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earmint oil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3초

Evaluation of Herbicidal Potential of Essential Oils and their Components under In vitro and Greenhouse Experiments

  • Choi, Hae-Jin;Sowndhararajan, Kandhasamy;Cho, Nam-Gyu;Hwang, Ki-Hwan;Koo, Suk-Jin;Kim, Songmun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4권4호
    • /
    • pp.321-329
    • /
    • 2015
  • The present study aimed to evaluate the phytotoxic potential of essential oils. For this purpose, 18 essential oil samples extracted from Korean plants and 64 commercial essential oils were screened for their phytotoxic potential against the seedling growth of Brassica napus L. (rapeseed). Among the 82 samples, 11 commercial oils (cinnamon, citronella, clove, cumin seed, geranium, jasmine, lemongrass, palmarosa, pimento, rose otto and spearmint) strongly inhibited the seedling growth with $GR_{50}$ value < $150{\mu}g\;mL^{-1}$. Major components from these effective essential oils were identified by solid phase microextraction/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SPME/GC-MS). GC-MS analyses revealed that the effective samples mainly consist of benzyl benzoate, carvone, citral, citronellol, eugenol, geraniol, D-limonene and terpinene. Subsequently, bioactivity of these individual components was evaluated against the seedling growth of B. napus, Echinochloa crus-galli and Aeschynomene indica. The components from different chemical groups exhibited different potency in inhibiting the seedling growth with varied $GR_{50}$ values ranged from $29{\mu}g\;mL^{-1}$ to > $1000{\mu}g\;mL^{-1}$. In the greenhouse experiment, citral and geraniol completely suppressed the growth of all the tested 10 plants at $100kg\;ha^{-1}$. In conclusion, the individual essential oil components geraniol and citral could be used as natural herbicides for weed management.

바퀴에 대한 Coriander Oil (Coriandum sativum) 성분의 훈증효과 (Fumigant Toxicity of the Constituents of Coriander Oil, Coriandum sativum against Blattella germanica)

  • 배정숙;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37-41
    • /
    • 2005
  • 바퀴벌레(Blattella germanica)에 대한 coriander oil (Coriandum sativum) 등 5종의 식물정유의 훈증독성을 조사하였다. 그들 중 spearmint oil이 20과 $10\;{\mu}{\ell}/954\;ml$ (air)의 약량처리에서 모두 $100\%$의 높은 살충활성을 나타내었다. Coriander를 GC와 GC/MS로 분석한 결과, ${\alpha}$-pinene ($6.1\%$), camphene ($1.1\%$), ${\beta}$-pinene ($0.5\%$), ${\beta}$-myrcene ($0.8\%$), limonene ($2.5\%$), ${\gamma}$-terpinene ($4.5\%$), ${\rho}$-cymene ($1.8\%$), ${\alpha}$-terpinolene ($0.5\%$), camphor ($4.9\%$), linalool ($70.5\%$), ${\alpha}$-tepineol ($0.7\%$), geranyl acetate ($2.8\%$), geraniol ($1.4\%$)이 주요 구성성분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gamma}$-terpinene과 geranyl acetate가 $10\;{\mu}{\ell}/954\;ml$ (air) 약량에서 $100\%$의 높은 훈증독성을 나타내었다.

유카(Yucca shidigera) 첨가에 의한 허브차의 개선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Improvement of Herb Tea by Addition of Yucca (Yucca shidigera))

