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memory

검색결과 460건 처리시간 0.027초

Spark 기반 공간 분석에서 공간 분할의 성능 비교 (Performance Comparison of Spatial Split Algorithms for Spatial Data Analysis on Spark)

  • 양평우;유기현;남광우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9-36
    • /
    • 2017
  • 본 논문은 인 메모리 시스템인 Spark에 기반 한 공간 빅 데이터 분석 프로토타입을 구현하고, 이를 기반으로 공간 분할 알고리즘에 따른 성능을 비교하였다. 클러스터 컴퓨팅 환경에서 빅 데이터의 컴퓨팅 부하를 균형 분산하기 위해, 빅 데이터는 일정 크기의 순차적 블록 단위로 분할된다. 기존의 연구에서 하둡 기반의 공간 빅 데이터 시스템의 경우 일반 순차 분할 방법보다 공간에 따른 분할 방법이 효과적임이 제시되었다. 하둡 기반의 공간 빅 데이터 시스템들은 원 데이터를 그대로 공간 분할된 블록에 저장한다. 하지만 제안된 Spark 기반의 공간 분석 시스템에서는 검색 효율성을 위해 공간 데이터가 메모리 데이터 구조로 변환되어 공간 블록에 저장되는 차이점이 있다. 그러므로 이 논문은 인 메모리 공간 빅 데이터 프로토타입과 공간 분할 블록 저장 기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기존의 공간 분할 알고리즘들을 제안된 프로토타입에서 성능 비교를 하여 인 메모리 환경인 Spark 기반 빅 데이터 시스템에서 적합한 공간 분할 전략을 제시하였다. 실험에서는 공간 분할 알고리즘에 대한 질의 수행 시간에 대하여 비교를 하였고, BSP 알고리즘이 가장 좋은 성능을 보여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각 탐색과 공간적 작업기억간 상호 간섭의 원인 (Main Cause of the Interference between Visual Search and Spatial Working Memory Task)

  • 안지원;김민식
    • 인지과학
    • /
    • 제16권3호
    • /
    • pp.155-174
    • /
    • 2005
  • 최근 연구들은 공간적 작업기억 과제를 수행하면서 시각 탐색 과제를 수행했을 때 시각 탐색의 효율성과 작업기억 과제의 정확률이 동시에 낮아지는 결과를 보고하였다(Oh & Kim, 2004; Woodman & Luck, 2004). 이러한 결과는 두 과제의 처리 과정이 동일한 인지적 자원을 요구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데, 동일한 인지적 자원은 공간적 주의(공간적 주의 부하 가설)나, 공간적 작업기억(공간적 작업기억 부하 가설), 혹은 이 둘과 모두 관련될 가능성이 있다. 시각 탐색과 공간적 작업기억 간 상호 간섭의 기제를 밝히기 위해 작업기억에 유지해야 하는 위치와 공간적 주의를 사용해야 하는 시각 탐색의 자극 위치를 변화시켜 2개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1에서는 공간적 작업기억 과제의 자극을 탐색 자극이 제시될 수 있는 주변 영역에 제시하는 경우에도 두 과제간의 간섭이 나타남을 보임으로써 이전 연구 결과들을 재확인하였다. 실험 2에서는 기억 자극과 탐색 자극을 모두 동일한 사분면에 제시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에서 시각 탐색과 작업기억 과제 수행을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시각 탐색의 효율은 시각 탐색 과제만을 수행한 조건과 동일 위치 조건에 비해 비동일 위치 조건에서 유의미하게 저하되었다. 공간적 작업기억 과제의 정확률역시 다른 조건보다 비동일 위치 조건에서 더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선행 연구들에서 밝혀진 공간 기억과 시각 탐색간의 상호 간섭이 작업기억의 과부하보다는 공간적 주의의 과부하로 인한 것임을 시사한다.

  • PDF

12-Arm Radial Maze를 이용한 쥐의 공간 인지능력에 미치는 홍삼 PT계 사포닌의 효과 (Effect of Red Ginseng Triol Saponin Fractions on the Spatial 1 Memory Function Studied with 12-Arm Radial Maze)

