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ore production

검색결과 181건 처리시간 0.023초

Kinetics of Enriched Chitinase as Extracellular Metabolite in Beauveria bassiana

  • Mondal, Subhoshmita;Datta, Siddhartha;Mukherjee, Alakananda;Bhattacharya, Pinaki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96-104
    • /
    • 2019
  • Beauveria bassiana, one of the most common entomopathogenic fungi, has been isolated, pre defined and characterized in-house from soil of tea cultivation area. Experiments have been performed to verify the presence of chitinase as intracellular metabolite and its release as extracellular product rendering the spores with biopesticide activity. Although there are many responsible enzymes for the pest killer action of B. bassiana, binding property of chitinase depending on presence as well as absence of serine supplemented in the media has been studied with respect to the production and kinetics. A programmed investigation conclusively indicates that the isolated spore (hyphae) of B. bassiana has been metabolically enriched with the enzyme chitinase in presence of an externally added amino acid serine with its inhibitory kinetics.

프로바이오틱 비스루트균의 아포생산을 위한 최적배지 개발 (Development of a Culture Medium for Growth and Sporulation of Bacillus polyfermenticus SCD)

  • 이광호;박규용;김성미;김원석;백현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63-268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프로바이오틱 생균인 비스루트균의 최적 배지 탐색을 위해 탄소원, 질소원 그리고 아포형성의 극대화를 위한 인산염의 최적 농도를 검토하였다. 500 mL baffle flask 에서 배양을 실시한 결과, 탄소원 영향 실험에서는 포도당 2%(w/v)와 전분 2%(w/v)가 첨가되었을 때 최대 총균수$(4.7{\times}10^9\;CFU/mL)$와 활성아포수$(4.3{\times}10^9\;CFU/mL)$를 보였으며 아포형성율은 91%이었다. 질소원 영향 실험에서는 대두분이 5%(w/v) 첨가되었을 때 최대 총균수$(5.9{\times}10^9\;CFU/mL)$와 활성아포수$(5.7{\times}10^9\;CFU/mL)$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인산염 실험에서는 최대 총균수$(6.3{\times}10^9\;CFU/mL)$와 활성아포수$(6.0{\times}10^9\;CFU/mL)$$KH_2PO_4$를 1%(w/v) 첨가되었을 때 얻을 수 있었으며 아포형성율은 95%를 보였다. 5L 발효조에서 최적 배지인 KH5 배지를 이용하여 $32^{\circ}C$의 온도에서 통기량 1 vvm, 교반속도 450 rpm, pH $7.0{\pm}0.1$로 맞추어 회분식 배양을 실시한 결과 최대 총균수는 $3.3{\times}10^{10}\;CFU/mL$을 보였으며 최대 활성아포수는 $3.0{\times}10^{10}\;CFU/mL$을 나타내었고, 아포형성율은 94%를 나타내었다. 이때 아포 생산성은 $5{\times}10^8\;spores/mL/h$이었다.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irborne Mushroom Damaging Trichoderma spp. from Indoor Air of Cultivation Houses Used for Oak Wood Mushroom Production Using Sawdust Media

  • Kim, Jun Young;Kwon, Hyuk Woo;Lee, Dong Hyeung;Ko, Han Kyu;Kim, Seong Hwa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5권6호
    • /
    • pp.674-683
    • /
    • 2019
  • Some species of the Trichoderma genus are reported as the major problem in oak wood mushroom production in Korea. In spite of economic loss by the fungi, scientific information on airborne Trichoderma species is not much available. To generate information for disease management development we analyzed airborne Trichoderma. A total of 1,063 fungal isolates were purely obtained from indoor air sampling of cultivation houses used for oak wood mushroom using sawdust media. Among the obtained isolates, 248 isolates were identified as Trichoderma fungi including T. harzianum, T. atroviride, T. citrinoviride, and T. pseudokoningii, by morphological and molecular analysis. T. harzianum was dominant among the four identified species. All the four Trichoderma species grew fast on solid nutrient media tested (potato dextrose agar [PDA], malt extract agar [MEA], Czapek's Dox + yeast extract agar [CYA] and cornmeal dextrose agar). Compact mycelia growth and mass spore production were better on PDA and CYA. In addition, T. harzianum and T. citrinoviride formed greenish and yellowish mycelium and spores on PDA and CYA. Greenish and yellowish pigment was saturated into PDA only by T. pseudokoningii. These four Trichoderma species could produce extracellular enzymes of sawdust substrate degradation such as β-glucosidase, avicelase, CM-cellulase, amylase, pectinase, xylanase, and protease. Their mycelia inhibited the growth of oak wood mushroom mycelia of two tested cultivars on dual culture assay. Among of eleven antifungal agents tested, benomyl was the best to inhibit the growth of the four Trichoderma species.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airborne Trichoderma fungi need to be properly managed in the cultivation houses for safe mushroom production.

