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o.Temporal Analysis

검색결과 376건 처리시간 0.039초

시공간 분석을 이용한 외래 의료이용의 지역적 차이 분석 (Regional Disparity of Ambulatory Health Care Utilization)

  • 신호성;이수형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38-150
    • /
    • 2012
  • 본 연구는 시공간분석을 이용하여 주요 만성질환인 고혈압, 당뇨병, 관절증과 총의료이용에 있어 지역별 외래의료이용 차이를 살펴보았다. 분석자료는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발간하는 1996, 1999, 2002, 2005, 2008년 환자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베이지안 계층적 시공간모형(bayesian hierarchial spatio-temporal model)을 이용하였다. 이때 지역의 공간적 상관성은 convolution CAR 모형을, 시간적 상관성은 Ornstein-Uhlenbeck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질환별로 의료이용에 있어 지역적 차이가 존재하였다. 총의료 이용의 경우 시 군지역보다 대도시인 구지역에서 높은 상대위험비를 보인반면, 만성질환인 고혈압, 당뇨병, 관절증은 총의료이용과는 달리 강원도, 충청남북도, 전라남북도, 제주도 등 농어촌 지역에서 전국평균보다 높은 의료이용(상대위험비)을 보였다. 특히 고혈압은 부산경남 해안가 지역과 강원, 경기, 경북, 충청남도, 전북 등에서 높은 의료이용을 보였고, 관절증은 경기, 강원 일부와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지역 등에서, 당뇨병은 경기, 서울, 부산, 전라남북, 충청일부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의료이용을 보였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와는 달리 공간적, 시간적 상관성을 고려함으로써 지역단위 분석시 공간적, 시간적 상관성을 고려하지 않음으로써 발생하는 통계적 오류를 최소화하였다.

동아시아 기온과 강수의 불확실성 평가 (An Uncertainty Assessment of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over East Asia)

  • 신진호;김민지;이효신;권원태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99-303
    • /
    • 2008
  • In this study, an uncertainty assessment for surface air temperature(T2m) and precipitation(PCP) over East Asia is carried out. The data simulated by the intergover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Fourth Assessment Report (AR4) Atmosphere-Ocean coupled general circulation Model (AOGCM) are used to assess the uncertainty. Examination of the seasonal uncertainty of T2m and PCP variabilities shows that spring-summer cold bias and fall warm bias of T2m are found over both East Asia and the Korea peninsula. In contrast, distinctly summer dry bias and winter-spring wet bias of PCP over the Korea peninsula is found. To investigate the PCP seasonal variability over East Asia, the cyclostationary empirical orthogonal function(CSEOF) analysis is employed. The CSEOF analysis can extract physical modes (spatio-temporal patterns) and their undulation (PC time series) of PCP, showing the evolution of PCP. A comparison between spatio-temporal patterns of observed and modeled PCP anomalies shows that positive PCP anomalies located in northeastern China (north of Korea) of the multi-model ensemble(MME) cannot explain properly the contribution to summer monsoon rainfalls across Korea and Japan. The uncertainty of modeled PCP indicates that there is disagreement between observed and MME anomalies. The spatio-temporal deviation of the PCP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ower- and upper-level circulations. In particular, lower-level moisture transports from the warm pool of the western Pacific and corresponding moisture convergence significantly contribute to summer rainfalls. These lower- and upper-level circulations physically consistent with PCP give a insight of the reason why differences between modeled and observed PCP occur.

  • PDF

시공간 영상분석에 의한 실시간 교통정보 산출기법 (Extracting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By Spatio-Temporal Image Analysis)

  • 이영재;이대호;박영태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37권4호
    • /
    • pp.11-19
    • /
    • 2000
  • 도로 위에 설치된 카메라에서 획득한 입력 영상으로부터 각 차선의 통과 차량수, 차량속도 도로 점유율, 차간 거리, 차종 등의 교통정보를 실시간으로 산출하는 기법은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의 핵심 분야이다. 본 논문에서는 검지영역의 시공간 영상 분석에 의해 다양한 기상 조건과 그림자 등의 환경의 변화에 민감하지 않은 교통정보 산출기법을 제안한다. 각 차선에 2개의 검지영역을 설정하고 검지영역의 통계적 특성과 형상적 특성을 이용해 도로영역, 그림자 영역, 차량영역으로 분류하여 차량을 검지하며 시공간 영상 분석을 통하여 정량적 교통정보를 산출한다. 제안한 기법은 영상의 국부 검지영역 데이터만을 사용하므로 1초에 30 프레임이상의 실시간 처리가 가능하며 기상 조건과 그림자의 변화에 견실한 차량검지 및 교통정보 산출 능력을 구현할 수 있다.

