trifolium incarnatum L.) in Upland Soil

  • Cho, Hyeon-Suk;Seo, Myung-Chul;Park, Tea-Sun;Kim, Jun-Hwan;Sang, Wan-gyu;Shin, Pyeong;Lee, Geon Hwi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705-711
    • /
    • 2016
  • Crimson clover, a legume crop, is a landscape crop and green manure crop that can be sowing in spring and autumn. Its red flower blooms in May, and serves various roles such as landscape composition, weeds suppressing, prevention of soil loss and nutrient on sloping land and supplying nitrogen and organic matter in soil. Thus, in order to utilize this crop in agriculture land, we evaluated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crimson clover cultivated in four different soil textures; sand, sandy loam, loam, and clay loam. The nitrogen content of crimson clover was $15.8g\;kg^{-1}$ and C/N ratio was 20.3. Its plant height was 42.5 cm in sandy loam and 49.5 cm in loamy, respectively, approximately 20 cm longer than the sand and clay loam. The crimson clover in sandy loam and loam bloomed about seven days earlier than those in sand and clay loam. Regarding number of flower per hill and flower length, there were no difference among the soil textures. Dry weight of crimson clover for sandy loam and loam was $2.5Mg\;ha^{-1}$ and $2.3Mg\;ha^{-1}$, respectively, $0.8{\sim}1.1Mg\;ha^{-1}$ higher than that of sand and sandy loam. Plant height and dry weight of crimson clover increased with delaying harvest time. Nitrogen contribution in loam and clay loam was $51.3kg\;ha^{-1}$ and $53.5kg\;ha^{-1}$, respectively. Therefore, in terms of flowering properties and dry weight, the proper soil texture for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crimson clover was sandy loam and loam.

The Effect of Soil Textures on the Flowering characteristics and Green Manure Yield of Crimson Clover (Trifolium incarnatum L.) in Upland Soil

  • Cho, Hyeoun-Suk;Seo, Myung-Chul;Park, Tea-Sun;Kim, Jun-Hwan;Sang, Wan-gyu;Shin, Pyeong;Lee, Geon Hwi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367-367
    • /
    • 2017
  • Crimson clover, a legume crop, is a landscape crop and green manure crop that can be sowing in spring and autumn. Its red flower blooms in May, and serves various roles such as landscape composition, weeds suppressing, prevention of soil loss and nutrient on sloping land and supplying nitrogen and organic matter in soil. Thus, in order to utilize this crop in agriculture land, we evaluated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crimson clover cultivated in four different soil textures, sand, sandy loam, loam, and clay loam. The nitrogen content of crimson clover was 15.8 g kg-1 and C/N rate was 20.3. Its growth was good in sandy loam and loam. Its plant height was 42.5 cm in sandy loam and 49.5 cm in loamy, respectively, which are approximately 20 cm longer than the sand and clay loam. The crimson clover in sandy loam and loam bloomed about seven days earlier than those in sand and clay loam. Regarding number of flower per hill and flower length, there were no difference between soil textures. Dry weight of crimson clover was 2.5 Mg ha-1, 2.3 Mg ha-1 each in sandy loam and loam. Therefore, it was approximately 0.8 ~ 1.1 Mg ha-1 higher than dry weight of sand and sandy loam. Plant height and dry weight of crimson clover was increased late harvest time. Nitrogen contribution were higher in loam and clay loam, when it was respectively 51.3 kg ha-1, 53.5 kg ha-1. Therefore, according to flowering properties and dry weight,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crimson clover was finest in sandy loam and loam.

  • PDF

Seasonal distribution of airborne pollen in Ulsan, Korea in 2009-2010

  • Choi, Seung-Hyeok;Jung, In-Yong;Kim, Dong-Yeop;Kim, Yang-Ho;Lee, Ji-Ho;Oh, In-Bo;Choi, Kee-Ryong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4권4호
    • /
    • pp.371-379
    • /
    • 2011
  • To determine the peak dispersal times of allergenic pollen grains in Ulsan, Korea, we performed continuous airborne pollen counts at three stations (Sts. A, B, and C) in Ulsan from August 2009 to November 2010. Pollen grains were sampled using a Durham sampler. Two peak pollen dispersal seasons were observed per year. The peak seasons generally coincided with the flowering period of anemophilous trees: Taxodiaceae (February), Alnus (March), Cupressaceae (April), Quercus, and Pinus (May), and with the flowering phase of herbs from August to November, e.g., Humulus, Artemisia, Gramineae, and Ambrosia from August through September.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airborne pollen was from Pinus (68%), followed by Quercus (15%), Alnus (6%), and Humulus (2%); whereas very low pollen concentrations were from Taxodiaceae, Cupressaceae, Artemisia, Gramineae, and Ambrosia (${\leq}$ 1% of the annual total airborne pollen concentration). Our findings indicate that Alnus and Humulus pollen are major allergens whereas those of Pinus and Quercus are minor allergens. The concentration of Alnus pollen grains at St. C was over five times that at Sts. A and B. This finding implies that individuals living at or near St. C are exposed to high concentrations of Alnus pollen before and after March, which is the flowering period of the alder tree. From August to September, individuals living at or near St. B are exposed to high concentrations of Humulus pollen. Our study suggests that Alnus pollen may be the major aeroallergen causing pollinosis in the spring at St. C and Humulus pollen may be the major aeroallergen in autumn at St. B.

