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ectral tomography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2초

Evaluation of Tear Film Lipid Layer Thickness Measurements Obtained Using an Ocular Surface Interferometer in Nasolacrimal Duct Obstruction Patients

  • Lee, Sang Min;Chung, Sok Joong;Lew, Helen
    • Korean Journal of Ophthalmology
    • /
    • 제32권6호
    • /
    • pp.445-450
    • /
    • 2018
  • Purpose: To compare the tear film lipid layer thickness (LLT) between patients with incomplete nasolacrimal duct obstruction (NLDO) and normal controls and to analyze the changes in tear film LLT and blinking pattern after silicone tube intubation in NLDO patients.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68 eyes in 52 incomplete NLDO patients who underwent silicone tube intubation from January 2017 to July 2017. The LLT, blinking pattern, and Meibomian gland image were measured with the LipiView II ocular surface interferometer. The Meibomian gland drop-out ratio was measured using the polygon selection tool in the Image J program. Tear meniscus height, which is the other lacrimal indicator, was assessed with spectral-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Results: Tear meniscus heigh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silicone tube intubation (p < 0.01). Preoperative minimum, maximum, and average LLT values were $62.4{\pm}24.0$, $86.7{\pm}17.9$, and $71.7{\pm}23.3nm$, respectively. Significant changes in the minimum, maximum, and average LLT ($74.8{\pm}23.6$, $98.8{\pm}11.0$, and $91.6{\pm}16.1nm$, respectively) were observed after silicone tube intubation (p < 0.001, p = 0.001, and p < 0.001). The partial blinking/total blinking ratio in 20 seconds and the Meibomian gland drop-out ratio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after silicone tube intubation. Conclusions: Overall, the LLT was increased after silicone tube intubation. Silicone tube intubation may be helpful in maintaining LLT with a normalized of amount of tears.

Iodine Quantification on Spectral Detector-Based Dual-Energy CT Enterography: Correlation with Crohn's Disease Activity Index and External Validation

  • Kim, Yeon Soo;Kim, Se Hyung;Ryu, Hwa Sung;Han, Joon Koo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19권6호
    • /
    • pp.1077-1088
    • /
    • 2018
  • Objective: To correlate CT parameters on detector-based dual-energy CT enterography (DECTE) with Crohn's disease activity index (CDAI) and externally validate quantitative CT parameters. Materials and Methods: Thirty-nine patients with CD were retrospectively enrolled. Two radiologists reviewed DECTE images by consensus for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T features. CT attenuation and iodine concentration for the diseased bowel were also measured. Univariate statistical tests were used to evaluate wheth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TE features between remission and active groups, on the basis of the CDAI score. Pearson's correlation tes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assess the correlation between quantitative CT parameters and CDAI. For external validation, an additional 33 consecutive patients were recruited. The correlation and concordance rate were calculated between real and estimated CDAI.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remission and active groups in the bowel enhancement pattern, subjective degree of enhancement, mesenteric fat infiltration, comb sign, and obstruction (p < 0.05).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CDAI and quantitative CT parameters, including number of lesions (correlation coefficient, r = 0.573), bowel wall thickness (r = 0.477), iodine concentration (r = 0.744), and relative degree of enhancement (r = 0.541; p < 0.05). Iodine concentration remained the sole independent variable associated with CDAI in multivariate analysis (p = 0.001). The linear regression equation for CDAI (y) and iodine concentration (x) was y = 53.549x + 55.111. For validation patients, a significant correlation (r = 0.925; p < 0.001) and high concordance rate (87.9%, 29/33) were observed between real and estimated CDAIs. Conclusion: Iodine concentration, measured on detector-based DECTE, represents a convenient and reproducible biomarker to monitor disease activity in CD.