  • 박진규;남기열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8권1호
    • /
    • pp.32-38
    • /
    • 1994
  • Male rats aged 15 months, which had been over-trained with 12 arm radial maze up to the criterion of 1 or 2 errors an average per trial,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7 months after the over-training and were studied the effect of red ginseng trial saponin fraction (PT) on the spatial memory function. The rats which could be improved the performance of 9.75$\pm$1.26 (within 185$\pm$8.2 1 sec) were classified into "normal group" (n=4) and the ones, which showed R-maze performance of 7.0$\pm$2.87 within 300 sec, "deteriorated memory group" (n=5). PT was dissolved in distilled water and injected into the deteriorated memory group intraperitoneally at 30 min before R-maze for 3 consecutive days. The injected amount of PT on the 1st day was 10mg/rat, 1mg/rat both on the 2nd the 3rd day. As results, the performance was restored to 9.4$\pm$2.0 after stopping ginseng administration, although the lower performance values (1.4$\pm$0.89, 2.8$\pm$0.83, 3.8$\pm$0.84, respectively) were exerted during the three days of PT administration than before PT administration (7.0$\pm$2.87) since 1 day after administratitan of PT. The restored performance values were continuously maintained up to the level of the "normal group". However, any lower performance values were not observed when PT was administered via intraperitoneal route to the normal group in about of 2 mg/rat except 10mg1ra1. The number of errors when the foods in arms were put at only 6 places was clearly reduced during the 9 days of consecutive administration of PT as compared with untreated control.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PT administration may enhance their cognitive function after a long lapse of time not only in the memory deteriorated rats but also in normal ones. The reason exerted lower performance values during PT administration in this paper was discussed as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maze behavior of another 3-month-aged rats. of another 3-month-aged rats.

  • PDF

표적 기억 재활성화로 수면 중 기억 강화 증진 시키기 (Targeted Memory Reactivation can Enhance Memory Consolidation during Sleep)

  • 신재공
    • 수면정신생리
    • /
    • 제24권2호
    • /
    • pp.79-85
    • /
    • 2017
  • Targeted memory reactivation (TMR) is a method whereby cues associated with previous learning are used to externally reactivate aspects of this learning. Research findings demonstrate that TMR can be a useful tool to enhance memory consolidation during sleep in both animals and humans, especially in the declarative/spatial domain. Neurocognitive processing during sleep with covert cueing via auditory or olfactory stimulation can benefit memory storage. These beneficial effects on memory consolidation during sleep are associated with the activation of memory-related brain areas. The purpose of the present review is to provide a short overview of the findings of studies that adopted the TMR method of sleep-dependent memory consolidation and to suggest the potential applications of TMR in variable areas.

Spatial Information Processing between Hippocampus and Prefrontal cortex: a Hypothesis Based on Anatomy and Physiology

  • Jung, Min-Whan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2권1호
    • /
    • pp.65-69
    • /
    • 1998
  • The hippocampus and prefrontal cortex are regarded as the highest-order association cortices. The hippocampus has been proposed to store "cognitive maps" of external environments, and the prefrontal cortex is known to be involved in the planning of behavior, among other functions. Considering the prominent functional roles played by these structures, it is not surprising to find direct monosynaptic projections from the hippocampus to the prefrontal cortex. Rhythmic stimulation of this projection patterned after the hippocampal EEG theta rhythm induced stable long-term potentiation of field potentials in the prefrontal cortex. Comparison of behavioral correlates of hippocampal and prefrontal cortical neurons during an a-arm radial maze, working memory task shows a striking contrast. Hippocampal neurons exhibit clear place-specific firing patterns, whereas prefrontal cortical neurons do not show spatial selectivity, but are correlated to different stages of the behavioral task. These data lead to the hypothesis that the role of hippocampal projection to the prefrontal cortex is not to impose spatial representations upon prefrontal activity, but to provide a mechanism for learning the spatial context in which particular behaviors are appropriate.propriate.

  • PDF

Spatial Selectivity Estimation Using Wavelet

  • Lee, Jin-Yul;Chi, Jeong-Hee;Ryu, Keun-Ho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3년도 ISIS 2003
    • /
    • pp.459-462
    • /
    • 2003
  • Selectivity estimation of queries not only provides useful information to the query processing optimization but also may give users with a preview of processing results.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problem of selectivity estimation in the context of a spatial dataset. Although several techniques have been proposed in the literature to estimate spatial query result sizes, most of those techniques still have some drawback in the case that a large amount of memory is required to retain accurate selectivity. To eliminate the drawback of estimation techniques in previous works, we propose a new method called MW Histogram. Our method is based on two techniques: (a) MinSkew partitioning algorithm that processes skewed spatial datasets efficiently (b) Wavelet transformation which compression effect is proven. We evaluate our method via real datasets. With the experimental result, we prove that the MW Histogram has the ability of providing estimates with low relative error and retaining the similar estimates even if memory space is small.

  • PDF

시공간 작업기억 수행능력에 따른 안정상태에서의 뇌파 특성 연구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EG in Resting State on Visuo-Spatial Working Memory Performance)