Lovastatin 고생산성 변이주의 신속 선별을 위해 통계적 방법을 적용한 Sporulation 배지 개발 및 Miniature 배양 방법 개발 (Mass Screening of Lovastatin High-yielding Mutants through Statistical Optimization of Sporulation Medium and Application of Miniaturized Fungal Cell Cultures)

  • 안현정;정용섭;김평현;전계택
    • KSBB Journal
    • /
    • 제22권5호
    • /
    • pp.297-304
    • /
    • 2007
  • Lovastatin은 근사형성 균류인 Aspergillus terreus가 생합성하는 이차대사산물로 강력한 고지혈증 치료제로 널리 이용되는 물질이다. 본 연구에서는 lovastatin 고생산변이주를 이용하여 포자배지 최적화를 통한 miniature 배양 방법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우선 miniature 배양에 필수적인 효과적인 포자 형성 방법을 개발하고자 포자 형성 배지의 통계학적 배지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Miniature 배양의 inoculum으로 이용되는 대량의 포자를 획득하기 위해 Plackett-Burman 실험법을 이용하여 포자 형성을 향상시키는 성분을 조사한 결과, glucose, sucrose, yeast extract 그리고 $KH_2PO_4$가 주목할 만한 효과를 보였다. 상기 성분의 최적 농도를 확인하기 위해 반응표면분석법 (RSM)을 이용한 결과, PDA 포자 형성 배지와 비교하여 볼 때, 최적 성분 농도에서 포자 형성이 약 190배 증가하였다. 최적화된 포자형성 배지를 이용하여 lovastatin 고생산성 변이주의 대량 선별을 위한 miniature 배양 방법을 확립하기 위해 기존의 실험 과정에 'PaB (adaptation)'라는 한 번의 계대배양을 더 추가한 결과 생산균주의 안정성과 재현성이 큰 폭으로 증가하는 주목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단기간에 가능한 한 다량의 균주를 스크리닝하기 위해 성장배양과 생산배양 모두 조업부피가 7 ml인 tube를 이용해 miniature 배양을 반복 수행하여, lovastatin 생산성과 배양형태가 훌륭한 변이주를 선별할 수 있었는데, 이 균주는 7 ml tube배양과 250 ml flask배양 (조업부피 50 ml) 모두에서 생산성이 높은 것으로 보아 산소 의존도가 비교적 낮고 생산 안정성이 높은 균주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miniature 배양을 이용해서 lovastatin 고생산성을 보이는 균주를 신속 선별하기 위해서는 균주의 적절한 배양형태 유도가 매우 중요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즉 생산배양으로의 고활성 균주의 접종을 위해서, 또한 생산배양에서 pellet의 배양형태 유도를 위해서 성장배양 시에는 반드시 고농도의 균사모양을, 생산배양 시에는 직경 1 mm 이하의 pellet모양의 배양 형태를 유지해야만, 생산균주가 lovastatin을 안정적으로 고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초기에 선별된 균주를 이용하여 miniature 배양에 의해 고속 균주선별 실험을 반복함으로써 고생산성 균주들을 다량 선별할 수 있었는데, 이들의 lovastatin 생산성을 조사한 결과, 기존의 flask 배양대비 오차범위가 $\pm$20% 이내의 생산성을 보이는 균주가 초기 선별시의 32%에 비해 81%로 크게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lovastatin 고생산성, 고안정성 균주의 고속 스크리닝을 위해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tube를 이용한 miniature 배양이 기존의 flask 배양을 대체할 수 있는 훌륭한 배양방법임을 제시해 준다.

