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memory

검색결과 460건 처리시간 0.025초

더덕 물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의 인지능 개선 활성 비교 (Effect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Codonopsis lanceolata on Spatial Learning and Memory in Mice)

  • 원진배;이지우;엄민례;정윤식;고현정;이현용;박동식;정희철;정재윤;마충제
    • 약학회지
    • /
    • 제58권5호
    • /
    • pp.287-293
    • /
    • 2014
  • Alzheimer's disease (AD), most common form of dementia is characterized that memory deficit and loss of cognitive function. This study was evaluated cognitive enhancing effect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Codonopsis lanceolata and compared using Morris water maze and passive avoidance test. The water and 70% ethanol extracts (100, 300 and 500 mg/kg) were administered to mice. The neuroprotective effect on glutamate-induced cell death in HT22 cells was additionally investigated using MTT assay. Results showed 70% ethanol extract of Codonopsis lanceolata enhanced cognitive function than water extract, as shown by decrease in escape latency time in Morris water maze test. In passive avoidance test, 70% ethanol extract also increased the latency time compared to the water extract. Furthermore, 70% ethanol extract significantly protected neuronal cell against glutamate cytotoxicity and showed higher than neuroprotective effect of water extrac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70% ethanol extract more improve spatial cognitive ability and protected neuronal cells than water extract.

SPQUSAR : Apache Spark를 이용한 대용량의 정성적 공간 추론기 (SPQUSAR : A Large-Scale Qualitative Spatial Reasoner Using Apache Spark)

  • 김종환;김종훈;김인철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774-779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단위 추론 작업들 간의 순차 처리와 반복 처리에 효과적인 인-메모리 방식의 고속 클러스터 컴퓨팅 환경인 Apache Spark을 이용한 대용량의 정성적 공간 추론기의 설계와 구현에 관해 소개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공간 추론기는 매우 효율적인 방법으로, 공간 객체들 간의 위상 관계와 방향 관계를 나타내는 대규모 공간 지식베이스의 무결성을 검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어진 공간 지식베이스로부터 새로운 사실들을 유도해냄으로써 지식베이스를 확장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공간 객체들 간의 위상 관계와 방향 관계에 관한 정성적 추론은 이접 관계들 간의 많은 조합 연산들을 포함한다. 본 추론기에서는 공간 추론에 필요한 최소한의 이접 관계 집합을 찾아내고 이들만을 포함하도록 조합 표를 축소함으로써, 추론의 효율성을 크게 개선시켰다. 또한, 본 추론기에서는 추론 성능 향상을 위해 Hadoop 클러스터 시스템에서 분산 추론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디스크 입출력을 최소화하도록 설계하였다. 대용량의 가상 및 실제 공간 지식베이스를 이용한 실험들에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Apache Spark 기반의 정성적 공간 추론기가 MapReduce 기반의 기존 추론기보다 더 높은 성능을 보여주었다.

Mr-Tree: 효율적인 공간 검색을 위한 매핑 기반 R-Tree (MR-Tree: A Mapping-based R-Tree for Efficient Spatial Searching)

  • 강홍구;신인수;김정준;한기준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8권4호
    • /
    • pp.109-120
    • /
    • 2010
  • 최근, u-GIS 환경에서 다양한 지오센서 (Geosensor)의 활용으로 수집되는 공간 데이터의 양이 급증하면서 대용량 공간 데이타의 효율적인 검색을 위한 공간 인덱스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공간 데이타의 검색 성능을 높이기 위해 R-Tree를 기반으로 한 공간 인덱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는 R-Tree에서 노드 사이의 겹침이나 트리의 높이를 줄임으로써 어느 정도 검색 성능을 향상시켰지만 트리 순회(tree traversal)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노드 접근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용량 공간 데이타의 효율적인 검색을 위한 매핑 기반 R-Tree인 MR-Tree(Mapping based R-Tree)를 제안한다. MR-Tree는 R-Tree 순회 없이 리프 노드를 직접 접근하도록 하는 매핑 트리를 이용함으로써 검색 성능을 향상시킨다. 매핑 트리는 데이타 공간을 차원에 따라 반복적으로 분할한 각 파티션(Partition)과 연계되는 R-Tree 리프 노드의 MBR과 포인터를 이용하여 구성된다. 특히, MR-Tree는 기존 R-Tree에 큰 변경없이 구현이 가능하고, 다양한 R-Tree 변형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매핑 트리를 메인 메모리에 상주시킴으로써 검색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실험을 통해 기존 인덱스보다 MR-Tree 성능의 우수성을 보였다.

