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ectrogram

검색결과 234건 처리시간 0.034초

수중에서 광대역 간섭 패턴 정합을 이용한 음원의 위치 추정 연구 (A Study on Underwater Source Localization Using the Wideband Interference Pattern Matching)

  • 천승용;김세영;김기만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6권8호
    • /
    • pp.415-425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간섭 패턴 정합을 이용한 수중 광대역 음원의 위치 추정법을 제안한다. 두 개의 센서 스펙트로그램에 나타나는 간섭 패턴의 정합을 통해 음원과 두 센서간의 상대적인 거리비를 추정하고 이를 아폴로니오스 원의 방정식에 적용하였다. 아폴로니오스의 원은 두 정점에 이르는 거리비가 일정한 값으로 운동하는 점의 자취로 정의되며, 음원의 위치로 추정 가능한 궤적을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아폴로니오스의 원 하나만으로는 정확한 음원의 위치추정이 어렵다. 그러므로 또 하나의 위치 궤적을 추정 할 수 있는 방정식이 필요하다. 따라서 음원과 두 센서간의 신호도달 시간차이를 이용한 쌍곡선의 방정식을 도입하여 최종적인 음원의 위치는 두 방정식의 교점의 좌표로 추정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성능 평가를 위하여 모의실험을 통해 위치 추정 오차율을 분석하고, 해상실험을 통하여 실제 적용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모의실험 및 해상실험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된 위치 추정 알고리즘이 오차율 10% 이내의 성능을 나타내었다.

전이 학습을 이용한 선형 이송 로봇의 정렬 이상진단 시스템 (A Diagnosis system of misalignments of linear motion robots using transfer learning)

  • 홍수빈;이영대;박아름;문찬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3호
    • /
    • pp.801-807
    • /
    • 2024
  • 선형 로봇은 자동화 시스템에서 부품의 이송이나 위치 결정에 널리 사용되며 보통 높은 정밀도가 요구된다. 선형 로봇을 응용한 시스템의 제작회사에서는 로봇의 이상 유무를 작업자가 판단하는데,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이상 상태를 판단하는 정확도가 달라진다. 최근에는 인공지능 등의 기술을 사용하여 로봇 스스로 이상을 검출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이 학습을 이용하여 선형 로봇의 볼 스크류 정렬 이상과 선형 레일 정렬 이상을 검출하는 시스템을 제안하고 가속도 센서와 토크 센서 정보를 이용한 별개의 실험을 통해 제안한 시스템의 이상 검출 성능을 검증 및 비교한다. 센서로부터 얻어진 신호를 스펙트로그램 이미지로 변환한 후, 영상 인식 인공지능 분류기를 사용하여 이상의 종류를 진단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선형 로봇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산업용 로봇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 모음사이 자음의 인지와 발화에서 철자의 영향: 파일럿 연구 (Orthographic Influence in the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English Intervocalic Consonants: A Pilot Study)

  • 초미희;정주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459-466
    • /
    • 2009
  • 한국어에서는 모음사이에서 겹자음이 나타날 수 있으나 영어에서는 이것이 불가능하므로 영어를 배우는 한국 학생들이 $su\underline{mm}er$와 같이 겹자음 철자를 포함하는 단어들을 발음할 때 철자의 겹자음을 모두 발음하는 오류를 흔히 범한다. 따라서 본 파일럿 연구에서는 한국 학생들이 영어 겹자음 철자를 어떻게 발음하고 인지하는지 살펴보기 위해서 영어 겹자음과 단자음의 (유사) 최소변별쌍으로 구성된 36개의 실제어를 20명의 대학생이 듣고 발음하는 인지와 발화 실험을 실행하였다. 실험 결과 한국 학생들은 철자의 영향으로 영어 단자음 철자 단어를 발음할 때보다 겹자음 철자 단어를 발음할 때 이중으로 길게 발음하는 오류를 더 흔히 범해서 겹자음 철자 단어의 정확율보다 단자음의 정확율이 크게 높았으며, 인지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단자음 철자 단어의 인지 정확율이 겹자음 철자보다 확연하게 높았다. 덧붙여, 한국 학생들의 영어 유성 파열음의 발화 오류율이 낮은 이유를 한국어 음운 체계의 전이로 설명하였다. 끝으로, 한국학생들의 발화를 스펙트로그램을 통해서 분석함으로써 영어 단자음 철자보다는 겹자음 철자에서 더 많은 발화오류를 일으키는 것도 보여주었고 또한 교육적인 함축점도 제안하였다.