황토로부터 분리한 Bacillus licheniformis의 항진균 chitinase 생산과 효소 특성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fungal Chitinase of Bacillus licheniformis Isolated from Yellow Loess)

  • 한귀환;봉기문;김종민;김평일;김시욱
    • KSBB Journal
    • /
    • 제29권3호
    • /
    • pp.131-138
    • /
    • 2014
  • In this study, we isolated two novel chitinase producing bacterial strains from yellow loess samples collected from Jullanamdo province. The chitinase producing bacteria were isolated based on the zone size of clearance in the chitin agar plates. Both of them were gram positive, rod ($2{\sim}3{\times}0.3{\sim}0.4{\mu}m$), spore-forming, and motility positive. They were facultative anaerobic, catalase positive and hydrolyzed starch, gelatin, and casein. From the 16s rRNA gene sequence analysis, the isolates were labeled as Bacillus licheniformis KYLS-CU01 and B. licheniformis KYLS-CU02. The isolates showed higher extracellular chitinase activities than B. licheniformis ATCC 14580 as a control. The optimum temperature and pH for chitinase production were $40^{\circ}C$ and pH 7.0, respectivel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was used to optimize the culture medium for efficient production of the chitinase. Under this optimal condition, 1.5 times higher chitinase activity of B. licheniformis KYLS-CU02 was obtained. Extracellular chitinases of the two isolates were purified through ammonium sulfate precipitation and anion-exchange DEAE-cellulose column chromatography. The specific activities of purified chitinase from B. licheniformis KYLS-CU01 and B. licheniformis KYLS-CU02 were 7.65 and 5.21 U/mg protein, respectively. The molecular weights of the two purified chitinases were 59 kDa. Further, the purified chitinase of B. licheniformis KYLS-CU01 showed high antifungal activity against Fusarium sp.. In conclusion, these two bacterial isolates can be used as a biopesticide to control pathogenic fungi.

Agrobacterium radiobacter에 의(依)한 다당류(多糖類) 생산(生産)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Polysacrhacides by Agrobacterium radiobacter)

  • 이계호;신현승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6권2호
    • /
    • pp.110-118
    • /
    • 1983
  • 병(病)든 콩의 줄기와 뿌리에서 분리(分離)한 bacteria균주(菌株) SAF-C는 운동성(運動性)이 있으며 동정(同定)한 결과(結果) Agrobacterium radiobacter임이 밝혀졌다 또 anilineblue 방법(方法)으로 이 균주중(菌株中) 수용성(水溶性) 다당(多糖)만을 거의 완전(完全)하게 생산(生産)하는 균주(菌株)를 선별(選別)하고 SAF-C.W라 하였다. 진탕배양에서 SAF-C.W의 높은 산성(酸性), 수용성다당(水溶性多糖)의 생산조건(生産條件)을 찾기 위하여 본 실험(實驗)이 행(行)하여졌다. 많은 양(量)의 다당(多糖)이 glucose 4%, $CaCO_3$ 0.3% 질소원(窒素源)으로 yeast extract, $(NH_4)_2HPO_4$ 및 distillers dried solubles(D.DS.)을 0.5% 포함(包含)하는 각각의 배지(培地)에서 생산(生産)되었으며, 그 생산율(生産率)은 22.9%, 10%, 9.6%이었다. 또 glucose 3%, D.D.S. 0.4% $K_2HPO_4$ 0.5%, $MgSO_4{\cdot}7H_2O$ 0.01%의 조성(組成)을 가지는 배지(培地)에서 다당수득율(多糖收得率) 25%를 기록(記錄)하였다.

