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lit-Half reliability coefficient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1초

아동용 Luria-Nebraska 신경심리검사의 한국 표준화를 위한 예비연구 (A Preliminary Study for a Korean Version of the Luria-Nebraska Neuropsychological Battery-Children's Revision)

  • 강차연
    • 아동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03-216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tility of the Luria-Nebraska Battery-Children's Revision (LNNB-CR) in the clinical situation in Korea: LNNB-CR was applied clinically in order to examine how well it differentiates brain damaged children from normals. Subjects were 30 children with the average age of 10 years. Among them 15 were diagnosed as the 'brain damaged' group, and the remaining 15 were normal. All subjects of the two groups were tested on all items in accordance with LNNB-CR manual. Data were analyzed by percentage,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test. The results were (1) the degree of consistency between testers averaged 97.2% which confirmed the stability of the scoring system. (2) Split-half reliability was ranged from .75 on the Tactile Scale (C3) to .95 on the Memory Scale (C10). Thus, consistency of items within the scales appeared high. (3)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ranged from .74 on the Visual Scale (C4) to .98 on the Reading Scale (C9). Thus, the homogenity of items within the scales appeared high. (4) In the diagnostic discriminative power test between the two groups, both individual scales and total scor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level of p<.001. (5) The discriminative power test between two groups on all item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level of p<.05 or better in 126(85%) out of 149 items. These results are supportive of the diagnostic utility of the application of LNNB-CR to the clinical situation in Korea. However, extensive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in order to prove its worth.

  • PDF

만성질환 노인의 약물이행 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of medication adherence scale for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

  • 강숙;김정선
    • 한국노년학
    • /
    • 제41권1호
    • /
    • pp.149-168
    • /
    • 2021
  • 본 연구는 만성질환 노인의 약물이행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Medication Adherence Scale in Elderly, MAS-E)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MAS-E는 혼종모형을 이용한 내용 분석에 의해 개념적 기틀을 구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문항을 구성하고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여 예비문항을 구성하였고 문항을 검토한 후 예비 조사를 실시하여 총 26문항을 최종 확정하여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자료는 일대일 인터뷰를 통해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만성질환 노인 345 명으로부터 수집되었다. 도구평가를 위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 검증결과를 기반으로 최종 문항을 확정하여 만성질환 노인의 약물이행 도구(MAS-E)를 개발하였다. 타당도 검증에서 문항분석, 요인분석, 총점-요인 간 상관관계를 통해 4개 요인과 18문항이 도출되었으며-약물사용 기억하기(2문항), 약물효과에 대한 기대(5문항), 처방과 지시에 따른 약물사용 실천(8문항), 의료인과의 소통(3문항), 전체 18문항은 분산의 69.7 %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 도구의 총점-요인 간 상관관계는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준거타당도 검증 결과, 개발된 도구는 Morisky Medication Adherence Scale (MMAS-8)과 유의하게 양의 상관관계(r = .72, p <.001)를 나타냈다. 신뢰도 검증에서 문항내적 일관성 신뢰도 Cronbach'α는 .906, Guttman 반분검사 신뢰도는 .804,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912로 나타나 개발된 도구는 안정적이고 일관성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MAS-E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모두 검증된 도구로서 만성질환 노인의 약물이행 정도를 평가하고 약물이행 개선을 위한 중재연구의 효과 평가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국판 GRIT 척도 : 신뢰도, 타당도 및 요인구조 연구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 version of GRIT)

  • 이웅;임세원;신영철;신동원;오강섭;김선영;김영환;전상원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3-60
    • /
    • 2019
  • Objective : GRIT is a non-cognitive trait which is defined as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It predicts success, performance and thedifference from other trai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GRIT scale. Methods : A total of 92 patients were enrolled in the study. All patients received psychiatric assessment including Clinical Useful Depression Outcome Scale (CUDOS), Clinical Useful Anxiety Outcome Scale (CUXOS),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PHQ-15),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CDRS), Brief Resilience Scale (BRS), and GRIT as well as demographic assessment. Cronbach's alpha coefficient of total GRIT score and the split-half reliability of each item was calculated to assess test reliability.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were performed to select the best fitting model and assess construct validity. Finally, a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check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Results : Cronbach's alpha coefficient for GRIT was found to be 0.85 and all Cronbach's alpha were more than 0.8 even in cases where all items were deleted. We found 3 appropriate factor models i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mpared them with 3 models and chose the 2-factor model as the most suitable based on the best fit test. Finally, correlation of the GRIT with CUDOS, CUXOS, PHQ-15, CDRS and B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ll p<0.01), with relatively low correlation coefficient. Conclusion :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Korean version of GRIT is a reliable and valid instrument for investigating individual power of passion and perseverance.