침치료가 뇌졸중으로 인한 구음장애에 미치는 음향적 특성에 대한 증례보고 (Clinical Acoustic Study of Acupuncture Therapy Effects on Post-Stroke Dysarthria)

  • 이민구;박세욱;이선우;유현희;이승언;김용정;손지우;임은경;김성남;이인;문병순;윤종민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660-669
    • /
    • 2005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acupuncture therapy effects on post-stroke dysarthria. Methods : Acupuncture therapy was applied for four to six weeks by inserting needles into eight acupuncture points, CV23, CV24, bilateral 'Sheyu' and ipsilateral ST4, ST6 and contralateral LI4, ST36 on facial palsy side. All the speech samples were collected, pre-treatment and post-treatment, using Computerized Speech Lab. VOT and TD of each speech sample and vowel formant(F1&F2) were analyzed on spectrogram. Result : VOT and TD were decreased after treatment. F1 was decreased, and F2 was increased after treatment. Conclusions : This suggests that acupuncture therapy improves symptoms of post-stroke dysarthria by stimulating articulation organs such as tongue, lips, cheeks, larynx and pharynx.

  • PDF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와 효소 억제제에 의한 사람 중성구 Elastase의 활성도 억제 및 분자약리학적 기전 (Inhibition of Human Neutrophil Elastase by NSAIDs and Inhibitors, and Molecular Pharmacological Mechanism of the Inhibition)

  • 강구일;김우미;홍인식;이무상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25-431
    • /
    • 1996
  • 염증 질환의 원인이 되는 사람 중성구 elastases는 혈액에 존재하는 ${\alpha}_1-PI$${\alpha}_2-macroglobulin$과 같은 단백질 분해효소 억제제에 의하여 조절되어진다. 그러나 특수한 병리적 상황에서 과다하게 분비되는 효소나 또는 단백질 분해효소 억제제의 비정상적 작용으로 말미암아 다양한 염증질환이 유발된다.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는 염증 질환을 치료하기 위하여 이미 임상에 적용 하고 있으며, prostaglandin 합성하는 효소인 cyclooxygenases의 활성도를 억제하는 것이 그 작용 기전으로 잘 알려져 왔다. 사람 중성구 elastase의 활성도는 naproxen, phenylbutazone, oxyphenbutazone 등에 의하여 억제되었으나, ibuprofen, ketoprofen, aspirin, salicylic acid, tolmetin 등에 의하여서는 억제되지 않았다. 또한 사람 중성구 elastase의 활성도는 EDTA, EGTA, tetracycline 등에 의하여서도 억제되었다. EDTA에 의하여 2가 이온 $Ca^{++}$$Zn^{++}$등을 elastase 분자로부터 일부 제거함으로 효소 활성도가 억제되었고 Raman spectra의 변화도 강하게 일어났으며, 금속이온 $Zn^{++}$를 새로 충진함으로 그 활성도는 원래대로 회복되고 Raman spectrum도 원래 상태와 유사한 상태로 회복되었다. 이런 현상은 chelator나 chelator-like agents가 효소분자안에 존재하는 $Zn^{++}$ 이온을 제거하거나 chelation함으로 활성 부위나 그 인접 부위의 4차원 구조의 변화를 일으켰음에 기인하며 특히 -C=O나 -COOH기의 관여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구개상 장착에 따른 한국어 어음의 조음시간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PALATAL PLATES UPON THE DURATION OF KOREAN SOUNDS)