분홍색 홑꽃형 스프레이 국화 '드림문' 육성 (A New Spray Chrysanthemum Cultivar, 'Dream Moon' with Pink Color and Single Type)

  • 정윤경;임재욱;이상덕;이영순;유예영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606-610
    • /
    • 2010
  • '드림문'은 경기도농업기술원에서 2008년도에 육성한 절화용 스프레이 계통의 국화 신품종이다. 이 품종은 2005년도에 황색 스프레이 국화 'Patra (yellow)'품종을 모본으로 하고 분홍색 'Sei-Rosa'품종을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여 화색과 화형이 우수한 12계통을 예비 선발하였다. 2006-2008년 까지 3차에 거쳐 특성검정과 품평회로 4번째 개체인 'GCS06-27-4'를 최종선발하여 '드림문(Dream Moon)'으로 명명하였다. '드림문' 자연개화기는 10월 하순경으로 전형적인 추국 형태의 품종이며, 고온기인 여름철과 관수를 많을 주었을 경우 화색이 아주 연한 분홍색이 될 가능성이 있어 철저한 관리가 요구된다. 분홍색(PG76D) 스프레이 형태로 3중의 꽃잎이 있는 홑꽃형이며 꽃잎수는 24.6매이고, 화경은 5.6 cm, 엽색은 녹색(Green Group 137B)으로 절화장은 86.6 cm로 중간종이다. 저온동계 검정에 의한 흰녹병 발생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절화 수명은 20.7일로 양호한 편이다.

The Characteristics of Growth and Green Manure Yield by Different Kinds of Landscape Crops Cultivated in Summer in Upland Soil

  • Cho, Hyeoun-Suk;Seong, Ki-Yeung;Park, Tae-Seon;Seo, Myung-Chul;Kim, Mi-Hyang;Kang, Hang-Wo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324-331
    • /
    • 2014
  • 경관작물은 봄부터 늦은 가을까지 도로변, 하천변, 화단에 재배되어 우리 주변 환경을 아름답게 꾸며주는 역할을 수행하였으나 최근에는 대면적의 농경지에 재배되면서 넓은 면적에 재배가 가능한 작물들이 각광을 받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여름에 재배되는 작물 중에서 경관작물과 녹비작물로 이용 가능한 작물을 선발하고자 해바라기, 코스모스, 네마장황, 네마황, 세스바니아, 수수의 작물 생육특성, 녹비수량 및 질소생산량을 조사하였다. 경관작물의 초장은 수확시기가 늦을수록 증가하였으며 특히 네마장황, 코스모스, 해바라기, 수수는 100 cm 이상으로 컸다. 네마장황과 코스모스의 개화소요일수는 각각 50일, 53일로 짧아 가장 빨리 개화가 시작되었으며 개화기간은 50일 이상으로 길었다. 해바라기는 개화되는데 52일이 소요되어 짧았으나, 개화기간이 21일로 짧았다. 녹비수량과 질소생산량은 모든 작물에서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증가하였다. 녹비수량은 네마장황, 수수, 해바라기에서 $7.2{\sim}7.5Mg\;ha^{-1}$로 가장 많았고 세스바니아에서 가장 적었으며, 질소생산량은 네마장황에서 $168.1kg\;ha^{-1}$으로 가장 많았다. 따라서, 개화특성, 녹비수량, 질소생산량을 기준으로 볼 때 여름용 경관작물 중 네마장황이 녹비와 경관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한반도 아고산지대내 기후변화 취약식물종의 식물계절성 변화 연구 - 덕유산 정상 지역을 중심으로 - (Plant Phenology of Threatened species for Climate change in Sub-alpine zone of Korea - Especially on the Summit Area of Mt. Deogyusan -)

