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ecialisation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75초

Smart Specialisation Strategy and the Role of Strong Clusters: As a Development Leverage in Asia

  • Anastasopoulos, Despina;Brochler, Raimund;Kalentzis, Arion Louis
    • World Technopolis Review
    • /
    • 제6권2호
    • /
    • pp.102-112
    • /
    • 2017
  • In this increasingly globalised and rapidly-changing world, the various challenges that can arise are also increasingly globalised and complex. These may range from economic, environmental, societal or even demographic challenges. Solutions should therefore be applicable world-wide, but they need to be properly adapted to the specifications and needs at the regional and country level. This implies that past models of centralised innovation can be progressively substituted by new approaches based on openness and strategic collaboration between the various players involved. There are various models of openness and collaboration in research, development and innovation creating scientific networks at different levels. This paper is designed in a way to present the concept of smart specialisation and clusters and how they are linked and contribute to the support of Smart Specialisation Strategy in the Asian countries. The following paragraphs describe how smart specialisation is applied and the importance of clusters in developing a S3 strategy. In addition, the status of cluster policies in Asia as well as the steps towards S3 are also presented. The status of cluster policies and their steps towards S3 policies in Asia are described. The approach of China to adopt S3 in their R&I policy is also presented. The scope of this paper, is to demonstrate the policy framework of cluster and S3 policies in the region of Asia and how they are applied. China has been further analysed as a case, since they are more active in applying such policies.

스마트 특성화가 지역경제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mart specialisation on the Regional Economy)

  • 김민철;김병근
    • 기술혁신연구
    • /
    • 제30권4호
    • /
    • pp.1-28
    • /
    • 2022
  • 지역의 혁신역량은 지속 가능한 지역경제의 주요한 성장의 원천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이에 관한 많은 연구가 보고되었다. 최근에는 지역혁신체제의 정책적 수행과정에서 지역의 특성을 반영해야 한다는 스마트 특성화 전략이 제안되었으나, 실증 연구는 제한적인 결과를 제시하는 데 그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 특성화를 기존의 지역혁신 연구의 보완 전략으로 접근하여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스마트 특성화를 지역혁신체제의 대체 전략이 아닌 지역혁신역량의 제도 요소로 보고, 지역혁신역량과 지역경제 간 관계를 분석하여 스마트 특성화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국내 16개 시·도에 대해 2009-2018년의 10개년으로 구성한 패널 모형을 통해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적합한 패널 모형을 탐색하는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FGLS모형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산업의 연관 다양성과 비연관 다양성으로 구성된 스마트 특성화는 지역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반 요소, 촉진 요소로 나누어 측정한 다른 지역혁신역량 역시 지역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기존 지역혁신과 지역경제 간 긍정적인 연구 결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연구가 부족한 스마트 특성화를 지역혁신역량의 제도적 요소로 보고 지역별 산업 연관 다양성과 비연관 다양성을 통해 이를 측정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From Specialisation to Diversifi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Parks

  • Hassink, Robert;Hu, Xiaohui
    • World Technopolis Review
    • /
    • 제1권1호
    • /
    • pp.6-15
    • /
    • 2012
  • Science and technology parks have been popular among policy-makers at several spatial levels to promote innovation and economic growth of certain localities. However, this mainly property-led policy tool has been criticised for two reasons. First, it often failed to successfully support regional networking and technology transfer to regional firms. Only unplanned science and technology parks, such as Silicon Valley, seem to have been successfully fostering regional networking and technology transfer which has led, in turn, to the development of competitive innovative clusters. Secondly, it has too often bet on the same horses and become too specialised in the same fields, such as in micro-electronics or in biotechnology. This specialisation has been theoretically supported by the cluster concept. It has led to both a zero sum game of competition between locations as well as potentially negative path dependence and lock-ins. This paper suggests increasingly supporting diversifi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parks by bringing together hitherto unconnected technologies. Several recently discussed concepts could be used to support diversification, such as related variety (Frenken et al. 2007), regional branching (Boschma and Frenken 2011), regional innovation platforms (Harmaakorpi et al. 2011) and transversality (Cooke 2011).

The Future of Science Parks and Areas of Innovation: Science and Technology Parks Shaping the Future

  • Parry, Malcolm
    • World Technopolis Review
    • /
    • 제7권1호
    • /
    • pp.44-58
    • /
    • 2018
  • The successful development of science parks is dependent on the relevance and delivery of a range of value propositions they offer to their stakeholders. Experience has shown that the benefits of these value propositions are 'place based' and 'time dependent', influenced by the prevailing technology, social and business environments in which they operate, and the relationship that is developed between entrepreneurs, corporates, academia and government in creating these projects, and their performance is dependent on economic, physical and networking assets they create and deploy. This paper looks at some of the history that has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parks, lessons learnt from their planning, development and operation. It reviews these details in the context of delivering value propositions in the context of temporal, spatial, technology and entrepreneurial profile of the new idea of 'innovation districts', influencing 'city planning' and supporting 'smart specialisation strategies'.

