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orangiospores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5초

Rhizopus Soft Rot on Cherry Tomato Caused by Rhizopus stolonifer in Korea

  • Kwon, Jin-Hyeuk;Kang, Soo-Woong;Kim, Jeong-Soo;Park, Chang-Seuk
    • Mycobiology
    • /
    • 제29권3호
    • /
    • pp.176-178
    • /
    • 2001
  • A soft rot of fruits caused by Rhizopus stolonifer occurred on cherry tomato in Jinju City Agricultural Products Wholesale Market, Korea. The disease infection usually started from wounding after cracking of fruits. At first, the lesions started with water soaked and were rapidly softened and diseased lesion gradually expanded. The mycelia grew vigorously on the surface of fruits and formed stolons. Colonies on potato dextrose agar at $25^{\circ}C$ were white cottony at first, becoming heavily speckled by the presence of sporangia and the browinish black, and spreading rapidly by means of stolons fired at various points to the substrate by rhizoids. Sporangia were $82.7{\times}196.7{\mu}m$ in size and globose or sub-globose with somewhat flattened base. The color of sporangia was white at first and then turned black with many spores, and never overhanging. Sporangiophores were $2.6{\sim}5.8{\times}12.3{\sim}24.2{\mu}m$ in width, smooth-walled, non-septate, tight brown, simple, long, arising in groups of $3{\sim}5$ from stolons opposite rhizoids. Sporangiospores were $8.2{\sim}18.8{\mu}m$ long, irregular, round, oval, elongate, angular, and browinish-black streaked. Columella was $64.1{\times}136.3{\mu}m$. brownish gray, and umberella-shaped when dehisced. The causal organism was identified to be R. stolonifer. This is the first report of Rhizopus soft rot on cherry tomato caused by R. stolonifer in Korea.

  • PDF

Rhizopus arrhizus (syn. R. oryzae)에 의한 팥 갈색잎마름병 첫 보고 (First report of red bean brown leaf blight caused by Rhizopus arrhizus (syn. R. oryzae))

  • 이성균;연지은;연은솔;전종옥;신현만;김주형;이상범
    • 환경생물
    • /
    • 제41권4호
    • /
    • pp.677-682
    • /
    • 2023
  • 충북 괴산군 장연면에 위치한 팥 재배지에서 팥잎에 유백색 반점이 생기고 점차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염 부위가 갈색으로 변하는 증상을 발견하였다. PDA 배지에서 병원균을 배양 후 형태를 관찰하고 유전자를 NCBI에서 BLAST search한 결과 R. arrhizus라는 진균으로 동정되었다. 또한 분리한 병원균을 팥에 다시 접종한 결과 분리한 잎에서 나타난 증상과 동일한 증상이 발생하여 팥에 병원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R. arrhizus의 특징으로 PDA 배지에서 균총은 초기에 밝은색을 띠다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두운 회색으로 변하였으며, 포자낭은 대부분 구형이었다. 포자낭포자의 경우 구형 또는 타원형으로 대부분이 불규칙하고 크기가 작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이 병은 지금까지 팥에 보고되지 않은 병으로서 Rhizopus arrhizus A. Fisch (syn. R. oryzae)에 의한 팥 갈색잎마름병으로 명명하고자 한다.

Rhizopus oryzae에 의한 백합 무름병 (Rhizopus Soft Rot on Lily Caused by Rhizopus oryzae in Korea)

  • 함수상;홍계완;김병련;한광섭;최택용;남윤규;유승헌
    • 식물병연구
    • /
    • 제20권1호
    • /
    • pp.50-53
    • /
    • 2014
  • 2012년 태안백합시험장 포장에 재배중인 절화 백합에서 이상증상이 발생하였다. 처음 병징은 토양 지제부의 줄기가 물러지고 점차 위쪽으로 진전되면서 결국 잎을 포함한 식물체 전체 적가 빠르게 부패되었다. 병원균의 균사생육 적온은 $25^{\circ}C$이며 PDA상에 왕성하게 생장하였으며, 갈색의 균총과 검은색의 포자낭을 형성하였다. 포자낭경은 초기에 흰색에서 점차 회색으로 되었으며 포자낭을 균사 끝에 형성하였고, 폭은 $6-10{\mu}m$이었다. 포자낭은 처음에 흰색에서 나중에 검은색으로 되었고, 모양은 반구형으로 크기는 $87-116{\mu}m$이었다. 포자낭포자는 담갈색으로 단포이며, 구형 또는 타원형으로 대부분 불규칙하며, 크기는 $4-8{\mu}m$이었다. 이상과 같이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ITS 염기서열 분석, 병원성 검정 결과 본 병해는 Rhizopus oryzae에 의한 백합 무름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Rhizopus oryzae에 의한 감귤 무름병 (Soft Rot on Citrus unshiu Caused by Rhizopus oryzae in Korea)