이동체 데이타베이스를 위한 통합 색인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Unified Index for Moving Objects Databases)

  • 박재관;안경환;정지원;홍봉희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3권3호
    • /
    • pp.271-281
    • /
    • 2006
  • 최근 PDA, 휴대폰, 노트북, GPS, RFID와 같은 모바일 장치의 발달과 범용적인 사용으로 위치 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에 대한 요구가 점점 증대되고 있다. 위치 기반 서비스의 핵심 기술로는 이동체의 위치를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이동체 데이타베이스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데이타베이스는 이동체 정보를 빠르게 검색하기 위해 색인을 필요로 하며, 이 색인은 다수의 이동체에 의해 갱신되는 업데이트를 관리하고 실시간으로 위치를 추적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이동체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색인은 실시간 처리를 위해서 메인 메모리에서 동작하는 색인의 구조를 가져야 하며, 다수 이동체의 위치 정보를 관리하기 위해 색인의 일부분을 메모리에서 디스크로 이동하거나 디스크에서 메모리로 로딩하는 기법을 지원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색인의 요구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메인 메모리와 디스크를 연동하는 통합색인 기법과 메모리 공간 부족 시에 색인의 일부를 디스크로 이동시키는 이주 정책들을 제시하였다 이주 정책은 디스크 I/O를 줄이기 위해 노드 단위가 아닌 서브트리 단위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벌크 연산 및 동적 클러스터링의 효과를 얻게 된다. 통합 색인은 이주 정책에 따라 다른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Oldest Node 정책과 LRU Buffer 정책을 적용하였다. 또한 통합 색인을 구현하고, 각 이주 정책 별로 실험 평가를 수행하여 성능을 측정하였다

기억과 주의와의 비교를 통한 의식의 개념과 기능적 특성 (Concepts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consciousness in comparison of memory and attention)

  • 김은숙;신현정
    • 인지과학
    • /
    • 제21권4호
    • /
    • pp.559-602
    • /
    • 2010
  • 본 연구는 정보처리 관점에서 기억과 주의와의 비교를 통하여 의식의 개념과 기능적 특성을 탐색해 보고, 의식과 기억과 주의의 관계에 기반한 정보처리와 작업기억의 특성에 대한 대안적 관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인간의 심적 활동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어떤 개념들이 설명에 사용될 만큼 충분히 잘 이해되고 있는지에 대한 합의가 필요하기 때문에 공통적으로 이해되는 기초개념이 무엇인지를 알아내는 것은 중요하다. 기억과 주의와의 비교를 통해 정보처리 관점에서 의식은 주변 환경과 자극에 대한 그리고 이를 처리하는 정보처리과정에 대해 자각하고, 필요한 행동을 결정내리고 수많은 정보들을 통합하고 통제할 수 있는 작동시스템의 특성을 가진다. 의식은 정보의 부호화와 저장, 인출이란 특성을 가진 기억, 그리고 정보의 선택과 분할이란 특성을 가진 주의와 개념적으로 기능적으로 구분되는 심적 구성체 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작업기억은 다양한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하나의 시스템이라기 보다는 의식과 기억과 주의가 함께 혹은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정보처리의 작업장일 수 있다. 또한 의식과 기억과 주의란 심적구성체가 함께 혹은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심적구조에서 정보처리는 의식적인 처리과정과 무의식적인 처리과정의 연속선상에서 위계 병렬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 PDF

Effect of Acupuncture at ST36 on Ischemia-induced Learning and Memory Deficits in Gerbils

  • Chung, Jin-Yong;Park, Hyun-Jung;Shim, Hyun-Soo;Hahm, Dae-Hyun;Kim, Hee-Young;Lee, Hye-Jung;Kim, Kyung-Soo;Shim, In-Sop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300-305
    • /
    • 2011
  • The present study was investigated the neuroprotective effects of acupuncture at ST36 on learning and memory deficits after transient cerebral ischemia in a gerbil model. The animal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s (n=7 in each group): the sham operation group (SHAM), ischemia-induced and ST36 acupuncture group (ISC + ST36), and the ischemia-induced and Tail-acupuncture group (ISC + TAIL). For the acupuncture stimulation, stainless steel needles, 0.3 mm in diameter, were inserted bilaterally into the ST36 locus or the tail and stimulated for 1 min/day for 14 days. Using the Morris water maze test, the animals were tested on spatial learning and memory. In addition, the effects of acupuncture on memory storage and the choline acetyltransferase (ChAT) activity, in the hippocampal CA1 area, were investigated by ChAT immunohistochemistry. Transient cerebral ischemia produced impaired performance on the MWM test (DAY 5: p<0.01 and retention test: p<0.05) and severely decreased ChAT immunoreactivity in the CA1 hippocampal area compared to the SHAM group (p<0.05). However, improved learning and memory were observed (DAY 5: p<0.05 and retention test: p<0.01) as well as a significantly reduced loss of ChAT immunoactivity in the hippocampal CA1 region (p<0.001) after acupuncture stimulation at ST36 were observed. These results show that acupuncture at ST36 ameliorated the learning and memory deficits at least in part through the cholinergic system.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potential data that acupuncture is useful for the treatment of some of the behavioral impairs of transient cerebral ischemia.