  • 고여준;김창회;김영수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77-102
    • /
    • 1994
  • Many studies have been made on the masticatory and esthetic effects of prosthodontic treatments, but few on the restoration of pronunciation, especially in complete denture wear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s that could be of help to the complete denture wearers' speech adaptation by analyzing the influence of the palatal coverage upon the duration of consonants and vowels with the method of experimental phonetics. For this study, metal plates and resin plates were made for 3 male subjects in their twenties, who have good occlusion, and do not have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Then 8 Korean consonants and 4 Korean vowels were selected, systemically considering phonetic variants such as the place and manner of articulation, lenis/fortis, mutual effect of each phoneme, etc. They were combined into meaningless tested words in the form of /VCV/, and were included in the carrier sentences. Each informant uttered the sentences 1) without the plate, 2) with the metal plate, 3) with the resin plate. The record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waveform of sounds and spectrogram by using the program SoundEdit, Signalize, Statview 512+for the Macintosh computer. The duration of each segment was measured by searching for the boundaries between the preceding vowels and consonants, and between the consonants and the following vowels. The study led to the conclusion that. 1. With the palatal plate, the duration of all the tested words increased and the duration increased more with the resin plate than with the metal plate. 2. With the palatal plate, the duration of all the preceding vowels, consonants, and following vowels increased, but the temporal structure of the tested words was maintained. 3. As for the manner of articulation, fricative /s/(ㅅ) was greatly influenced by both kinds of palatal plates. 4. As for the place of articulation, alveolar sounds /d/(ㄷ), /n/(ㄴ) were greatly influnced by the kinds of palatal plates, and the velar sounds /n/(ㅇ), /g/(ㄱ) were influenced by the platal plates, but the kind of the palatal plates did not show any significance. 5. As for the lenis/fortis, lenis was influenced more by the kind of the palatal plates. 6. As for the influence of vowels upon each segment in the tested words, palatal vowel /i/(ㅣ) had greater influence than pharyngeal vowel /a/(ㅏ), and following vowels than preceding vowels.

  • PDF

Praat을 활용한 영어발음특성의 시각적 연구 (A Visual Study of the Quality of English Pronunciation Using the Praat Program)

  • 박희석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323-331
    • /
    • 2013
  • Praat프로그램을 활용하면 시각적인 영어교육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시청각교육이 중시되는 영어교육의 방법론에 비추어볼 때 시각적인 연구의 활용은 교육의 효율성 측면에서 기대되는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현재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 중 영어성적이 1,2등급에 해당되는 학생과 5,6등급에 해당되는 학생들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각각의 그룹이 원어민의 발음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알아보고, 그 차이가 어떻게 다른지를 시각적인 면으로 규명해보고자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원어민이 녹음한 CD가 내장되어있는 영어발음교재를 실험자료로 활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영어발음에서 외국인어투를 보일 가능성이 있는 영어저모음과 이중모음이 들어있는 단어와 문장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단어와 문장들은 캠브리지대학교 출판국에서 출간된 English Pronunciation in Use의 교재내용 중의 일부를 활용하였다. 실험을 통해 나타난 결과를 보면 한국인 피 실험자의 두 집단 간에 공히 모음이나 단어단위에선 집단 간, 그리고 원어민의 녹음자료와의 사이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다섯 단어 이상으로 구성된 상대적으로 긴 문장단위의 실험에서는 5,6등급 집단의 발음이 유의미하게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인 피 실험자들의 억양구현실패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여지며, 이러한 분석은 Praat프로그램에서 제공한 시각적인 자료에 의해 뒷받침되고 있다.

후두질환에 따른 자음의 음성발현시간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Voice Onset Time of the Korean Stops in the Benign Laryngeal Disorders)

  • 홍기환;이화욱;김진성;이은정;소상수;최동일;양윤수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98-102
    • /
    • 2006
  • Background and Objectives : Voice onset time(VOT) is defined as the time interval from oral release of a stop consonant to the onset of glottal pulsing in the following vowel. VOT is a temporal characteristics of stop consonants that reflects the complex timing of glottal articulation relative to supraglottal articulation. Stop consonants are characterized by creation of a pressure difference across a complete occlusion in the vocal tract, followed by a sudden release 'burst' due to opening that occlusion. The objects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 usefulness of voice onset time in the assessment of voice disorderd patients. Subjects : Subjects were 20 adults with normal voice and with benign laryngeal disorders. Subjects with voice disorders represented the following vocal pathologies : vocal polyp, vocal nodule, Reinke's edema and unilateral vocal fold paralysis(UVFP). Control subjects were matched for age (21-40 yews old) and sex(male) with the voice disorders subjects and had normal vocal qualities with no history of voice disorders. Methods : Each voice-disordered and matched control subject read the test passages containing three types of Korean bilabial consonants. VOT measures were made for the initial $/p/p^h/\;and\;/p'/$. VOT was measured using acoustic waveform or wide band spectrogram. Results : For each voiceless stop consonan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VOT between the voice disordered and normal subjects. The mean VOTs of the lax stops in UVFP was significantly shorter than those of control subjects in the UVFP. The mean VOTs of the aspirated stops in the vocal polyp and nodule were longer than those of control subjects, but not significant. The mean VOTs of the glottalized in voice disordered groups were longer than those of control subjects, and significant statistically in the UVFP. Conclusions : VOT may be a clinically useful acoustic parameter in the assessment of voice disordered patients, especially in the unilateral vocal fold paralysis.