금속 인공물 감소를 위한 CT 알고리즘 적용에 따른 영상 화질 비교 (Comparison of Image Quality among Different Computed Tomography Algorithms for Metal Artifact Reduction)

  • 이귀철;박영준;홍주완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541-549
    • /
    • 2023
  • 본 연구는 CT 촬영 시 금속으로 인해 발생한 금속 인공물 감소를 위한 알고리즘 적용에 따른 영상 화질에 대한 정량적 비교를 하고자 한다. Spectral detected-based CT와 CT ACR 464 팬톰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필터보정역투영 알고리즘을 적용한 기준 영상을 10장 획득하고, 동일 팬톰에 금속 인공물을 발생시켜 일반적인 필터보정역투영 알고리즘을 적용한 영상을 10장 획득하였다. 금속 인공물을 발생시켜 획득한 영상의 원시 데이터에 metal artifact reduction 알고리즘, 가상 단일 에너지 알고리즘, metal artifact reduction 알고리즘 적용 후 추가로 가상 단일 에너지 알고리즘을 적용한 영상을 각각 10장씩 획득하였다. 알고리즘 적용에 따른 hounsfield unit 비교를 위해 CT ACR 464 팬톰 module 1에 위치한 폴리에틸렌, 뼈, 아크릴, 공기, 물에 관심영역을 설정하고, 전체 영상 화질 평가를 위해 평균 제곱근 오차, 평균 절대 오차, 신호 대 잡음비, 최대 신호 대 잡음비, 구조적 유사도 지수 지표를 통해 알고리즘 별 비교하였다. 알고리즘 적용 영상 별 hounsfield unit 비교 결과 알고리즘 적용 영상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 < .05), 아크릴을 제외한 관심영역에서 가상 단일 에너지 알고리즘 적용 영상에서 큰 변화를 나타냈다. 영상 화질 평가 지표 결과 metal artifact reduction 알고리즘 적용 영상 화질이 가장 높았으나, 구조적 유사도 지수는 metal artifact reduction 알고리즘 적용 후 추가로 가상 단일 에너지 알고리즘이 동시에 적용된 영상이 가장 높았다. CT 촬영 시 금속 인공물 감소에 metal artifact reduction 알고리즘이 가상 단일 에너지 알고리즘에 비해 효과적이었지만, 양질의 CT 영상 획득을 위해 알고리즘 적용에 따른 이점과 영상 화질 변화를 파악하고 효율적인 활용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지반 및 구조물의 이차원적 전단강성 평가를 위한 토모그래픽 SASW 기법의 개발 (Development of Tomographic SASW Method to Evaluate Two-Dimensional Variability of Shear Stiffness)

  • 조성호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29-42
    • /
    • 1999
  • 비파괴적, 비관입적으로 지반 및 구조물의 전단강성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SASW 기법은 여러 토목분야에서 성공적으로 적용이 되어왔다. 그러나 SASW 기법은 그 기법상의 제약으로 인해 실험이 행해지는 측선의 하부구조가 수평으로 균질하다고 하는 가정을 하여야만 한다. 이러한 수평 다층 구조의 가정은 포장 구조체, 터널 라이닝 등의 토목 구조물의 건전도 검사의 경우에 있어서 반드시 합리적이라고 할 수는 없다. 즉, 지반조사 측선 방향으로의 변이성 평가를 높은 해상도로 수행하여야 할 경우에 기존의 SASW 실험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최근에는 지반 및 구조물의 건전도 상태를 연속적으로 평가하는 GPR과 같은 비파괴 검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기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SASW 실험을 보완하여 지반 조사 측선 방향으로의 전단강성의 연속적 평가가 가능한 토모그래픽 SASW 기법을 새로이 개발하였다. 이러한 토모그래픽 SASW 기법의 개발로 조사대상 매질의 전단강성의 변화에 관한 거리-깊이의 2차원적 컨투어(contour) 도표(토모그래피)의 표현이 가능하게 되어 SASW 기법의 적용성이 토건구조물의 건전도 평가 영역에서 확대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이 제안된 토모그래픽 SASW 기법의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강사법으로 형성한 모래지반의 횡방향 및 깊이 방향으로의 균질성을 조사하였다. 토모그래픽 SASW 실험으로 모래지반의 전단강성의 변화정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었으며, 전단강성의 길이-깊이 방향에 대한 컨투어 도표는 강사법에 사용한 강사기의 문제점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이러한 모래 지반에서의 전단강성의 평가 실험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토모그래픽 SASW 실험의 타당성 및 적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ccurate Measurement of Agatston Score Using kVp-Independent Reconstruction Algorithm for Ultra-High-Pitch Sn150 kVp CT