장소성 강화를 위한 '안동포마을' 공간스토리텔링 ('Andongpo Village' Spatial Storytelling for Strengthening of Its Placeness)

  • 배진희;권기창
    • 지역과문화
    • /
    • 제6권4호
    • /
    • pp.73-97
    • /
    • 2019
  • 본 연구는 안동포마을의 의미와 가치를 재발견하고 장소성 강화를 위해 공간스토리텔링 한 것이다. 이론적 고찰, 장소성 강화 선진사례 분석, 마을 환경과 문화자원 분석을 통해 마을의 맥락을 파악하고 전통 삶의 방식과 길쌈문화가 담긴 전통마을의 장소성을 도출하였다. 그에 따라 공간스토리텔링의 주제를'천년의 숨결! 천년의 노래!'로 설정하고 구체화를 위한 테마로는 '헌신·나눔·추억·만남·건강·화합'으로 설정하였다. 또 설정된 각각의 테마에 부합한 공간을 연결하고 이를 기반으로 이야기를 재현하거나 창조함으로써 안동포마을은 전통문화의 창조성과 장소적 자산이 공존하며 새로운 콘텐츠를 재생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방문객은 장소성을 체험하고 완성해 가는 주체가 될 수 있도록 세부적인 운영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안동포마을 브랜드가치 및 주민 삶의 질이 향상되고 관광객 증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현대 공간에서 나타나는 베르그송의 동시성 연구 (A Study on Bergson's Simultaneity Revealed in Modern Spaces)

  • 이상준;이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51-60
    • /
    • 2015
  •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a simultaneity research, draw the potential through Bergson's simultaneity, and explore a space with the possibility of a continued change, focusing on the simultaneous process, in which physical mobility and consciousness of space last together. First, this study was focused on understanding Bergson's simultaneity, on the basis of the perspective that space needs to have more active, dynamic mobility. For understanding Bergson's simultaneity, the understanding of Bergson's duration conception, memory and perception was preceded. After that, the characteristics of simultaneity were extracted from the concepts of duration, change, memory and perception and its characteristics, which are connected to space,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study on simultaneity that was intensively analyzed, based on diverse cases, re-awakened the basis of value or thought, which we must aim at, in space design of the present time. This shows the possibility of another creative form that can be found in spaces of the present time and serves as the foundation to discover an essential and potential value of space in space design. Moreover, the combination of space with science, humanities, art and digital media technology demonstrated once again that there is a good possibility of approaching non-representational space that is pursued today and it is anticipated that using Bergson's simultaneity as a medium for spatial combination in their relationship would help in drawing deeper internal meaning and potential of space.

DCT-VQ를 기반으로 한 에지의 방향성을 갖는 영상압축 (Image Compression with Edge Directions based on DCT-VQ)

  • 김진태;김동욱;임한규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권2호
    • /
    • pp.194-203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VQ의 문제점인 에지의 열화 문제와 방대한 계산량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DCT-VQ 방법을 제안한다. 에지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 공간 영역에서 VQ를 하지 않고 DCT 변환 영역에서 VQ를 수행한다. DCT는 상관도가 높은 영상 데이타를 비상관화시키고, 적은 수의 계수에 에너지를 집중시키는 특정이 있다. DCT 변환 영역에서,DC 계수는 8비트 균일 스칼라 양자화하고,AC 계수는 에지 성분을 고려하 기 위해 3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각 영역을 벡터 양자화한다. VQ의 계산량과 메모리의 절감을 위해 3개 영역의 벡터는 작은 차원($1{\times}7$)으로 구성되며 같은 부호책을 사용한다. 따라서 제안한 방법은 DCT 변환 계수의 고주파 성분올 고려함으로써 에지 성분을 최대한 살렬 수 있고, VQ의 벡터 차원을 줄임에 의해 계산량과 메모리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 PDF

인공환경 분포방식에 의한 보행거리 인지 변화에 대한 연구 - 대학 캠퍼스 내 보행로의 실제거리와 인지거리의 차이를 중심으로 - (The Distortion of Road Distance Perception by the Pattern of Object Distribution - Focused on the Distance Estimation in the Campus by Students -)

  • 서경욱
    • KIEAE Journal
    • /
    • 제14권4호
    • /
    • pp.91-96
    • /
    • 2014
  • The behavior of walking involves our action of seeing things. It is the intention of this research that the cognitive process of perceiving things along the path can affect the way we sense the length of the journey. The theory generally accepted in this line of thought is the 'feature accumulation theory'. It assumes that if the journey includes many objects or memorable features, then our memory recalls that journey much farther than it really was. This study set up a real-life experiment by asking university students about their mental memory of the two different routes in the campus. One is a longer path that has not much to look at except trees and the other a shorter path yet with many buildings, sign boards and street furnitures. The subjects processed their mental image in the brain based on their experience. They showed a strong tendency that the path with more features were remembered longer while that with less features shorter. More interestingly, it was found that as their experience increases, they become more accurate about the exact length of the questioned paths. The result corroborates the theory that human perception of space is based on the topological understanding of surroundings rather than geometric understanding.