  • 권진혁;김진우;현재욱;이용환;심홍식
    • 식물병연구
    • /
    • 제17권1호
    • /
    • pp.78-81
    • /
    • 2011
  • 2010년 진주시 농산물도매시장에 구입한 감귤에서 이상증상이 발생하였다. 상처 난 감귤 껍질이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부패하기 시작하였다. 병징으로부터 분리한 감자한천 배지에서 곰팡이는 연한 갈색의 균총과 검은색의 포자낭을 형성하였다. 균사생육 적온은 $30^{\circ}C$이었으나 $37^{\circ}C$에서도 생육이 가능하였다. 포자낭경은 흰색에서 갈색이며 크기는 $6{\sim}20\;{\mu}m$ 이었다. 포자낭은 흰색에서 검은색으로 변하며 구형 또는 반구형으로 크기는 $40{\sim}200\;{\mu}m$이었다. 주축은 구형 또는 반구형으로 크기는 $85{\sim}120\;{\mu}m$이었다. 포자낭포자는 담갈색, 단포이며 구형으로 크기는 $4{\sim}10\;{\mu}m$이었다. 이상과 같은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ITS 염기서열 유사도, 병원성 검정 결과, 본 병해를 Rhizopus oryzae에 의한 감귤 무름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Rhizopus oryzae에 의한 복숭아 무름병 (Soft Rot on Peach Caused by Rhizopus oryzae in Korea)

  • 권진혁;강동완;하정석;김진우;곽연식
    • 한국균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65-68
    • /
    • 2012
  • 2011년 진주시 농산물도매시장에 판매중인 복숭아에서 이상증상이 발생하였다. 상자 안에 있는 상처 난 복숭아 표면이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부패하기 시작하였다. 병징으로부터 분리한 병원균을 감자한천 배지에서 배양한 결과 연한 갈색의 균총과 검은색의 포자낭을 형성하였다. 균사생육 적온은 $30^{\circ}C$이었으나 $37^{\circ}C$에서도 생육이 가능하였다. 포자낭경은 흰색에서 갈색이며 크기는 6~20 ${\mu}m$이었다. 포자낭은 흰색에서 검은색으로 변하며 구형 또는 반구형으로 크기는 35~200 ${\mu}m$이었다. 주축은 구형 또는 반구형으로 크기는 85~120 ${\mu}m$이었다. 포자낭포자는 담갈색, 단포이며 구형으로 크기는 5~10 ${\mu}m$이었다. 이상과 같이 병징,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병원성 검정, 분자적 동정 결과를 바탕으로 본 병해를 Rhizopus oryzae Went & Prinsen Geerligs에 의한 복숭아 무름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Rhizopus stolonifer에 의한 포도 무름병 (Rhizopus Soft Rot on Grape Caused by Rhizopus stolonifer in Korea)

  • 권진혁;심창기;채윤석;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13권1호
    • /
    • pp.57-60
    • /
    • 2007
  • 2003년부터 2006년까지 4년 동안 경남농업기술원 과수포장과 진주시 농산물 도매시장에서 유통 판매중인 포도에서 이상증상이 발생하였다. 병징은 상처나 열과된 과실이 수침상으로 물러지면서 빠르게 부패되었다. 균총은 처음 흰색에서 연한 갈색으로 되며 검은색의 포자낭을 많이 형성한다. 균사생육 적온은 $25^{\circ}C$였다. 포자낭경은 처음 흰색에서 회색을 나타내며 크기는 $850{\sim}1,800{\mu}m$이며 폭은 $12{\sim}23{\mu}m$이었다. 포자낭은 처음에 흰색에서 검은색으로 되며 모양은 반구형으로 크기는 $80{\sim}190{\mu}m$이었다. 주축의 모양은 반구형으로 크기는 $70{\sim}95{\mu}m$이었다. 포자낭포자는 담갈색으로 단포이며 구형 또는 타원형으로 불규칙한 것이 많으며 크기는 $8{\sim}22{\times}6{\sim}10{\mu}m$이었다. 이상과 같이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과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본 병해를 Rhizopus stolonifer (Ehrenberg ex. Fr.) Lind에 의한 포도 무름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Rhizopus stolonifer에 의한 사과 무름병 발생 (Occurrence of Rhizopus Soft Rot on Apple Fruit Caused by Rhizopus stolonifer in Korea)

