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iking neural network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16초

비동기 설계 방식기반의 저전력 뉴로모픽 하드웨어의 설계 및 구현 (Low Power Neuromorphic Hardware Design and Implementation Based on Asynchronous Design Methodology)

  • 이진경;김경기
    • 센서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8-73
    • /
    • 2020
  • This paper proposes an asynchronous circuit design methodology using a new Single Gate Sleep Convention Logic (SG-SCL) with advantages such as low area overhead, low power consumption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null convention logic (NCL) methodologies. The delay-insensitive NCL asynchronous circuits consist of dual-rail structures using {DATA0, DATA1, NULL} encoding which carry a significant area overhead by comparison with single-rail structures. The area overhead can lead to high power consumption. In this paper, the proposed single gate SCL deploys a power gating structure for a new {DATA, SLEEP} encoding to achieve low area overhead and low power consumption maintaining high performance during DATA cycle. In this paper, the proposed methodology has been evaluated by a liquid state machine (LSM) for pattern and digit recognition using FPGA and a 0.18 ㎛ CMOS technology with a supply voltage of 1.8 V. the LSM is a neural network (NN) algorithm similar to a spiking neural network (SNN).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G-SCL LSM reduced power consumption by 10%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LSM.

가속도계와 자이로스코프 데이터를 사용한 인간 행동 인식 기반의 템포 지향 음악 추천 시스템 (Tempo-oriented music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human activity recognition using accelerometer and gyroscope data)

  • 신승수;이기용;김형국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86-291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템포 기반의 음악 분류와 센서 기반의 인간 행동 인식을 통한 음악을 추천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식은 템포 기반의 음악 분류를 통해 음악 파일을 색인하고, 인식된 행동에 따라 적합한 음악을 추천한다. 정확한 음악 분류를 위해 변조 스펙트럼 기반의 동적 분류기와 멜 스펙트로그램 기반의 시퀀스 분류기가 함께 사용된다. 또한, 간단한 스마트폰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센서 데이터가 심층 스파이킹 신경망에 적용되어 행동 인식 성능을 향상시킨다. 마지막으로 인식된 행동과 색인된 음악 파일의 관계를 고려한 매핑 테이블을 통해 음악 추천이 수행된다. 실험 결과는 제안된 시스템이 음악 플레이어가 있는 실제 모바일 장치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로봇을 위한 인공 두뇌 개발 (Artificial Brain for Robots)

  • 이규빈;권동수
    • 로봇학회논문지
    • /
    • 제1권2호
    • /
    • pp.163-171
    • /
    • 2006
  • This paper introduces the research progress on the artificial brain in the Telerobotics and Control Laboratory at KAIST. This series of studies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it will be possible to develop an artificial intelligence by copying the mechanisms of the animal brain. Two important brain mechanisms are considered: spike-timing dependent plasticity and dopaminergic plasticity. Each mechanism is implemented in two coding paradigms: spike-codes and rate-codes. Spike-timing dependent plasticity is essential for self-organization in the brain. Dopamine neurons deliver reward signals and modify the synaptic efficacies in order to maximize the predicted reward. This paper addresses how artificial intelligence can emerge by the synergy between self-organization and reinforcement learning. For implementation issues, the rate codes of the brain mechanisms are developed to calculate the neuron dynamics efficiently.

  • PDF

뉴로모픽 구조 기반 IoT 통합 개발환경에서 SNN 모델을 지원하기 위한 인코더/디코더 구현 (Implementation of Encoder/Decoder to Support SNN Model in an IoT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based on Neuromorphic Architecture)

  • 김회남;윤영선
    • 한국소프트웨어감정평가학회 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47-57
    • /
    • 2021
  • 뉴로모픽 기술은 인간의 뇌 구조와 연산과정을 하드웨어로 모방하는 기술로 기존 인공지능 기술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제안되었다. 뉴로모픽 하드웨어 기반의 IoT 응용을 개발하기 위해 NA-IDE가 제안되었으며, NA-IDE에서 SNN 모델을 구현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입력 데이터를 SNN모델에 사용할 수 있도록 변환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미지 데이터를 SNN 입력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스파이크 시계열 패턴으로 변환하는 신경코딩 방식의 인코더 컴포넌트를 구현하였다. 디코더 컴포넌트는 SNN 모델이 스파이크 시계열 패턴을 생성하는 경우, 출력된 시계열 데이터를 다시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도록 구현하였다. 디코더 컴포넌트는 출력 데이터에 인코딩 과정과 동일한 매개변수를 사용한 경우, 원본 데이터와 유사한 정적 데이터를 얻을 수 있었다. 제안된 인코더와 디코더를 사용한다면 image-to-image나 speech-to-speech와 같이 입력 데이터를 변환하여 재생성하는 분야에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