  • PDF

케이지 내 사육 공간의 차이에 따른 산란계의 음성 특성 (Characteristics of Vocalizations of Laying Hen Related with Space in Battery Cage)

  • 손승훈;신지혜;김민진;강정훈;임신재;백인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1권5호
    • /
    • pp.421-426
    • /
    • 2009
  • 본 연구는 산란계의 사육공간의 크기별 발성음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하이라인브라운(Hy-Line Brown) 80주령의 산란계를 대상으로 2008년 10월부터 2009년 2월까지의 기간 동안 발성음을 수집 및 녹음하였다. 산란계의 사육 케이지는 무항생제 축산물 사육밀도조건을 만족하는 0.0231 $m^3$ (0.3m ${\times}$ 0.14m ${\times}$ 0.55m)을 개체당 사육공간의 기준(control)으로 하고, 좁은 공간(small, 0.21m ${\times}$ 0.14m ${\times}$ 0.55m)과 넓은 공간(large, 0.3m ${\times}$ 0.3m ${\times}$ 0.55m) 등의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하루 3회, 각각 1시간씩 디지털 녹음기(PMD-650, Marantz)와 마이크(MKH 416P48, RF Condenser Mic.)를 이용하여 발성음을 녹음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발성음의 스펙트로그램을 비교한 결과 케이지의 크기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펙트럼을 비교한 결과 역시 차이가 있었다. 또한 발성음의 주파수, 강도 및 길이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산란계의 사육공간과 발성음 사이에는 깊은 관련이 있었으며, 사육공간에 의한 스트레스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발성음은 매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고음질의 음성합성을 위한 퍼지벡터양자화의 퍼지니스 파라메타선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uzziness Parameter Selection in Fuzzy Vector Quantization for High Quality Speech Synthesis)

  • 이진이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60-69
    • /
    • 1998
  • 본 눈문에서는 퍼지 벡터양자호를 이용하여 음성을 합성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원음에 가까운 합성음을 얻기 위하여 퍼지벡터양자화의 성능을 최적화 하는 Fuzziness갑의 선정방법을 연구한다. 퍼지벡터 양자화를 이용하여 음성을 합성할때, 분석단에서는 입력 음성패턴과 코드북의 음성패턴의 유사도를 나타내는 퍼지 소속함수값을 출력하고, 합성단에서는 분석단에서 얻은 퍼지소속 함수값, fuzziness값, 그리고 FCM(Fuzzy-C-Means) 연산식을 이용하여 음성을 합성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벡터양자화에 의해 합성된 음성과 퍼지 벡터양자화에 의해 합성된 음성을 코드북의 크기에 따라 비교한 결과, 퍼지벡터양자화를 이용한 음성합성의 성능이 코드북 크기가 절반으로 줄어도 벡터양자화에 의한 성능과 거의 같음을 알수 있다. 이것은 VQ(Vecotr Quantiz-ation)에 의한 음성합성 결과와 같은 성능을 얻기 위해서 퍼지 VQ를 사용하면, 코드북 저장을 위한 메모리의 크기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SQNR을 최대로 하는 퍼지 벡터양자화를 얻기 위한 최적 Fuzziness값은 음성분석 프레임의 분산값이 크면 작게 선정해야 하고, 작으면 크게 선정 해야함을 밝혔다. 또한 합성음들을 주파수 영역의 스펙트로그램에서 비교한 결과 포만트 주파수와 피치주파수에서 퍼지 VQ에 의한 합성음이 VQ에 의한 것보다 원 음성에 더 가까움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