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orts Performance

검색결과 513건 처리시간 0.033초

사용자 참여형 연구 기반의 한국형 경기용 핸드사이클 개발과 사용성평가 - 국가대표 대상으로 - (A User Participato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Road Racing Hand Cycle and Usability Assessment: Targeting on National Players)

  • 김동욱;김정현;김종배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28권
    • /
    • pp.23-32
    • /
    • 2017
  • 본 연구의 배경 및 목적은 한국형 경기용 핸드사이클 국산화를 통해 국내 장애인의 스포츠 활성화에 기여하는 것이다. 현재 국내에서 생산하는 핸드사이클은 전무하며 모든 선수들이 외국에서 제작한 제품을 사용하고 있다. 외산제품의 경우 외국인 선수들의 체형에 맞게 제작이 되었기 때문에 국내 선수들이 사용할 경우 자신의 체형에 맞추기 위해 부품을 추가적으로 구성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비용적인 측면에서 부담을 가중할 뿐만 아니라 선수들의 경기력을 저하시키는 원인 중 하나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이전 연구에서 한국인 체형을 고려한 경기용 핸드사이클 개발을 진행하였고 개발된 시제품의 성능평가를 위해 외산제품과 비교 사용성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렇게 제작된 경기용 핸드사이클 시제품의 정량적, 정성적 평가 결과를 분석하고 개선 사항을 도출하여 국내선수들의 체형을 고려하면서 경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한국형 경기용 핸드사이클 개발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1차 시제품에서 도출한 문제점을 토대로 크랭크와 공기흡입부 및 배출부, 뒷 축 흔들림 방지장치 등을 추가적으로 구성하였고 개발된 제품의 사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현재 핸드사이클 국가대표 상비군 선수들이 사용하는 외산제품과 비교 사용성평가를 실시하였다. 사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효과성, 효율성, 만족도 영역에서 결과를 측정하였고 효과성을 제외한 효율성, 만족도에서 연구를 통해 개발된 시제품이 외산제품보다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외국산 핸드사이클의 수입을 재치할 수 있는 저가의 핸드사이클을 상용화하고 외국상품의 수입대체 효과와 수출로 인한 국제 경쟁력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여겨진다.

사용자 관심 이슈 분석을 통한 추천시스템 성능 향상 방안 (Improving Performance of Recommendation Systems Using Topic Modeling)

  • 최성이;현윤진;김남규
    • 지능정보연구
    • /
    • 제21권3호
    • /
    • pp.101-116
    • /
    • 2015
  • 많은 기관들이 데이터에 기반을 둔 의사결정을 수행해 왔으며, 특히 수치자료를 비롯한 정형 데이터가 이러한 목적으로 널리 활용되어 왔다. 하지만 최근에는 스마트기기와 소셜미디어의 발달로 인해 다양한 형태를 가진 방대한 양의 정보가 생성, 공유, 저장되면서, 전통적인 정형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으로부터 비정형 빅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으로 관심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의 대표적 분야인 추천시스템 분야에서도 성능 향상을 위해 비정형 데이터를 활용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최근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특히 사용자의 성향이나 선호도는 고객의 니즈와 직결되기 때문에, 비정형 데이터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성향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상품 추천 및 구매 예측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매우 시급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의 성향을 측정하여 재구매 예측 정확도, 특히 카테고리별 재구매 예측 정확도를 높임으로써, 궁극적으로 추천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일상적인 인터넷 사용 기록을 분석하여 고객이 조회하는 뉴스 기사의 이슈를 식별하고 다양한 이슈에 대한 고객의 관심을 계량화한 후, 이를 활용하여 고객의 카테고리별 재구매 여부를 예측하는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실제 웹 트랜잭션으로부터 도출된 인터넷 뉴스 조회 기록 및 쇼핑몰 구매 기록을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한 결과, 고객의 과거 구매이력만을 활용한 카테고리 재구매 예측 모형에 비해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형, 즉 고객의 과거 구매이력과 관심 이슈를 모두 활용한 예측 모형의 정확도가 다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Yoga와 Pilates 운동 수행이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Exercise Performance of Yoga and Pilates on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 김지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4450-4458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Yoga와 Pilates 운동 수행이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운동처방의 임상적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피험자는 체육전공 대학생 20명을 요가운동군(Yoga Group)과 필라테스운동군(Pilates Group)에 각각 10명씩 배정하였고, 자율신경계 측정은 운동 전, 운동 직후, 회복기 30분 후에 이루어졌다. 그 결과 첫째, 요가는 스트레스 지수와 평균맥박이 시기의 주효과와 시기와 집단의 상호작용효과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요가는 교감활성과 자율신경균형이 시기의 주효과, 시기와 집단의 상호작용효과, 집단의 주효과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맥박다양성, 부교감활성도, SDNN, RMSSD는 시기의 주효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시기와 집단의 상호작용효과와 집단의 주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요가는 스트레스 지수를 낮추고 평균맥박 감소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특히 요가 운동이 필라테스 운동보다 교감활성 감소와 자율신경균형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수중 및 균형 운동이 파킨슨 유발 백서모델에서 중뇌 흑질의 Tyrosine Hydroxylase 발현과 기능 회복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Aqua and Balance Exercise on Tyrosine Hydroxylase Expression in the Substantia Nigra and Functional Recovery in Hemiparkinsonian Rat Model)