  • 권진혁;지형진
    • 식물병연구
    • /
    • 제14권1호
    • /
    • pp.57-60
    • /
    • 2008
  • 2006년부터 2007년까지 2년 동안 진주시 농산물도매시장에 유통, 판매중인 사과(품종: 후지)에서 이상증상이 발생하였다. 병징은 상처나 열과된 과실이 수침상으로 물러지면서 빠르게 부패하였다. 균총은 처음 흰색에서 연한 갈색으로 되며 검은색의 포자낭을 많이 형성하며 균사생육 적온은 $25^{\circ}C$였다. 포자낭경은 처음 흰색에서 암갈색을 나타내며, 크기는 $950{\sim}1,900\;{\mu}m$이고 폭은 $12{\sim}22\;{\mu}m$이었다. 포자낭은 처음에 흰색에서 검은색으로 되며 모양은 구형 또는 반구형으로 크기는 $82{\sim}185\;{\mu}m$이었다. 주축의 모양은 반구형으로 크기는 $70{\sim}85\;{\mu}m$이었다. 포자낭포자는 담갈색으로 단포이며 구형 또는 타원형으로 크기는 $8{\sim}18{\times}7{\sim}8\;{\mu}m$이었다. 이상과 같이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과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본 병해를 Rhizopus stolonifer(Ehrenb.) Vuill.에 의한 사과 무름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전통메주로부터 대두단백질 가수분해효소 생산성 미생물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Microorganisms Producing the Soy Protein-Hydrolyzing Enzyme from Traditional Mejus)

  • 강민정;김성호;주현규;이갑상;임무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3권2호
    • /
    • pp.86-94
    • /
    • 2000
  • 대두 단백질의 효소적 가수분해에 의한 분해물의 맛과 향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소적 가수분해 system을 확립하기 위하여, 전통메주로부터 대두단백질 분해능이 우수한 균주를 분리하여, 분해 양상이 상이한 효소를 생산하는 곰팡이와 세균 3균주를 선별하여 동정을 실시하였다. 단백질 분해능이 우수한 균주 중 곰팡이 M4는 leucine 활성이, 곰팡이 M5는 azodye 활성이 높았으며, 세균은 leucine활성이 가장 낮은 B16을 선별하여 효소의 작용에 의한 대두 단백의 분해 양상이 상이한 균주로 분리하였다. 분리한 곰팡이 M4는 배양배지에서 균사는 백색이었으며 균핵은 흰색에서 검은 색으로 변화하였다. Slide배양 결과, 분생자두는 방사형이었고, 정낭은 곤봉형이었다. 분생자는 반구형으로 기경자와 단경자가 존재하였다. 분생자병은 무색으로 매끈한 표면이었다. 분류학상 Aspergillus oryzae(ahlburg)종의 특징과 유사하여 이 종으로 분류 동정하고 Aspergillus oryzae M4로 명명하였다. 곰팡이 M5는 MEA배지에서 흰색과 검은색의 균사가 혼재되어 있었다. Slide배양 결과, 회녹색의 균총과 긴(7 mm) 포자낭병이 존재하였다. 포자낭은 회갈색이었고, 큰 포자낭과 기저막에서 작은 포자낭들이 떨어져 나오는 형태를 보였다. 중축은 구형으로 절단된 유리질의 형태이었고, 포자낭 포자는 직경이 작은$(80\;{\mu}m)$ 타원형이었다. 따라서 분류학상 접합균의 Mucor circinelloides의 종과 유사하여 이 종으로 분류 동정하고 Mucor circinelloides M5라 명명하였다. 세균 B16은 백색의 불투명한 colony로서 circular, lobate한 형태였고, 간상형으로 내생포자를 함유하였다. 또한, gram염색, catalase, oxidase, ${\beta}-glucosidase$, V-P test 등에서 양성이었고, D-fructose, ${\alpha}-D-glucose$, maltose, D-mannose, D-raffinose, stachyose, sucrose등의 이용성이 있었다. B16의 형태학적, 생리학적인 특징의 결과, Bacillus megaterium의 특징과 일치하였다. 그러나, 균체 지방산은 Paenibacillus marcerans의 균종과 유사하여 B16은 더 자세한 동정방법과 분류체계를 통해 명확한 동정이 필요하리라 사료되었다. 따라서 B16은 잠정적으로 Bacillus megaterium B16이라 명명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