  • PDF

참굴의 난(卵)에 기생(寄生)하는 Marteilioids chungmuensis Comps et al., 1986에 관하여 (Study on Marteilioides chungmuensis Comps et al., 1986 Parasite of the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Thunberg)

  • 박미선;전세규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53-70
    • /
    • 1989
  • 1986년(年) 1월(月)부터 1988년(年) 12월(月)까지 3개년(個年)에 걸쳐 남해안(南海岸) 굴 수하식(垂下式) 양식장(養殖腸)인 충무 화도, 서해안(棲海岸) 투석식(投石式) 양식장(養殖腸)인 오천, 그리고 자연(自然) 서식장(棲息腸)인 동해안(東海岸) 신창의 참굴을 대상으로 Marteilioides chungmuensis의 생태학적(生態學的) 및 형태학적(形態學的) 조사(調査)를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1986년 화도 양식장(養殖腸)에서 채집(採集), 조사(調査)된 총(總) 360개체(個體)의 참굴 중(中) M. chungmuensis가 발견(發見)된 개체(個體)는 19개체(個體)로 5.3%의 출현율(出現率)을 나타내었으며, 오천 양식장(養殖腸)에서 360개체중(個體中) 15개체(個體)로 4.2%, 그리고 1987년(年) 화도 양식장(養殖腸)에서는 총(總) 360개체(個體) 중(中) 24개체(個體)가 발견(發見)되어 6.7%, 오천 양식장(養殖腸)에서는 360(個體) 중(中) 10개체(個體)로 2.8%의 출현율(出現率)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1986년(年)과 1987년(年) 동해안(東海岸)의 신창에서 채집(採集)된 총(總) 720개체(個體)의 참굴 중(中) M. chungmuensis가 발견(發見)된 참굴은 없었다. 2. 1988년(年) 3월(月)에서 12월(月)까지 M. chungmuensis가 전혀 발견(發見)되지 않은 동해안(東海岸) 신창산(産) 참굴을 남해안(南海岸)의 화도로 이식(移植)하여와 감염율(感染率)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이식(移植)된 신창산(産) 참굴에 있어서는 5월(月)부터 M. chungmuensis에 감염(感染)된 개체(個體)가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총(總) 300개체(個體)의 조사(調査) 굴 중(中) 25개체(個體)가 M. chungmuensis에 감염(感染)된 것으로 나타났다. 3. M. chungmuensis의 출현(出現) 시기(時期)는 화도의 경우 6월(月)부터 11월(月), 오천의 경우 6~10월(月)사이로 참굴의 산란(産卵)이 시작되는 시기(時期)부터 완전히 종료(終了)된 후 2개월까지의 시기(時期)였으며, 산란(産卵)이 진행됨에 따라 M. chungmuensis의 출현율(出現率)은 점점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었다. 4. M. chungmuensis에 감염(感染)된 성숙란(成熟卵)은 산란(産卵)이 진행됨에 따라 일부는 정상적(正常的)인 난(卵)과 함께 아가미를 통하여 배출되고, 나머지 생식소(生殖巢)에 남아있는 M. chungmuensis에 감염(感染)된 난(卵)은 생식소내(生殖巢內)에서 붕괴, 사멸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기생충(寄生蟲)에 감염(感染)된 참굴에서는 생식소(生殖巢)의 여포(濾胞)주위에 강한 혈구성(血球性) 침윤(浸潤)이 나타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5. 이 기생충(寄生蟲)의 난소내(卵巢內) 성숙과정(成熟過程)의 관찰결과(觀察結果) M. chungmuensis는 성숙(成熟)한 난모세포(卵母細胞)의 세포질내(細胞質內)에 근세포(根細胞), 즉 1 차(次) 세포(細胞)로 자리잡게 되며, 이 기생충(寄生蟲)은 포자형성(胞子形成) 기간(期間)동안 외생발아(外生發芽)에 의해 2 개 또는 3 개의 2 차(次) 세포(細胞)를 형성하며, 내생발아(內生發芽)에 의해 1 개의 3 차(次) 세포(細胞)를 형성하고, 2 차(次) 세포(細胞)는 성장하여 포자모세포(胞子母細胞)로 되는 phylum Ascetospora, class Paramyxea에 속하는 종(種)들 중 가장 단순한 성숙과정(成熟過程)을 거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Clostridium 속 미생물 대사공학을 통한 butanol 생산 (Metabolic engineering of the genus Clostridium for butanol production)