  • 이현민;김범수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5권2호
    • /
    • pp.143-150
    • /
    • 2011
  • 이 연구는 수중 운동, 균형 훈련과 복합 운동이 파킨슨 유발 흰쥐 모델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 수산화도파민(6-hydroxydopamine)을 흰쥐의 좌측 내측전뇌다발에 주사하여 파킨슨 모델을 제작하였다. 실험동물은 수중 운동을 적용한 실험군 I, 균형 훈련을 적용한 실험군 II, 복합 운동(수중 운동+균형 훈련)을 적용한 실험군 III, 수술 후 표준사육장에서 운동을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으로 배치하였다. 수술 후 7일, 14일, 21일에 실험동물의 중뇌 흑질의 도파민 세포감소를 관찰하기 위하여 TH(tyrosine hydroxylase)의 발현 양상을 관찰하였고, 행동학적 검사로 수술 후 1일, 7일, 14일,21일에 아포몰핀유도 회전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실험군들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TH 발현과 아포몰핀유도 회전수를 보였다. 하지만 실험군들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파킨슨유발 흰쥐모델이 기능 회복에 수중 운동과 균형 훈련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으며, 흑질 치밀부의 도파민성 신경섬유의 증감을 나타내는 TH의 발현에도 수중 운동과 균형 훈련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목표달성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특성과 목표달성기제에 관한 연구 (The Relationship of Individual Trait Factors and Goal Mechanisms with Goal Attainability)

  • 박종철;최지은
    • 유통과학연구
    • /
    • 제12권11호
    • /
    • pp.45-53
    • /
    • 2014
  • Purpose - Goal setting is effective in any domain in which an individual or group has some control over the outcomes. It applies not only to work tasks but also to sports and health, and in various other settings. Its success depends on considering the mediators and moderators determining its efficacy and applicabilit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dividual factors influencing academic goal attainability. Unlike previous studies, we focused on the effect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 traits (passion, tenacity, self-control) and specific motivation (vision, self-efficacy, implementation intentions) with academic goal attainability, rather than the effec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itment and the goal shielding mechanism with goal attainabilit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Data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the SPSS program. A total of 293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TOEIC program, participated in the survey. Slightly more than half were female (male: n=145 vs. female: n=148). We verified nine hypotheses through various statistical methods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the hypothesis test, bootstrapping test for the mediation test). Results - Data was analyzed in three phases. The first phase involved measurement analysis (i.e., item purification and factor structure confirmation), involving the scales of the three variables of individual traits, three mechanism variables, and goal attainability. The second phase involved estimating the proposed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key constructs (see Figure 1), using the results to test H1 to H9. The final phase involved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three variables (vision, implementation intention, and self-efficacy). The research model shows that the independent variable passion has a significant result with both the mediators-vision and self-efficacy. Further, vision and self-efficacy significantly affect goal attainability. The second variable, self-control, shows a significant effect when mediated by implementation intentions, but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implementation intension and goal attainability shows an insignificant result. However, when further mediated by self-efficacy, it showed a significant effect between self-efficacy and goal attainability. Similarly, the third variable, tenacity, shows an insignificant result when mediated by vision. In contrast, the mediator self-efficacy shows a positive effect between tenacity and goal attainability. Conclusions - This study shows how these individual traits, when mediated with the appropriate motivational factors, resulted significantly in the attainability of academic goals. We may identify several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tributions. Theoretically, we developed a step further in the research into consumer goals and related studies. Future research could examine the effects of different learning goal types and their combinations with performance goals (e.g., learning goals first, then performance goals), different types of goal framing (approach success vs. avoid failure), the relation between goals and cognition (which, by implication, entails all of cognitive psychology), goal hierarchies, and macro goal studies with organizations of different sizes. More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cious and subconscious goals would also be valuable.