해운환경 변화에 따른 해기사 교육의 개선책 (A Study on Improvement Measures for Mariner's Education and Training with Changes of International Maritime Environment)

  • 양시권
    • 한국항해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27
    • /
    • 1993
  • As the education of maritime college has a characteristics of seafaring professional institutions, the potential benefit following from the employment of seafarers would put substantial impact on it. The socio-economic position of seafaring occupations has been deteriorated considerably with changes of ship's auto-mation, specialisation and low cost operation management of shipping companies through severe internatio-nal competitions. The quality and number of applicants for the maritime college has declined and most students have no hopes for the study of seafaring subjects which followed bewildering in their college days. However, the demands for seafarers are fairly large from the viewpoint of national maritime industry. The maritime institutions should not only meet these demands but also revitalise students by reforming the educational contents. The contents should be influenced by the social approach to educational needs in particular maritime shore-oriented subjects. The maritime education is no more restricted to the sea, it covers the land based world of the maritime industry as well. The new contents will lead the maritime educated students to the shore-based occupa-tions after finishing their seafaring if they want to. This may not only make ways to the maritime educa-tion fruitable, but also the students have a zeal and hope for the subjects taught.

  • PDF

Psychrophilic Extremophiles from Antarctica: Biodiversity and Biotechnological Potential

  • Bowman John P.;Abell Gyu C.J.;Nichols Carol A. Mancuso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7권2호
    • /
    • pp.221-230
    • /
    • 2005
  • Recently there has been a rapid accumulation of knowledge of microbial life in cold and frozen ecosystems. This understanding has revealed the extensive diversity of psychrophilic prokaryotes. Cultivation-based and molecular-based surveys have been performed in Antarctic habitats ranging from glacial ice to continental shelf sediments. Results indicate that psychrophilic taxa permeate throughout the Bacteria while they represent a more mysterious element of diversity in the Archaea owing to a notable lack of cultured strains. In certain cold climate ecosystems the diversity of psychrophilic populations reach levels comparable to the richest temperate equivalents. Within these communities must exist tremendous genetic diversify that is potentially of fundamental and of practical value. So far this genetic pool has been hardly explored. Only recently have genomic data become available for various psychrophilic prokaryotes and more is required. This owes to the fact that psychrophilic microbes possess manifold mechanisms for cold adaptations, which not only Provide enhanced survival and Persistence but Probably also contributes to niche specialisation. These mechanisms, including cold-active and ice-active proteins, polyunsaturated lipids and exopolysaccharides also have a great interest to biotechnologists.

중국 주요 거점항만의 개발과정과 패널자료의 특성 분석 (Analysis on Development Process of Major Chinese Hub Ports and Characteristics of Panel Data)

  • 박용안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39-61
    • /
    • 2013
  • 동북아 지역내 경제성장을 끌고 나가는 중국은 해운항만 분야에서는 환적화물의 흐름과 초대형 선박들의 기항지 선택 및 선사들의 네트워크 구축에 대한 영향을 통하여 동북아 단일 시장의 통합을 선도하고 있으며, 지역내 주요 항만들에 다양한 영향을 주고 있다. 이 연구는 중국 주요 항만-상해항, 천진항, 홍콩항 포함-들의 개발과정과 항만들간 개발의 상호관계를 시계열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중국 항만의 미래를 조망하는 데에 유익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에 초점을 두고 있다. 주요 항만의 개발과정과 특성은 다음과 같다. 홍콩항은 고베항의 터미널을 세분화 전략보다는 물동량의 증가 추이에 따라 단계적으로 시설을 대형화하는 전략을 취하면서 운영의 안정성을 추구하였다. 상해항은 물동량의 지속적 증가에도 불구하고 2000년대 초까지 확장에 보수적 태도를 견지하였으며, 컨테이너 부두시설을 집중화하여 시설 대형화의 장점을 취하고 있다. 천진항도 타 중국항만과 유사하게 물동량의 증가에 따라 단계적 부두 확충과 부두시설의 집중과 특화 전략을 취하고 있다. 중국 거점항만들에 대한 패널자료와 패널회귀분석은 이들 항만들이 각기 독자적 수요기반을 갖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으며, 항만들간 상관관계가 1980년대에는 낮았지만, 1990년대 이후 점차적으로 동시적 상관관계가 높아지는 것을 나타냈다.