  • 김혁진;홍정기;김상철;오승환;김주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549-556
    • /
    • 2011
  • 에 분포하는 기후변화 취약식물종인 목본식물 20종, 초본식물 18종 총 38종을 대상으로 2009년 5월부터 2010년 11월까지 식물계절 변화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조사식물은 개엽, 개화, 낙화, 단풍, 낙엽 등 5개의 특성으로 구분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아고산지대내 기후변화 취약종의 식물계절 변화를 분석하였다. 기상 자료는 2009년 11월 말부터 2010년 12월 초까지 측정되었으며 조사 결과, 기온은 향적봉-중봉 지역에서 최대가 $30.4^{\circ}C$, 최소가 $-20.3^{\circ}C$로 조사되었으며, 상대습도는 최고 100%, 최소 3.4%로 조사되었다. 덕유산 향적봉과 중봉지역의 개엽시기를 조사한 결과 박새, 산오풀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종들은 비슷하거나 전년도에 비해 6~20일 정도 늦게 나타났다. 개화시기는 식물계절 변화 중 가장 큰 차이를 보였으며, 이른 봄에 개화하는 처녀치마, 산철쭉, 노랑제비꽃은 2차년도에 13일~20일 빠른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늦은 봄과 여름에 개화하는 백당나무, 풀솜대, 개시호 등은 2차년도에 6일~10일 늦은 것으로 나타났다. 낙화시기와 단풍시기는 전년도에 비해 10일~18일 늦은 것으로 나타났고, 낙엽시기는 전년도와 유사한 경향성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 기후변화의 영향이 한반도 아고산지대에 분포하는 기후변화 취약종들에게 상당히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벚나무의 계절현상과 이를 이용한 지역축제와의 관계 - 창원시 진해 군항제 사례 - (Relationship with the Phenology of Cherry Blossoms and Associated Festival : Case of Changwon Jinhae Gunhangje)

  • 도윤호;김성보;주기재;최기룡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46-453
    • /
    • 2013
  • 식물 계절현상을 이용한 축제는 생태계서비스의 한 형태로서 생태계와 인간이 문화적 요소를 통해 서로 상호작용을 하는 예이다. 봄철 식물의 계절현상을 이용한 대표적인 축제는 창원시 진해 군항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1987년부터 2013년까지의 벚나무의 계절학적 자료와 군항제 개최시기 및 방문자수를 조사하여 식물계절학과 지역축제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또한 행사기간 중 기상조건 (평균기온, 최저 최고기온, 강수량, 강수일수)과 행사시기특성(년도, 휴일수-토, 일요일 수, 행사기간일수, 행사시작일-개화일 차이)을 파악하여 군항제 방문객수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을 찾기 위해 노력하였다. 시계열분석 결과 지난 26년 동안 벚나무의 발아일과 개화일의 주기성을 보이지 않거나 나타나더라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방문객의 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으로는 기온, 일자(day), 강수요인이 추출되었다. 군항제기간의 기온이 방문객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벚나무의 개화시기와 행사기간이 불일치하더라도 방문객 수의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확실성이 떨어지는 개화시기를 맞춰 축제기간을 설정하기 보다는 행사기간을 고정하고 일부 유동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행사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는 것이 군항제의 성공적인 운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PDF

용동굴레와 각시둥글레의 생장특성과 라메트 개체군의 동태 (Growth Characteristics and Demography of Polygonatum involucratum and Polygonatum humile Ramet Population)

  • Choung, Yeon-Sook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4권3호
    • /
    • pp.305-316
    • /
    • 1991
  • Growth hadit and demograph in a mature population of polygonatum and polygonatum humile in kanghwa island were studied for two growing seasons. Shoots of two species emerged early spring from the growing apices of the underdground rhizomes which had persisted for up to 1~5 year.after flowering, the ramets produced two rhizome buds at the shoot base. Bacause of the apical dominance in the rhizome system, a new rhizome was developed from only one bud, an actual bud,and the other latent buds were suppressed sothat remained dormant. The latent dud produced a new rhizome only when the actual dud was severed by the herbivores or by the physical obstacles. Therefore, the ramet number is not increased by the new rhizome from the latent bud. however, new ramets dould sometimes grow from latent buds which had been produced more than a year ago. Production of these ramets was main means increasing the ramet numbew and widening the potential zone of exploitation. Changes in size class of each ramet were noyiceable after a tear in small size-classes. Small ramets replaced themselves with larger-sized ramet, while large ramets with similar-sized or smallar-sized ramets. ramet numbers were average 0.82and 1.14 times of those fromthe previous year inp. involucratum and p. humile, though there was between-site variation. Almost all the ramets in the quadrats were alive during the growing season. when the entire rhizome systems were excavater next spring, there were many rhizomesegments without shoots, especially in p. involucratum. therefore, the drcrease of ramet number in p. involucratum in probably due to the climatic factors of winter.