UCC를 활용한 단소 실기 원격 교육 (An Web-based Training of a short bamboo flute performance by using UCC)

  • 이용배;임성준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471-482
    • /
    • 2007
  • 최근 UCC(User-created content)는 연예, 스포츠 등의 분야에서 많이 생성되어 공유되고 있지만 그 생명주기(life cycle)는 매우 짧고 이를 교육이나 학습에 활용하는 경우는 거의 드문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UCC 중에서 특히 창작 동영상을 활용하여 원격 교육에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교사는 자신이 제작한 동영상을 원격 교육 시스템에 탑재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자기 주도적 학습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학생들은 직접 만든 동영상으로 교사에게 지속적인 피드백을 받고 최종 평가를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모형으로 원격 교육 시스템을 구현하고 초등학교 특기 계발교육 중 단소 실기 과목을 선정하여 원격 교육을 수행하였다. 원격 교육 후의 설문에서 학생들은 우선 단소 실기 능력이 향상되고 학습 및 평가 방법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단소 실기 능력 향상 이외에도 카메라/캠코더 조작기술 및 컴퓨터 활용 능력이 향상되었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동영상을 친구들 혹은 부모님과 함께 제작하고 많은 시간을 함께 보내면서 대부분의 학생들이 이전보다 관계가 더 좋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 PDF

VR을 이용한 균형능력 측정장비의 성능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Balance Ability Equipment Using VR)

  • 윤상철;안호원;안택원;최해성;이병권;서동권;이규환;정상우;이재훈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33-41
    • /
    • 2020
  • Purpose : Conventional Balance Measurement can only measure the center of gravity and the shaking movement of the body. As a result, it has the disadvantages of not responding to visual changes and blocking functions of variabl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new equipment that measures the balance of the body using changes in body segment and pressure using the acceleration sensor to compensate for the disadvantages of the existing equipment. Methods : To this end, balance ability was measured in 43 healthy male/female adults without orthopedic injuries and nervous system damage in the last 6 months. in a situation where the visual information was restricted by Virtual Reality (VR) gear, all subjects measured and evaluated the balance ability utilizing the new equipment. Balance measurement (Prime Medilab, Korea) and Wii fit (Nintendo, Japan) were used to measure the balance ability of the subjects, and the balance ability test was performed in 4 postures using each device for data acquisition. The test duration for each posture was 30 seconds. For data acquisition, the average value of three experiments measured using each equipment was analyzed, and the statistical test was performed using the independent sample and the corresponding sample t-test, and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to α=.05. Results :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balance ability using individual equipment, blocking visual information using VR gear, the average speed, maximum speed, and moving area of the COP increased equally. It was found that the obtained absolute size of the result in Wii was somewhat larger than that of BM. Conclusion : It is considered that in the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measure changes in the body's center of gravity through image analysis, etc., to make clear comparison and evaluation of the usability.

엘리트 선수의 도핑 사고성향 분석을 위한 한국형 PEAS의 타당도 검증: Rasch 모형 적용 (Study on the validity of PEAS for analyzing doping attitude and disposition of Korean elite player through Rasch model)