  • 정철우;이협의;위현욱;최남숙;박병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351-360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표준화된 종합주의력검사(CAT)의 소검사인 시공간 작업기억력 검사를 통해 얻어진 실험대상자의 안정상태 뇌파 활성차이로 시공간 작업기억력 수행능력을 예측할 수 있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실험 대상자는 2014년 12월 1개월 동안 학업 성취도와 무관한 31명의 일반적인 중학생 중 시공간 작업기억력 검사 후 순방향과 역방향 공간폭 결과에서 표준편차를 벗어난 7명과 6명이 선별되었고, 선별된 대상자를 각각 작업기억력 우수 집단(EWM)과 저하 집단(PWM)으로 구성하였다. 뇌파 측정과 뇌파 밴드별 상호 연관성을 통한 뇌기능 지수의 하위요소를 알아보기 위해 뇌기능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집단 간 차이 검증을 위한 통계 처리는 Mann-Whitney Test로 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순방향 작업 기억력 검사 결과 EWM과 PWM 집단 간 고베타파 활성도에서 좌뇌와 우뇌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저베타파 활성도에서는 우뇌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세타파와 알파파 활성도는 통계적 유의수준에는 도달하지 못했다. 결론적으로 시공간 작업기억 수행능력과 안정 상태시 고베타파와 저베타파 활성도와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며 특히 시공간 작업기억 수행능력과 우뇌의 정신적 활동 및 사고능력과는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다. 시공간 작업기억 수행능력을 안정 상태에서도 베타파의 활성도를 통해 예측할 수 있다는 점이 본 연구가 갖는 의의이다. 향후 뇌파의 활성도가 작업기억력 평가 도구와 근거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USN 환경을 위한 공간 센서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patial Sensor Database System for the USN Environment)

  • 신인수;유뢰;김정준;장태수;한기준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0권1호
    • /
    • pp.59-69
    • /
    • 2012
  • 일반적으로 비공간 센서 데이타뿐만 아니라 공간 센서 데이타를 동시에 사용하는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USN) 환경을 위해서는 이러한 센서 데이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센서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이유에서 Tiny DB, Cougar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 데이타베이스 시스템들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대부분은 공간 센서 데이타 처리를 위한 공간 데이타 타입과 공간 연산자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공간 센서 데이타를 처리하는데 어려움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USN 환경에서 공간 센서 데이타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TinyDB를 확장하여 공간 센서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특히 공간 센서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은 공간 데이타 타입과 공간 연산자를 지원하고, 공간 데이타 스트림으로 인해 발생하는 시스템 부하를 줄이기 위해서 메모리 관리 기능과 필터링 기능 등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수행 시간, 정확도, 메모리 사용량 등 다양한 성능 평가를 통해 공간 센서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이 기존 TinyDB에 비해 성능이 우수하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누적밀도 웨이블릿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공간 선택율 추정 (Spatial Selectivity Estimation using Cumulative Wavelet Histograms)

  • 지정희;정재혁;류근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2권5호
    • /
    • pp.547-557
    • /
    • 2005
  • 선택율 추정 기법들의 공통적인 목표는 데이타의 요약 정보를 적은 저장 공간에 유지하고, 추정된 값과 질의 결과에 대한 오차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방대한 양의 공간 데이타에 대한 선택율 추정의 경우,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공간 데이타의 분포를 반영하는 요약 정보를 필요로 하며, 그러한 요약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많은 저장 공간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적은 저장 공간을 사용하면서, 정확성 높은 선택율을 추정하는 누적밀도 웨이블릿 히스토그램을 제안한다. 이 히스토그램은 기존의 누적밀도 히스토그램에 유지되는 각 서브 히스토그램에 대해 웨이블릿 변환을 적용함으로써, 보다 적은 저장 공간에서 높은 정확도의 선택율을 얻을 수 있다. 우리는 실험결과를 통하여 기존 히스토그램의 저장 공간에 $25\%\~50\%$만을 사용하여 높은 정확도의 선택율 추정 결과를 보임으로써, 기존의 다른 선택율 추정기법들이 갖는 저장공간에 대한 제약사항을 해결함과 동시에 적은 저장공간을 사용하여 높은 정확도의 선택율 추정이 가능함을 확인 하였다. 이 논문에서 제안된 기법은 공간 데이타베이스에서의 공간 범위 질의에 대한 정확성 높은 선택율을 추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Mind Bomb-2 Regulates Hippocampus-dependent Memory Formation and Synaptic Plasticity

  • Kim, Somi;Kim, TaeHyun;Lee, Hye-Ryeon;Kong, Young-Yun;Kaang, Bong-Kiu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9권6호
    • /
    • pp.515-522
    • /
    • 2015
  • Notch signaling is a key regulator of neuronal fate during embryonic development, but its function in the adult brain is still largely unknown. Mind bomb-2 (Mib2) is an essential positive regulator of the Notch pathway, which acts in the Notch signal-sending cells. Therefore, genetic deletion of Mib2 in the mouse brain might help understand Notch signaling-mediated cell-cell interactions between neurons and their physiological function. Here we show that deletion of Mib2 in the mouse brain results in impaired hippocampal spatial memory and contextual fear memory. Accordingly, we found impaired hippocampal synaptic plasticity in Mib2 knock-out (KO) mice; however, basal synaptic transmission did not change at the Schaffer collateral-CA1 synapses. Using western blot analysis, we found that the level of cleaved Notch1 was lower in Mib2 KO mice than in wild type (WT) littermates after mild foot shock. Taken together, these data suggest that Mib2 plays a critical role in synaptic plasticity and spatial memory through the Notch signaling pathw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