  • 우지은;김민지;노현지;황누리;김진효;이상엽;장유신
    • 미생물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391-397
    • /
    • 2016
  • Clostridium은 그람양성, 장간균으로 포자를 형성하는 절대혐기성 균이다. Clostridium은 다양한 기질을 이용할 수 있고, 유용 화합물 합성을 위한 building block으로 사용 가능한 대사산물을 생산할 수 있어, 최근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특히, Clostridium을 이용하여 생산된 butanol은 차세대 연료로써 고려되고 있다. 수송용 연료로써 butanol은 1세대 바이오연료인 ethanol과 비교하여 더 높은 에너지 밀도와 낮은 흡습성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butanol 생산을 위한 Clostridium 대사공학이 활발히 진행되어 상당한 진보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butanol 생산을 위한 Clostridium의 대사공학 전략을 리뷰하고, 관련 분야에 대해서 간략히 전망하였다.

Novel Approaches to Clubroot Management in Western Canada

  • Hwang, Sheau-Fang;Strelkov, Stephen E.
    • 한국균학회소식: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균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임시총회
    • /
    • pp.49-49
    • /
    • 2015
  • Over the past decade, clubroot has emerged as a major constraint to canola (Brassica napus) production in central Alberta, Canada. The number of fields with confirmed P. brassicae infestations in Alberta has increased steadily from 12 in 2003 to nearly 2,000 in 2014. Management of clubroot on canola has focused on sanitization of field equipment, soil amendments to reduce viable pathogen populations, long rotations out of susceptible crops and cropping of resistant cultivars. Clubroot resistance is the most effective and economical method of disease mitigation, but the recent identification of isolated P. brassicae populations with novel virulence phenotypes capable of overcoming resistance in most canola cultivars highlights the variable nature and adaptability of the pathogen. Recent studies have shown slight reductions in pathogen populations through crop rotations, but much more substantial reductions in spore populations in heavily infested areas near field entrances using fumigants such as Vapam (metam-sodium) or Basamid (dazomet). Greenhouse trials showed that seedling emergence, plant height and root weight increased, while primary and secondary infection and disease severity decreased with increased Basamid dosage. However, field trials showed some phytotoxicity. Application of Vapam at rates of 0.4 to $1.6mL\;L^{-1}$ soil resulted in 12-16 fold reductions in clubroot severity and primary and secondary infection. Vapam also was effective in reducing clubroot severity and improving canola seed yield under field conditions. These studies underscore the need for good resistance stewardship and for the integration of multiple products and practices for successful management of clubroot on canola.

  • PDF

호알칼리성 미생물의 분리, 동정 및 중성에서 생육 가능한 변이주의 분리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lkalophilic Microorganism and its Mutant Growing at Neutral pH)

  • 심창환;신원철;유주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43-547
    • /
    • 1991
  • 토양으로부터 호알칼리성 미생물을 분리하여 동정 한 결과, Bacillus속의 특성을 나타내어 Bacillus sp. SH-8로 명명하였다. Bacillus sp. SH-8은 초기 pH 9.0이상의 알칼리에서만 생육이 가능하였으며 중성 pH에서는 불가능하였다. Bacillus sp. SH-8로부터 U.V.조사에 의해 중성배지에서도 생육이 가능한 변이주를 분리하여 Bacillus sp. SH-8M으로 명명하였으며, 초기 pH 6.9부터 11.0까지 생육이 가능하였다. 따라서 이들 두 균주는 pH 변화에 따른 생육과 효소생산을 비교, 검토하는데 적합한 균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