  • PDF

천리안위성 2A호 고속 관측 영상의 시·공간 해상도가 중규모 대기운동벡터 산출에 미치는 영향 분석 (The Impact of Spatio-temporal Resolution of GEO-KOMPSAT-2A Rapid Scan Imagery on the Retrieval of Mesoscale Atmospheric Motion Vector)

  • 김희애;정성래;오수민;이병일;신인철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7권5_1호
    • /
    • pp.885-901
    • /
    • 2021
  • 천리안위성 2A호의 2분 주기 고속 관측(rapid-scan) 자료를 이용하여, 가시·수증기·적외 채널의 시간 해상도와 표적의 크기가 해당 채널의 중규모 대기운동벡터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중규모 대기운동벡터 산출을 위하여 2-10분의 영상 시간 간격 변화 하에서 표적의 크기를 8×8에서 40×40 화소 크기로 변환시키며, 시·공간적인 조건 변화에 따른 벡터 생산량과 평균 속력, 오차 특성의 변화 양상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표적의 크기가 작을수록 위성의 시간 간격 변화에 따른 벡터 개수의 변화와, 표준화된 평균 제곱근 편차(Normalized Root Mean Squared Vector Difference; NRMSVD) 값의 변화가 더욱 뚜렷해졌다. 또한 고도별 오차 특성 분석 결과에서는 평균 속력이 낮고 대기 현상의 시·공간 규모가 작은 하층(700-1000 hPa)의 경우, 짧은 시간 간격의 영상 자료와 작은 표적을 이용하는 것이 벡터 산출에 더욱 유리하게 작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성의 시간 간격과 표적의 크기는 대기 순환의 시·공간 규모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요소이다. 따라서, 대기운동벡터 활용 목적에 맞게 표적 크기와 위성 시간 간격을 최적화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중규모 기상현상의 실황 분석을 위한 대기운동벡터 산출 알고리즘에서는 표적 크기와 영상 시간 간격을 각각 16×16, 4분으로 설정해주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경관생태지수를 활용한 농촌경관의 시계열적 변화 분석 - 경기도 일부 시.군을 대상으로 - (A Spatio-temporal Change Analysis of Rural Landscape Patterns using Landscape Ecology Indices : Focused on a Part of Gyeonggi-do)

  • 오윤경;최진용;배승종;장민원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9권6호
    • /
    • pp.65-76
    • /
    • 2007
  • Studies in landscape ecology have emphasiz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andscape patterns and shapes. A variety of landscape metrics has been developed so far to quantify landscape structures. Therefore, their developments and widespread applications become possible with the advent of spatial information systems includ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GIS) and remote sensing. This study is to grasp the change of land use and landscape ecology indices, and to analyze the change of landscape structure in a part of Gyeonggi-do during 15 years from 1985 to 2000. Green-area distribution maps and agricultural-area distribution maps for the analysis were reconstructed from land cover maps constructed by WAMIS(Wate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And then, 4 landscape ecology indices(TA, LPI, SHAPE_AM, CAI_MN) for the green-area and 5 landscape ecology indices(TA, PD, LPI, LSI, CAI_MN) for the agricultural-area were selected by using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spatio-temporal change analysis using landscape ecology indices, the green-area fragmentation of Yongin was the most severe of the study area and the agricultural-area fragmentation of Gwangju and Namyangju was more severe than any other regions.

공간 데이터웨어하우스에서 시공간 분석 지원을 위한 비중복 적재기법 (Non-Duplication Loading Method for supporting Spatio-Temporal Analysis in Spatial Data Warehouse)

  • 전치수;이동욱;유병섭;이순조;배해영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81-91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공간 데이터 웨어하우스에서 시공간 분석지원을 위한 공간 데이터의 비중복 적재 기법을 제안한다. SDW는 이기종의 다양한 서비스를 지원하는 SDBMS로부터 공간 데이터를 추출한다. 제안 기법에서는 SOW에 소스로 참여하는 SDBMS에서 변경된 부분만을 추출하고, 이를 공간연산을 통해 중복된 데이터를 제거한 후 통합된 형태로 적재함으로써 빠른 공간 데이터 분석을 지원할 수 있으며, 저장 공간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이는 공간 마이닝등의 시간에 따른 분석 및 예측 분야에 효율적인 형태로 공간 데이터를 적재한다.

  • PDF

수질오염총량제 대응을 위한 경남 하천 수질의 시공간 경향성 분석 (Analyzing the Spatio-temporal Trend in TMDL Water Quality for Gyeongnam Using Emerging Hot Spot Analysis)

  • 선단비;김지호;김상민;장민원
    • 농촌계획
    • /
    • 제26권4호
    • /
    • pp.53-65
    • /
    • 2020
  • This study aimed to provide a basic information for managing the water quality of national and regional 1st rivers in Gyeongnam by analyzing the emerging hot spot patterns in BOD, T-P, and TOC, and by grouping the changing trends into clusters. The emerging hot spot analysis for each water quality item was implemented in ArcGIS Desktop with monthly water quality data from 96 water environmental monitoring stations in Gyeongnam, and then four patterns of water quality change were classified by the K-mean cluster analysis. As for BOD, persistent cold spot pattern covered about 42.9% of target rivers, and T-P concentration tended to be low or be getting lower at over 70% of target rivers. While, for TOC, about 70% of target rivers resulted in oscillating hot spots. In addition, the cluster analysis showed that the downstream of Nakdong river had the top priority in terms of water quality management because of the increasing concentration for all the three water quality.