  • 김태규;김세형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5권3호
    • /
    • pp.567-578
    • /
    • 2014
  • 이 연구는 Rasch 모형을 적용하여 우리나라 엘리트 선수의 도핑 사고성향 분석을 위한 PEAS의 타당도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PEAS (performance enhancement attitude scale)는 Petroczi (2006)이 제시한 선수들의 도핑 (doping)에 대한 사고방식과 성향을 측정하는 척도로 17문항 6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국가대표 엘리트 선수 438명을 대상으로 측정하였고, Rasch 모형을 적용하여 타당도를 분석하였다. 우선 Rasch 모형의 기본가정인 일차원성을 검증하기 위해 SPSS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주성분분석을 실시하였다. 문항의 적합도 검증과 측정척도 범주의 타당도, 그리고 성별에 따른 차별기능문항을 추출하기 위해 Winsteps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분석에 모든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자료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총 17문항으로 구성된 PEAS는 일차원성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응답범주 수의 타당도는 6점척도보다 5점척도가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항의 적합도는 17문항 중 7문항 (문항1, 문항9, 문항10, 문항12, 문항13, 문항14, 문항17)이 통계적으로 적합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별에 따른 차별기능문항 분석 결과 3문항 (문항3, 문항12, 문항13)이 추출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우리나라 엘리트 선수의 도핑 사고성향분석을 위한 PEAS는 9문항 5점척도가 타당한 것으로 구명되었다.

Method for Screening and Confirming Meldonium in Human Urine by High-Resolution Mass Spectrometry and Identification of Endogenous Interferences for Anti-Doping Testing

  • Kim, Yongseok;Jeong, Dawon;Min, Hophil;Sung, Changmin;Park, Ju-hyung;Son, Junghyun;Lee, Kang Mi;Kim, Ho Jun;Lee, Jaeick;Kwon, Oh-Seung;Kim, Ki Hun
    • Mass Spectrometry Letters
    • /
    • 제8권2호
    • /
    • pp.39-43
    • /
    • 2017
  • Meldonium is a drug for treating ischemia by expanding the arteries but it can also enhance the performance of sports players. The World Anti-Doping Agency (WADA) has included it in the list of prohibited substances since 2016. Meldonium is one of the challenging substances for anti-doping testing because it is difficult to recover by general liquid-liquid or solid phase extraction due to its permanent charge and high polarity. Therefore,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is currently used by injecting a diluted urine sample (known as the "dilute-and-shoot" strategy). There is no loss of target compounds in the extraction/cleanup procedure but its high matrix effect could interfere in their separation or detection from the endogenous urinary compounds. We report a single method using high-resolution mass spectrometry that can be used for both screening and confirmation, which follows the "dilute-and-shoot" strategy. In this method, the endogenous compounds' interfering peaks in the mass spectrum are separated at a high resolution of FWHM 140,000, and the results are suitable for substance detection following the WADA guidelines. The interferences in the obtained mass spectrum of the urine matrix are identified as acetylcholine, lysine, and glutamine by further analysis and database searching. Validation of the method is performed in routine anti-doping testing, and the limit of detection is 50 ng/mL. This method uses simple sample preparation and a general reverse phase HPLC column, and it can be easily applied to other substances.

24주간 운동이 고등학교 단거리 선수의 심폐능력, 기초체력, 신체조성 및 근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24 weeks of Training program on Aerobic Capacity,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and Muscular strength in High School Sprinters)

  • 문태영;김인동;한건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4360-436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단거리 선수의 심폐능력, 기초체력, 신체조성, 그리고 각 부위별 근력이 24주간 운동을 통하여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규명하였다. D 고등학교에 재학중이며 운동경력이 최소 4년이상된 남자 단거리 선수 8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운동 전 후 연구대상자들의 심폐능력, 신체조성, 근력 그리고 기초체력을 측정하여 자료처리 하였다. 본 연구결과, 체지방률, 체지방량, 제지방량, 그리고 체수분량 모두 훈련 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p<0.05). $VO_2$max와 aerobic threshold는 운동전보다 향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 (p<0.05). 근력 및 기초체력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승 변화을 보였다 (p<0.05.) 본 연구결과 24주간의 훈련 프로그램은 남자 고등학교 단거리 선수들의 총체적 체력 향상을 도모하였다. 단거리 훈련 프로그램 작성 시 전통적인 방법으로 훈련을 계획하고 실천하기 보다는 경기력 향상 및 부상 예방을 위하여 훈련 전 종합적인 신체검사 및 체력 검사를 전문가와 같이 실시 및 평가하여 이를 토대로 개인의 체력에 맞게 훈련 프로그램을 계획 실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