  • 양희태;최화정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8-53
    • /
    • 2005
  • 허브와 유카는 차나 의약품, 화장품, 향신료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식물로써 본 연구에서 레몬 버베나, 스피아민트, 애플민트, 코리아민트(박하), 로즈마리, 파인애플세이지, 감국, 스테비아, 라벤더, 그리고 레몬 바베나 10종에 허브 및 각 단일종 허브에 0.02% 유카를 첨가하여 80℃에서 우려낸 차의 pH 및 가용성 고형물 양을 조사하였다. 허브차 단독보다는 유카를 첨가하였을 때 레몬바베나, 스피아민트, 애플민트, 박하, 그리고 로즈마리의 pH는 약간 감소하였으며, 고형물 함량에는 변화가 거의 없었다. 관능평가에서 허브차와 유카혼합차의 경우 몇몇을 제외하고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향, 색, 맛, 그리고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전체적으로 박하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박하에 유카를 혼합했을 때 pH는 혼합농도가 높을수록 계속 감소하였으며, 관능평가 결과는 저농도(0.01∼0.04%) 첨가시 향상하였으나 그 이상 첨가시 오히려 선호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카를 허브 차에 저농도로 혼합하여 관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새로운 기능성을 갖는 유카허브차를 개발하는데 그 가능성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허브 중에서 특히 박하와 유카혼합차의 개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고 생각된다.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와 Headspace-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를 이용한 제주산 민트 에센셜오일 성분 분석 (Analysis of Mint Essential Oils from Jeju Island, Korea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and Headspace-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 현호봉;부경환;강혜림;김소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8권2호
    • /
    • pp.175-181
    • /
    • 2015
  • 제주에서 생산된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오데코롱민트 3종으로 부터 추출한 에센셜오일의 성분을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GC-MS)와 headspace-GC-MS (HS-GC-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GC-MS 분석결과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오데코롱민트 각각에서 13종의 성분이 동정되었다. 전체 이온 크로마토그램의 피크 intensity를 기초로 보았을 때, 페퍼민트에서는 peperitenone oxide, 스피아민트에서는 carvone과 limonene, 오데코롱민트에서는 linalool이 주 화합물로 동정되었다. HS-GC-MS 분석에서는 GC-MS와 비교하였을 때 alcohol과 acetate와 같은 휘발성이 강한 성분이 많이 검출되었고, 검출되는 성분의 수도 증가하였다. 하지만 스피아민트와 오데코롱민트의 주 화합물은 GC-MS에서 검출된 것과 같았고, 페퍼민트에서만 GC-MS에서 낮은 함량을 보였던 menthol이 주요화합물로 동정되었다. 흥미롭게도, 오데코롱민트 에센셜 오일에서 linalyl acetate와 linalool의 함량이 탁월하게 높음을 확인했다.

생약제(Herbs, Plant Extracts)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pplementary Herbs and Plant Extracts on the Performance of Broiler Chicks)

  • 우경천;김찬호;남궁연;백인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43-52
    • /
    • 2007
  • 육계 사료에 허브와 식물체의 추출물의 첨가가 생산능력, 영양소 소화율, 장내 미생물, IgG, 혈액의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2차례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시험 1은 대조구, 항생제($Aviilamix^{(R)}premix-avilliamycin$ 0.02 %) 0.03%구, Herb M (Herb $mix^{(R)}$-지황 10%, 산약 10%, 당귀 20 %, 오미자 5%, 감초 5%, 천궁 10%) 0.2%구, Plant extract B(BIOSTONG $510^{(R)}-Anise$ Extract 20%, Thyme Extract 17%, Quillaja 30%) 0.02%구, Plant Extract A($APEX^{(R)}$ - garlic, anise, cinnamon rosemary, thyme, Talin등 50%) 0.02%구 등 5개 처리구를 두었다. 시험 2는 대조구, 항생제($Aviilamix^{(R)}$premix- avilliamycin 0.02%) 0.03% 구, Plant Extract D($Digestarom^{(R)}$-peppermint oil, gentian, horse-tail herb, saponins, oak bark 50 %) 0.02 %구, Plant extract P($Phellozyme^{(R)}$ -Kilmora lavan extract, bromelain extract, bioflavonoid, propolis 15%) 0.1%구, Plant Extract G($Galicin^{(R)}$-allicin 10%) 0.05%구, Plant Extract C(CRINA $POULTRY^{(R)}$-cinnamon, lemongrase, savory, rosewood, spearmint, tea) 0.05%구 등 6개 처리구를 두었다. 시험 1은 1일령 육계($Ross^{(R)}$종) 1,000수(암 수 각각 500수)를 공시하여 5처리 4반복 반복당 50수(암 수 동수) 씩을 floor pen(가로: 2.0 m, 세로: 2.4 m)에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시험 2는 1일령 육계($Ross^{(R)}$종) 240수(암 수 각각 120수)를 공시하여 6처리 4반복, 반복당 10수(암 수 동수) 씩을 케이지(가로: 35.5 cm, 세로: 45 cm, 높이: 55 cm)에 완전 임의배치하여 각각 35일간사양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1에서 생산지수는 대조구에 비해 첨가구들이 높은 경향이 있었고 herbs M구가 가장 높았다. 시험 2에서 $4{\sim}5$주 사료 섭취량은 대조구에 비해 첨가구들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사료 요구율은 항생제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낮았다. 시험 1의 RBC와 적혈구 용적 (HCT 또는 PCV), Hb는 첨가구들이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시험 2의 BA는 대조구보다 첨가구들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시험 1과 시험 2의 혈청 IgG 농도는 대조구에 비해 첨가구들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시험 1과 시험 2의 장내 미생물 균총과 영양소 이용율은 처리간에 통계적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일부 한방제와 생약제제는 육계에서 항생제를 대체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특히 혈액의 성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