  • PDF

Effect of plastic film rain shelter installation in Asian pear orchards on frost and freeze damage and fruit quality

  • Hyeong-Seok Lee;Yu-Rim Kim;Young-Jik Ahn;Ho-Seok Son;Jong-Pil Chun
    • 농업과학연구
    • /
    • 제50권3호
    • /
    • pp.497-505
    • /
    • 2023
  • This study evaluated the impact of rain shelters made of plastic film on spring frost damage and fruit quality in Asian pears ('Niitaka') over two years. In 2021, during the coldest spring days (between 0:00 am and 7:00 am), temperatures dropped to -1.20 - 0.43℃ at 120 cm and -1.33 - 0.57℃ at 200 cm above ground level in the control. Conversely, the rain shelter treatment maintained higher temperatures, -0.40 - 0.87℃ at 120 cm and -0.43 - 0.77℃ at 200 cm. Flower damag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rain-sheltered group, with incidences of 1.3 and 6.9% at 120 and 200 cm, respectively, compared with 18.1 and 22.6% in the control group. Visual observations verified the prevention of frost adhesion on flower organs in the sheltered group, compared with noticeable pistil death and petal browning in the control group. In 2022, when temperatures remained above 0℃, fruitlet stalk length was 5 - 6 mm longer in the sheltered group. The cumulative impact of rain shelters was evident in the improved fruit quality over the two years. This study suggests resilient cultivation strategies in the face of climate change to reduce frost damage, increase productivity, improve fruit quality, and potentially increase incomes of the farmers.

최근 12년간 아까시나무 만개일의 변화와 과정기반모형을 활용한 지역별 만개일 예측 (Recent Changes in Bloom Dates of Robinia pseudoacacia and Bloom Date Predictions Using a Process-Based Model in South Korea)

  • 김수경;김태경;윤석희;장근창;임혜민;이위영;원명수;임종환;김현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3호
    • /
    • pp.322-340
    • /
    • 2021
  • 최근 급격한 봄철 기온 상승과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한반도에 분포하고 있는 아까시나무의 개화 시기가 변화하면서 지역간에 동시 개화 현상(simultaneous blooming)이 관측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국내 양봉 산업에 큰 변화를 초래하였고, 이로 인해 정확도 높은 아까시나무 개화시기 정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아까시나무의 지역별 개화 시기 변화를 잘 설명할 수 있는 신뢰도 높은 개화 시기 예측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난 12년(2006~2017년)간 전국 26개 지점에서 관측된 아까시나무 만개일 자료와 과거 일기온 복원 자료를 활용하여 봄철 기온 및 아까시나무 만개일 변화의 경향성을 권역별로 파악하고, 과정기반모형을 활용하여 지역 통합 모형(SM)과 함께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는 세 모형-SM에 지점별 보정계수를 도입한 수정 통합 모형(MSM), 권역별로 모수를 추정하는 권역별 통합 모형(GM), 관측 지점별로 모수를 추정하는 지역 모형(LM)-을 도출, 성능을 비교하였다. 기온 및 만개일의 경향 분석 결과, 남부 지역에 비해 봄철 기온 상승률이 2배 이상 높았던 중북부 내륙 지역의 경우 만개일이 빠른 속도로 앞당겨져, 결과적으로 남서부 해안 지역과의 만개일 차이는 1년에 0.7098일씩 감소하였다(p-value=0.0417). 전체 지역에 대한 모형의 성능 비교 결과, 지역 특이성이 반영되지 않은 SM에 비해서 MSM은 24% 이상, LM은 15% 이상 감소한 RMSE 값을 나타냈다. 또한 LM과 MSM의 예측 알고리즘을 전국 범위로 확대하여 4년 간(2014~2017년) 16개의 추가 관측 지점을 대상으로 검증한 결과, LM에 코크리깅(Co-kriging)기법을 적용한 방법이 보정계수 전국 분포도를 추정하여 SM을 보정하는 방법보다 예측력이 더 뛰어났으며, 오차의 분포는 두 모형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RMSE: p-value=0.0118, Bias: p-value=0.0471). 본 연구는 아까시나무의 개화 시기 예측에 있어 지역 단위 예측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모형을 넓은 지역 범위로 확대,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