  • Xi Hu;Xinwei Tao;Yueqiao Zhang;Zhongfeng Niu;Yong Zhang;Thomas Allmendinger;Yu Kuang;Bin Chen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2권11호
    • /
    • pp.1777-1785
    • /
    • 2021
  •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accuracy of the Agatston score obtained with the ultra-high-pitch (UHP) acquisition mode using tin-filter spectral shaping (Sn150 kVp) and a kVp-independent reconstruction algorithm to reduce the radiation dose. Materials and Methods: This prospective study included 114 patients (mean ± standard deviation, 60.3 ± 9.8 years; 74 male) who underwent a standard 120 kVp scan and an additional UHP Sn150 kVp scan for coronary artery calcification scoring (CACS). These two datasets were reconstructed using a standard reconstruction algorithm (120 kVp + Qr36d, protocol A; Sn150 kVp + Qr36d, protocol B). In addition, the Sn150 kVp dataset was reconstructed using a kVp-independent reconstruction algorithm (Sn150 kVp + Sa36d, protocol C). The Agatston scores for protocols A and B, as well as protocols A and C, were compared. The agreement between the scores was assessed using the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and the Bland-Altman plot. The radiation doses for the 120 kVp and UHP Sn150 kVp acquisition modes were also compared. Result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Agatston score for protocols A (median, 63.05; interquartile range [IQR], 0-232.28) and C (median, 60.25; IQR, 0-195.20) (p = 0.060). The mean difference in the Agatston score for protocols A and C was relatively small (-7.82) and with the limits of agreement from -65.20 to 49.56 (ICC = 0.997). The Agatston score for protocol B (median, 34.85; IQR, 0-120.73) was significantly underestimated compared with that for protocol A (p < 0.001). The UHP Sn150 kVp mode facilitated an effective radiation dose reduction by approximately 30% (0.58 vs. 0.82 mSv, p < 0.001) from that associated with the standard 120 kVp mode. Conclusion: The Agatston scores for CACS with the UHP Sn150 kVp mode with a kVp-independent reconstruction algorithm and the standard 120 kVp demonstrated excellent agreement with a small mean difference and narrow agreement limits. The UHP Sn150 kVp mode allow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radiation dose.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으로 측정한 갑상선 안병증 환자와 녹내장환자의 맥락막 두께 분석 (Choroidal Thickness in Thyroid-associated Ophthalmopathy between Normal Tension Glaucoma Using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 이보영;나태윤;최진아
    • 대한안과학회지
    • /
    • 제58권8호
    • /
    • pp.960-967
    • /
    • 2017
  • 목적: 갑상샘눈병증과 정상안, 정상안압녹내장 환자의 황반하 맥락막 두께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정상군 70안, 갑상샘눈병증군 74안, 정상안압녹내장군 60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는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의 Enhanced Depth Imaging 방법으로 중심와 맥락막두께를 측정하였다. 평균 중심와 맥락막 두께는 중심와아래, 중심와 아래에서 각각 1.5 mm 비측 및 이측의 세 지점의 평균으로 정의하였다. 일반화 추정 방정식을 통하여 맥락막 두께에 미치는 변수를 알아보았다. 결과: 평균 중심와 맥락막 두께는 정상 $252.07{\pm}55.05{\mu}m$, 갑상샘눈병증 $281.01{\pm}60.06{\mu}m$, 정상안압녹내장 $241.66{\pm}55.00{\mu}m$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3). 중심와아래, 비측, 이측 중심와 맥락막 모두 정상안압녹내장에서 갑상샘눈병증에 비해 얇았다(p=0.014, 0.012, and 0.034). 갑상샘눈병증에서 나이, 성별, 굴절률, 안압을 보정한 후에도 정상안압녹내장군에 비해 맥락막 두께가 유의하게 두꺼웠다(${\beta}=32.61$, p=0.017). 결론: 갑상샘눈병증군에서 정상안압녹내장군과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두꺼운 맥락막을 보였고 평균 망막신경섬유층 두께는 정상안압녹내장군이 갑상샘눈병증군보다 유의하게 얇았다. 갑상샘눈병증 환자에서의 두꺼운 맥락막이 녹내장 진행에 있어 어떠한 효과를 가지는지 향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당뇨병유두병증에서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 주입술 후 망막시경섬유층 두께의 장기간 변화 2예 (Two Cases of Long-Term Changes in the Retinal Nerve Fiber Layer Thickness after Intravitreal Bevacizumab for Diabetic Papillopathy)