사회적 배제의 국가간 비교연구 - 프랑스, 영국, 스웨덴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f Social Exclusions Amongst France, UK and Sweden)

  • 문진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6권3호
    • /
    • pp.253-277
    • /
    • 2004
  •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유럽 각국에서는 기존의 빈곤 패러다임을 대체하는 '사회적 배제(social exclusion)'라는 새로운 개념을 사용하여 빈곤과 불평등에 관한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관해서 실버(H. Silver, 1994)는 사회적 배제의 세 가지 패러다임(공화주의, 자유주의, 그리고 사민주의)을 제시하면서, 한 사회가 기반하고 있는 철학에 따라서 사회적 배제에 대한 인식과 상황이 달라진다는 것을 논구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사회적 배제에 대한 인식과 전략에서 각각 세 가지 패러다임을 대표하고 있는 프랑스, 영국, 스웨덴의 경우 실제 사회적 배제 상황에서도 차이를 보이는지를 살펴볼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사회적 배제에 대한 "(이론적) 개념화$\rightarrow$(국가별) 유형화$\rightarrow$(측정) 지표화"의 세 가지 단계를 거치면서 연구대상 국가별로 사회적 배제의 상황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차이를 보이는지를 살펴본다. 또한 이를 기초로 정직한 유의차(Honestly Significant Difference: HSD) 기법을 사용하여 사회적 배제 지표별로 연구대상 국가간에 어떠한 짝짓기가 가능한가를 살펴봄으로써, 이념적 기반에 따라서 다른 사회적 배제 상황을 보이고 있다는 사실을 밝히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실버(1994)의 세 가지 패러다임을 실증적으로 입증하여 그의 주장을 보완하는 의미를 가지는 한편으로, 실제적으로 한 사회가 기반하고 있는 철학적인 배경의 차이가 구체적인 사회적 현상(여기서는 사회적 배제)의 차이를 가져오는 지 여부에 대한 보다 포괄적이고 보편적인 논의를 가능하게 하는 의미를 아울러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PDF

호주 민간시큐리티 산업의 비판적 고찰 : 퀸즐랜드주를 중심으로 (An Evaluation of the Private Security Industry Regulations in Queensland : A Critique)

  • 김대운;정육상
    • 시큐리티연구
    • /
    • 제44호
    • /
    • pp.7-35
    • /
    • 2015
  • 본 논문은 관광이 기간산업인 호주 퀸즐랜드주를 대상으로 민간시큐리티 산업의 선진화 과정과 제도적 개선점 등에 대해 검토하였다. 90년대 중반을 기점으로 단계적으로 진행된 제1,2차 개혁과정의 검토를 통해 제도운영상의 종합적인 성과 및 개선사항을 점검하였으며, 사례분석을 통해 도출한 시사점은 Button(2012)과 Prenzler와 Sarre (2014)가 제시한 표준모델(Best Practice Model)에 대입하여 개선방안을 논의하였는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퀸즐랜드주는 연방정부의 시큐리티 사업자 규제 권고안을 충실히 이행하고 있으나 현장에서의 실시간 음주 약물 측정, 정신장애정도에 대한 감정, 경비 사업자 측근(close associates)에 대한 프로파일링 등과 같은 선제적 규제기법은 케이스-바이-케이스로 운용중이어서 보다 적극적인 쇄신이 요구된다. 둘째, 퀸즐랜드주 시큐리티 자문업 기계경비업자들의 경우 교육 훈련 과정 이수의 법적의무가 없어 자율준수로 운영되는 현행 커리큘럼의 의무화 방안 역시 재고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퀸즐랜드주 시큐리티사업자에 대한 현장관리감독은 관광특구에 크게 집중되어 있어 관리당국인 공정거래청(Fair Trading)에서 그 범위를 확대하는 등 능동적인 개입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호주 시큐리티서비스 산업이 한국에 주는 의미 있는 시사점으로는 첫째, 교육훈련의 표준화 공인화와 같은 지속적인 제도정비 개선노력 둘째, 이 같은 시큐리티산업의 전략적 육성과 경쟁력 향상 도모를 통한 민 경 공조체계의 실효성 강화 등을 대표적으로 꼽을 수 있다. 국내에서는 사경비자격제도에 해당하는 산업보안관리사, 공인탐정사 등의 전문자격증이 정부산하 협회 혹은 민간단체 등에서 발급되는 관계로 일관성 신뢰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어 왔고 공신력 부여 방안에 대한 논의 또한 지속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호주의 모범선행사례를 참조하여 자격제도 관리 운영의 노하우 활용방안에 대한 체계적 접근을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