팔당수계 주요하천 수질의 시·공간적 특성 (Spatio-temporal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jor Streams in Pal-dang Watershed)

  • 한미덕;이은주;오조교;김웅수;이창희;남궁은;정욱진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94-403
    • /
    • 2009
  • A total of 52 sampling sites were selected in the stream network of the upper Paldang watershed (e.g. Kyonan, Gapyeong, Jojong, Chengmi, Bockha, Yanghwa and Heuk streams). Over the time period of April 2007-February 2008, 1820 sampl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physico-chemical variables of the upper watershed in order to investigate spatio-temporal water quality variation in particular the relationship with land use. Although temporal variations of water quality in each stream were similar and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flow, spatial variations in each stream varied as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upper watershed.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Biological Oxygen Demand (BOD), Chemical Oxygen Demand (COD), Total Nitrogen (T-N), and Total phosphorus (T-P) concentration were the most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people population density. It is necessary to manage not only water quality but also land use of upper watershed and flow flux.

교통과 토지이용 정보를 결합한 서울 인구분포의 시공간적 분석: 4차원 시각화 방법을 토대로 (Spatio-temporal Analysis of Population Distribution in Seoul via Integrating Transportation and Land Use Information, Based on Four-Dimensional Visualization Methods)

  • 이금숙;김호성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0-33
    • /
    • 2018
  • 도시공간에서 인구분포는 하루의 시간축을 따라 통행흐름의 변화와 함께 변동성을 보인다. 통행흐름은 도시민들이 하루 일과가 진행되면서 그들의 활동과 관련된 시설물이 입지한 지점으로 이동한 결과물이므로 도시민의 활동과 관련 시설물의 분포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도시 인구분포의 시공간적 특성은 도시민의 일상생활과 관련된 활동공간의 분포와 그것을 방문하는 통행흐름을 결합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토지이용과 통행흐름에 대한 정보가 풍부한 서울시를 대상으로 건축물데이터베이스와 교통카드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하루 및 일주일 시간축을 따라 변동성을 보이는 도시공간의 인구분포를 분석한다. 일반적인 통계적 기법으로는 파악하기 어려운 시공간적 분석을 위하여 자바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시간과 공간을 결합한 4차원 시각화 방법을 고안한다. 이러한 4차원 시공간에서 역동적 시각화를 이용하면 직관적인 분석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인구분포의 시공간적 특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각 지점에 위치한 건축물을 용도에 따라 주거, 업무, 상업 활동으로 구분하고, 일주일분 교통카드데이터베이스에서 1분 단위로 각 지점의 버스와 지하철로 오가는 승객수를 산출하고, 이를 4차원으로 시각화하여 교통과 토지이용을 결합해서 서울시 인구분포의 시공간적 특성을 분석한다. 그 결과로 서울의 인구분포는 토지이용에 따라 뚜렷한 시공간적 특성을 보임을 파악할 수 있으며, 특히 업무활동, 상업활동, 주거활동의 혼합 양상에 따라 하루 시간축을 따라 인구분포 양상에 뚜렷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도시 시설의 입지계획과 교통계획 수립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발목관절 보조 도구에 따른 만성 뇌졸중 편마비 장애인의 보행 비교 (Comparison of gait ability according to types of assistive device for ankle joint of chronic hemiplegic stroke survivors)

  • 박동천;정정희;김원득;손일현;이양진;이규창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0-39
    • /
    • 2021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gait and mobility according to the types of assistive device for ankle joint including ankle foot orthosis (AFO), non-elastic tape, elastic tape, and high ankle shoes in chronic hemiplegic stroke survivors. Design: A cross-over design. Methods: Twelve hemiplegic stroke survivo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walked under 5 different conditions including bare feet, wearing a AFO, wearing a non-elastic tape, wearing a elastic tape, and wearing a high ankle shoes. During the participants walked, the spatio-temporal gait analysis and mobility examinations were performed. For the spatio-temporal gait analysis (gait velocity and cadence, step length, stride length, and single and double leg support time) and mobility examinations, the gait mat, TUG and TUDS were used. Results: As s results, on the AFO, non-elastic tape, elastic tape, and high ankle shoes,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the all spatio-temporal gait parameters, TUG, and TUDS compared to barefoot (p<0.05). In particular, all spatio-temporal gait parameters, TUG, TUD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with AFO compared to barefoot. TUG was significantly improved with AFO compared to non-elastic tape, TUG and TUD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with AFO compared to elastic tape, gait velocity was significantly improved with non-elastic tape compared to high ankle shoes, gait velocity and TUG were significantly improved with elastic tape compared to high ankle shoes, and TUDS was significantly improved with non-elastic tape compared to elastic tape. Conclusion: The AFO, non-elastic tape, elastic tape, and high ankle shoes showed a positive effect on gait and mobility compared to barefoot, and among them, wearing AFO was most effective for improving gait and mobility of chronic hemiplegic stroke surviv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