유아기 주 양육자의 양육행위 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 Measurement Instrument for Parenting Behavior of Primary Caregivers in Early Childhood)

  • 박선정;강경아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650-660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strument to measure the parenting behavior of primary caregivers of children in early childhood. Methods: An instrument was developed according to Devellis's instrument development proces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ho completed the main survey were 370 mothers and grandmother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June 1 to July 30, 2014,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tem analysis, half-split reliability and Cronbach's ${\alpha}$ coefficient,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vergent validity. Results: The factor structure of the instrument showed the cumulative variance as 55.7% in the factor analysis. As a result of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 four-factor structure was found to be appropriate, and the construct validity and convergent validity of the instrument were thereby confirmed. The finalized parenting behavior instrument consisted of 26 items and four independent factors: affectionate, laissez-faire, educational and impulsive. A five-point Likert scale was employed, and a higher score in a particular factor showed that most of the behaviors belonged to the factor. Conclusion: The instrument developed in this study was found to be reliable and valid, and can be used to develop parent-child relationship building.

말기 환자 가족 영적요구 측정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n Instrument Assessing Spiritual Needs of Families of Terminal Cancer Patients)

  • 강경아;최영심;김예진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1권4호
    • /
    • pp.144-151
    • /
    • 2018
  • 목적: 말기암환자 가족의 영적요구도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이다. 방법: 본 연구는 1) 예비문항의 작성 2) 내용타당도 검증 3)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4) 최종문항 선정 과정에 따른 방법론적 연구이다. 결과: 요인분석을 통해 '신과의 관계/죽음 수용', '관계성 회복/희망과 평화', '삶의 의미와 목적'의 3가지 요인이 추출되었다. 이 요인들은 총 변량의 61.088%를 설명하였으며, Cronbach's alpha 값은 0.944, Guttman 반분 신뢰도 계수는 0.826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도구는 신뢰도와 타당도를 지닌 도구임이 확인되었다. 이에 호스피스 완화의료 분야에서 말기암환자 가족의 영적요구도를 사정할 때 활용도가 높은 도구라고 본다.

아동의 휴대전화 중독 사정을 위한 부모용 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 Cell Phone Addiction Scale for Korean Parents of Young Children)

  • 구현영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9권1호
    • /
    • pp.29-38
    • /
    • 2013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휴대전화 중독 사정을 위한 부모용 도구를 개발하고, 개발된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정하는 것이다. 방법 아동의 휴대전화 중독 사정에 대한 개념적 기틀 설정, 예비 문항 작성, 내용 타당도 검정 및 사전 조사를 통해 최종 20문항을 구성하였고, 초등학교 1-6학년 아동의 부모 465명과 4-6학년 아동 178명을 대상으로 구성타당도, 준거타당도, 신뢰도 검정을 하였다. 결과 문항분석 결과 해당문항 제외 시 ${\alpha}$값의 변화가 .92-.93의 범위였고, corrected item-total correlation 계수가 .50-.76의 범위였다. 요인분석 결과 금단, 통제력 상실, 집착의 세 요인이 추출되었고, 세 요인의 설명변량은 60.30%였다. 준거타당도 검정 결과 휴대전화 중독은 자기통제력과 역상관 관계가 있었고, 아동이 응답한 휴대전화 중독, 충동성, 문자메시지 발신 및 수신횟수, 통화횟수 및 시간과 순상관 관계가 있었다. 신뢰도 검정 결과 Cronbach's ${\alpha}$가 .94였고, 반분법에 의한 Guttman의 신뢰도 계수가 .87이었다. 휴대전화 중독 정도를 평가하는 기준으로 표준점수를 활용하여 70점 이상이면 휴대전화 고위험사용군, 63점 이상이고 70점 미만이면 위험사용군, 63점 미만이면 일반사용군으로 구분하였다. 결론 아동의 휴대전화 중독 사정을 위한 부모용 도구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도구로 아동의 휴대전화 중독을 조기 발견하고, 적합한 중재를 개발하여 제공하며, 중재 효과를 평가하는 데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간호사의 사전의사결정 태도측정 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n Instrument Assessing Advance Directives for Nurse)

  • 천호정;김은하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2권3호
    • /
    • pp.134-143
    • /
    • 2019
  • 목적: 사전의사결정에 관한 간호사의 태도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1) KAESAD 도구 중에서 사전의사결정 태도를 측정하는 문항을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한국어로 번안, 2) 예비문항의 작성, 3) 내용타당도 검증, 4)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5) 최종문항 선정과정에 따른 방법론적 연구이다. 결과: 요인분석을 통해 추출된 3개의 요인은 다음과 같이 명명하였다. 요인 1은 '환자 돌봄의 원칙', 요인 2는 '환자 권리의 보호', 요인 3은 '환자 의견의 존중' 이었다. 이 요인들은 총 변량의 57.79%를 설명하였고, Cronbach's ${\alpha}=0.81$, Guttman 반분 신뢰도 계수는 0.78로 나타났다. 결론: 본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는 체계적인 방법으로 적합성이 검증되었으므로 호스피스 완화의료 분야에서 사전의사결정에 관한 간호사의 태도를 평가하는 다른 연구에 활용 가능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