  • 김종진;임종찬;신재필;김인택;박동호
    • 대한안과학회지
    • /
    • 제54권9호
    • /
    • pp.1445-1451
    • /
    • 2013
  • 목적: 당뇨병유두병증에서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 주입술 후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변화를 장기간 측정한 2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36세 당뇨환자가 우안 시력저하(20/200)로 내원하였고 안저검사상 양안 시신경유두부종이 관찰되었다.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기로 측정한 우안의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278{\mu}m$로 증가 소견, 시야검사상 우안 코쪽에 국소적인 협착을 보였다. 우안 베바시주맙 주입술을 하였고 3주 후 두께는 $135{\mu}m$로 감소했으며 시력도 20/25로 호전되었으나, 좌안 시력저하(20/32)와 망막신경섬유층 두께가 $207{\mu}m$로 증가하였다. 좌안 베바시주맙 주입술을 하였고, 3주 후 두께는 $147{\mu}m$로 감소했고 시력도 20/20으로 호전되었다. 이 후 점차적으로 양안 망막신경섬유층 두께는 감소하였고, 1년 후 검사에서 우안 $87{\mu}m$, 좌안 $109{\mu}m$였다. 57세 당뇨환자가 우안 시력저하(20/200)로 내원하였고 우안의 시신경유두부종과 망막신경섬유층의 두께가 $252{\mu}m$로 증가된 소견 및 시야검사상 맹점확대를 보였다. 우안 베바시주맙 주입술 3주 후 두께는 $136{\mu}m$로 감소했고 시력은 20/70으로 호전되었으며, 3개월 후 $104{\mu}m$, 6개월에는 $83{\mu}m$로 감소했다. 결론: 본 증례에서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 주입술 후 3주내 시력의 상승과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기를 통한 1년간 평균 망막신경섬유층 두께의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중기 나이관련황반변성 환자에서 항산화영양제 복용 후 장기 관찰 결과 (Long-term Results of Taking Anti-oxidant Nutritional Supplement in Intermediate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 방슬기;김응석;김종우;신재필;이지은;유형곤;허걸;유승영
    • 대한안과학회지
    • /
    • 제59권12호
    • /
    • pp.1152-1159
    • /
    • 2018
  • 목적: 중기 나이관련황반변성 환자에서 항산화영양제 복용 후 3년간의 경과 변화를 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과 방법: 전향적, 다기관 연구로서 중기 나이관련황반변성으로 진단받은 55명 79안을 대상으로 루테인과 지아잔틴을 복용하게 한 후 전향적으로 관찰하였다. 첫 방문 후 12개월 간격으로 총 36개월간 대비감도검사를 시행하였고, 교정시력 및 중심와 망막두께, 드루젠 부피를 측정하였다. 중심와 망막두께 및 드루젠 부피는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기를 이용해 측정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의 임상 양상을 분석한 결과,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72.46{\pm}7.16$세였다. 대비감도 검사 결과는 종료 시점에서 최초 시점과 비교하여 호전된 양상을 보였고, 특히 3, 6 cycles per degree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최초 환자들의 교정시력은 $0.13{\pm}0.14logMAR$로, 이후 36개월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관찰 기간 동안 중심와 망막두께, 드루젠 부피 또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변화가 없었다. 결론: 중기 나이관련황반변성 환자에서 항산화영양제 복용 후 장기간의 추적관찰 기간 동안 대비감도가 호전되어 시기능 향상에 도움이 되었으며, 교정시력과 중심와 망막두께, 드루젠 부피에는 의미 있는 변화는 없었다. 따라서 항산화영양제의 섭취를 통해 황반 변성의 진행을 감소시키고 시기능의 질적 향상을 기대해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